2010-03-15 | 언해피 힙스터

Editor’s Comment

잡지에 소개될 만한 근사한 생활 공간을 삐딱하게 바라봅니다. 이름하여 ‘언해피 힙스터’라는 텀블러 블로그입니다. 벽을 대신한 창의 존재에서 창문 청소의 고단함을 예상한다거나, 이색적인 설계의 주택에서 건축주의 불만족을 상상하는 식이죠. 애석하게도 ‘언해피 힙스터’는 2015년 5월 18일 이후로 업데이트가 멈추었지만, 그래도 아예 사라지지는 않았습니다.

새로 지은 집, 멋진 가구들. 건축, 인테리어 잡지들을 펼치면, 현대 주택의 매혹적인 편린들이 눈 앞에 달려든다. 하지만 그 세련된 집에서 다른 의미를 엿보는 곳이 있으니, 블로그 언해피 힙스터(Unhappy Hipsters)다. “현대적인 세계에서는 외롭다(It’s lonely in the modern world)”는 블로그의 부제가 암시하듯, 언해피 힙스터는 잡지에 실릴 만한 생활 공간들을 삐딱하게 바라본다. 

http://www.designflux.co.kr/data/dailynews/2010/03/0315/nj02_01.jpg
photo: Gunnar Knechtel; <Dwell>, September 2006

콘크리트를 그대로 노출한 벽과 통유리 벽으로 둘러싸인 침실. 2006년 9월《드웰 Dwell》에 소개된 침실에 대한, 언해피 힙스터 식의 해석은 다음과 같다. “방의 모습을 엄격히 유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잦은 창문 물청소와 마른걸레질을 그녀는 더 이상 견딜 수가 없었다. 침대는 이러한 사태의 결과다.” 이런 침실에서 살면 창문 닦느라 침대 정리할 시간도 없겠다는 촌평이다. 

“제대로 된 테이블을 놓을 공간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아파트 크기는 56평도 넘으니까. 인생에 그저 딱 들어맞는 뭔가가 필요했을 뿐이다.” – 언해피 힙스터 
photo: Raimond Koch; <Dwell>
“그는 흥분한 건축주를 다시 설득했다. 비록 창문이 하나뿐이기는 해도, 어긋 쌓은 상자집도 꽤 살 만한 곳이라고.” – 언해피 힙스터 
photo: Andy Friedberg; <Dwell>, March 2007
“아이들은 아버지 때문에 ‘미국 건축에 바우하우스가 미친 영향’에 관한 또 다른 다큐멘터리를 시청해야 했다.” – 언해피 힙스터
photo: Marc Seelen, <Dwell>, September 2008

<크리에이티브 리뷰> 블로그는 “요 며칠 우리를 정말 즐겁게 해준 텀블러 블로그”라며 언해피 힙스터를 소개했다. 힙스터의 삶에서 불편을 감지하는 삐딱한 시선. 블로그 포스트들을 살펴 보노라면, ‘그래 맞아’ 하며 고개를 끄덕이는 자신을 발견할지도 모른다. 

https://unhappyhipsters.tumblr.com

via creative review blog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5-26 | 〈토털〉 앨범 커버 디자인

조이 디비전과 뉴 오더의 노래들을 담은 하나의 음반. <토털>의 슬리브 디자인에 관한 피터 사빌의 이야기를 <가디언>에서 빌려와 봅니다. “이것이 수퍼마켓에서 판매되고 텔레비전에서 광고될 음반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래서 커버에 ‘높이 쌓아, 싸게 판다’ 식의 미학을 담았다. 앨범을 열면 ‘Total’이라고 쓰여 있지만, 접힌 상태에서는 ‘O’자들만 보인다. 앨범에는 ‘조이 디비전에서 뉴 오더까지’라고 쓰여 있는데, ‘베스트 오브’라는 말을 견딜 수가 없었다.인디 레코드샵에서 테스코까지는 머나먼 길이었으니, 거의 33년의 세월이었다. 팩토리에서는 홍보 디자인에 있어 유례 없는 자유가 있었고, 비즈니스의 간섭 없이 이상을 누렸다. 그것은 하나의 현상이었다.”

2007-05-28 | DIY+디자이너 램프

잉고 마우러, 아킬레 카스틸리오니, 리하르트 자퍼, 필립 스탁…의 대표적인 조명이 납작한 조립형 키트로 재탄생하였습니다. 이름하여 ‘디자이너 에뮬레이션 키트’를 통해 마크 맥케너는 위대한 디자이너와 그들의 디자인에 귀엽게 경의를 표합니다.

2011-05-12 | OCAD U 시각 아이덴티티

2011년 새단장한 온타리오미술디자인대학의 시각 아이덴티티가 공개되었습니다. 흑백의 창들로 이뤄진 가변형의 로고 디자인이 핵심입니다. 고정형에서 가변형으로 또 더 나아가 반응형에 이르기까지, 2010년을 전후로 운신의 폭을 넓힌 아이덴티티 디자인들이 속속 등장하며 하나의 추세를 이루었습니다. 2009년의 멜버른 시 아이덴티티, 2011년의 BMW 구겐하임 랩 아이덴티티, 2013년의 휘트니 미술관 그래픽 아이덴티티 같은 사례처럼요. 변화하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시기적으로 궤를 같이 한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동적’ 변화입니다.

2010-12-23 | 음악을 보다

비발디의 바이올린 협주곡 〈사계〉가 네 장의 포스터로 옮겨졌습니다. 모트스튜디오의 라이아 클로스는 음악이라는 정보를 시각화하는 시스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사계〉의 바이올린 선율과 리듬, 하모니를 도형과 색상으로 옮긴 인포메이션 그래픽을 선보였습니다. 

Designflux 2.0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