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12-22 | 디지털 매거진 콘셉트, ‘맥+’

Editor’s Comment

태블릿이라는 제품 카테고리가 시장에 안착하면서, 책이 그러했듯 잡지도 디지털 기기 속으로 진입했습니다. 이 시기, 보니에르와 버그는 디지털 매거진의 읽기 경험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바탕으로 한 가지 가능태를 ‘맥+’이라는 이름의 콘셉트를 통해 보여주었습니다. 종이를 벗어난 잡지를 위한 그들의 제안을 다시 만나봅니다.

아마존, 반스앤노블, 소니, 아이리버, 삼성… 2009년 한 해만도 수많은 전자리더가 시장에 당도했다. 본격적인 읽기의 경험을 디지털 핸드헬드 기기 위에 구현한 제품들이다. 그리고 여기 디지털 매거진을 고민하는 이들이 있다. 보니에르(Bonnier)의 R&D 팀이 디자인 회사 버그(BERG)와 함께, 디지털 매거진 ‘맥+(Mag+)’ 콘셉트를 선보였다. 

이번 연구는 잡지 읽기의 핵심을 포착하려는 시도에서 출발한다. 잡지 읽기라는 경험을 디지털 매체로 옮길 때, 놓쳐서는 안될 특유함은 무엇일까. 가령 우리가 잡지에 기대하는 무엇인가가 변화하면, 잡지 읽기의 매력도 퇴색할 것이다. 보니에르와 버그는 잡지 고유의 특징과 일반적인 구조, 콘텐츠의 흐름 등을 파악하여, 이를 e리더라는 기기 형식 속에 번역하고자 했다. ‘맥+’는 잡지 읽기의 매력을 유지하는 가운데, 디지털 매거진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하고 있다. 이번에 공개된 ‘맥+’의 프리젠테이션 영상은 그러한 고민의 궤적을 따라 도출된 미래 잡지의 상상태를 담고 있다.

만일 가장 쉬운 디지털 매거진을 상상한다면, 기존 잡지 페이지를 마치 스캔이라도 한 듯 한 페이지, 한 페이지 담은 형태를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이러한 사례들을 웹에서 종종 만나게 되는데, 때로 심지어 페이지 넘기기까지도 그래픽적으로 표현된다. 하지만‘맥+’의 고민은 그보다는 한 발 더 나아간다. 먼저 잡지만의 매력 중의 하나인 강력한 표지를 시작으로, 기사들이 뒤따른다. 

하나의 기사는 한 페이지에. ‘맥+’는 기존의 기사 구성 요소들을 단일 페이지 안에 수직적으로 배열한다. ‘맥+’에서 페이지 이동은 곧 다른 기사로의 이동을 의미한다. 기사들은 수평적으로, 특정 기사의 요소들은 수직적으로 배열한 것이다. 페이지간 이동 및 페이지 내 이동은 스크롤을 통해 이뤄진다. 페이지 넘기기를 ‘흉내 내는’ 대신, 이미 웹페이지, 블로그, 이메일 등을 통해 충분히 익숙해진 스크롤을 택한 것. 마지막으로 페이지 최상 레이어에는 디지털 매체의 장점이라 할 수 있는 각종 도구들이 자리잡고 있다. 필요한 경우 이 툴 레이어를 불러내 검색, 이메일 보내기, 스크랩 등을 할 수 있다. 

디지털 핸드헬드 기기로 이동한 잡지. 그 변화된 환경 속에서 과연 잡지의 콘텐츠는 어떠한 방식으로 제시되어야 하는가. ‘맥+’는 기존 잡지 읽기의 경험을 전적으로 뒤집지 않고서도, 새 형식 속에서 잡지의 매력을 지키고자 한다. 물론 ‘맥+’는 보니에르와 버그가 내놓은 하나의 제안이다. 이 비디오는 ‘디지털 독서’라는 경험에 대한 논의를 확대하기 위해 공개되었다. 보니에르는 토론 페이지를 열어, 디지털 매거진에 대한 의견을 구하는 중이다. 이 의견들은 몇 달 후 공개될 ‘맥+’의 프로토타입의 기초가 될 것이라고. 

[Bonnier R&D Beta Lab] Digital Magazines: Bonnier Mag+ Prototype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5-18 | 마르티 긱세의 푸드 디자인

마르티 긱세는 자신을 푸드 디자이너라 소개합니다. 음식은 디자인의 대상으로, 여기에서 음식 디자인은 조리법이나 미식의 개념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음식 역시 다른 사물과 마찬가지로 디자인된 무엇이며, 다만 먹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을 뿐이지요. 2007년 오늘 디자인플럭스에서는 마르티 긱세의 푸드 디자인을 전했습니다. 파이 차트의 현현으로서의 파이, 씨앗을 뿌리는 사탕 등의 작업을 소개했었죠.

2007-08-10 | 시게루 반의 종이 다리

반 시게루에게 종이는 훌륭한 건축 자재입니다. 연약하다고 여겨지는 재료이지만 그것으로 만든 건축물까지 연약하기만 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그는 ‘종이 건축’으로 반증해 보였지요. 2007년 오늘의 소식은 그가 프랑스에 지었던 종이로 된 다리입니다. 지관을 이용해 한 번에 스무 명이 지나가도 끄떡없는 종이 다리를 완성했지요. 

2010-12-13 | 팬톤 선정 2011년의 색

지금으로부터 10년 전, 팬톤이 예견한 내년의 색은 ‘허니서클’이었습니다. 붉은 기가 도는 분홍의 활력이 일상의 어려움을 활기차게 마주할 수 있도록 해줄 것이라는 설명이었지요. 참고로 팬톤 선정 2022년의 색은 ‘베리 페리’입니다. 팬톤이 이번 '컬러 오브 더 이어'를 위해 새로 만든 색상으로, 이처럼 새로운 조색을 선택한 것은 23년 컬러 오브 더 이어 역사상 처음이라는군요.

쓸모없는 몸? : 엘름그린 & 드라그셋 개인전

베를린 아티스트 듀오 엘름그린&드래그셋(Elmgreen&Dragset)의 개인전 ‘쓸모없는 몸? (Useless Bodies?)’이 밀라노 폰다치오네 프라다(Fondazione Prada)에서 열렸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