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12-22 | 디지털 매거진 콘셉트, ‘맥+’

Editor’s Comment

태블릿이라는 제품 카테고리가 시장에 안착하면서, 책이 그러했듯 잡지도 디지털 기기 속으로 진입했습니다. 이 시기, 보니에르와 버그는 디지털 매거진의 읽기 경험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바탕으로 한 가지 가능태를 ‘맥+’이라는 이름의 콘셉트를 통해 보여주었습니다. 종이를 벗어난 잡지를 위한 그들의 제안을 다시 만나봅니다.

아마존, 반스앤노블, 소니, 아이리버, 삼성… 2009년 한 해만도 수많은 전자리더가 시장에 당도했다. 본격적인 읽기의 경험을 디지털 핸드헬드 기기 위에 구현한 제품들이다. 그리고 여기 디지털 매거진을 고민하는 이들이 있다. 보니에르(Bonnier)의 R&D 팀이 디자인 회사 버그(BERG)와 함께, 디지털 매거진 ‘맥+(Mag+)’ 콘셉트를 선보였다. 

이번 연구는 잡지 읽기의 핵심을 포착하려는 시도에서 출발한다. 잡지 읽기라는 경험을 디지털 매체로 옮길 때, 놓쳐서는 안될 특유함은 무엇일까. 가령 우리가 잡지에 기대하는 무엇인가가 변화하면, 잡지 읽기의 매력도 퇴색할 것이다. 보니에르와 버그는 잡지 고유의 특징과 일반적인 구조, 콘텐츠의 흐름 등을 파악하여, 이를 e리더라는 기기 형식 속에 번역하고자 했다. ‘맥+’는 잡지 읽기의 매력을 유지하는 가운데, 디지털 매거진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하고 있다. 이번에 공개된 ‘맥+’의 프리젠테이션 영상은 그러한 고민의 궤적을 따라 도출된 미래 잡지의 상상태를 담고 있다.

만일 가장 쉬운 디지털 매거진을 상상한다면, 기존 잡지 페이지를 마치 스캔이라도 한 듯 한 페이지, 한 페이지 담은 형태를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이러한 사례들을 웹에서 종종 만나게 되는데, 때로 심지어 페이지 넘기기까지도 그래픽적으로 표현된다. 하지만‘맥+’의 고민은 그보다는 한 발 더 나아간다. 먼저 잡지만의 매력 중의 하나인 강력한 표지를 시작으로, 기사들이 뒤따른다. 

하나의 기사는 한 페이지에. ‘맥+’는 기존의 기사 구성 요소들을 단일 페이지 안에 수직적으로 배열한다. ‘맥+’에서 페이지 이동은 곧 다른 기사로의 이동을 의미한다. 기사들은 수평적으로, 특정 기사의 요소들은 수직적으로 배열한 것이다. 페이지간 이동 및 페이지 내 이동은 스크롤을 통해 이뤄진다. 페이지 넘기기를 ‘흉내 내는’ 대신, 이미 웹페이지, 블로그, 이메일 등을 통해 충분히 익숙해진 스크롤을 택한 것. 마지막으로 페이지 최상 레이어에는 디지털 매체의 장점이라 할 수 있는 각종 도구들이 자리잡고 있다. 필요한 경우 이 툴 레이어를 불러내 검색, 이메일 보내기, 스크랩 등을 할 수 있다. 

디지털 핸드헬드 기기로 이동한 잡지. 그 변화된 환경 속에서 과연 잡지의 콘텐츠는 어떠한 방식으로 제시되어야 하는가. ‘맥+’는 기존 잡지 읽기의 경험을 전적으로 뒤집지 않고서도, 새 형식 속에서 잡지의 매력을 지키고자 한다. 물론 ‘맥+’는 보니에르와 버그가 내놓은 하나의 제안이다. 이 비디오는 ‘디지털 독서’라는 경험에 대한 논의를 확대하기 위해 공개되었다. 보니에르는 토론 페이지를 열어, 디지털 매거진에 대한 의견을 구하는 중이다. 이 의견들은 몇 달 후 공개될 ‘맥+’의 프로토타입의 기초가 될 것이라고. 

[Bonnier R&D Beta Lab] Digital Magazines: Bonnier Mag+ Prototype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5-20 | 바바라 크루거의 런던 지하철 노선도

2010년 5월 21일 이후 런던의 지하철역에서 포켓형 노선도를 집어들었다면, 표지에서 어딘가 이상한 점이 눈에 띄었을 것입니다. 노선도의 모습은 그대로인데, 역의 이름이 다릅니다. 가령 피카딜리 서커스 역은 ‘역설’, 웨스트민스터 역은 ‘이성’, 러셀 스퀘어 역은 ‘의심’, 템플 역은 ‘웃음’이 되었습니다. 바바라 크루거는 런던 도심의 지하철역에 어떤 상태, 개념, 감정의 단어를 붙였고, 그렇게 바뀐 노선도는 마음의 여정을 그린 마인드맵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

2009-08-26 | 토털 리콜, 데이터에 담긴 일생

한 사람의 인생을 전자적으로 기억할 수 있다면. 마이크로소프트 소속 컴퓨터과학자 고든 벨은 이를 목표로 1998년부터 자신의 삶을 디지털 아카이브화하기 시작했습니다. 말하자면 삶을 “e-기억”의 대상으로 전환하기 시작한 것이죠. 그렇게 구축한 데이터베이스와 다면적 분류 방식을 바탕으로 한 “총체적 기억”. 고든 벨과 짐 게멜의 서적 『토털 리콜』은 질문합니다. “만일 우리가 살아가며 노출되었던 그 모든 정보에, 계속해서 접속할 수 있다면 어떠한 일이 벌어질 것인가?”

2010-07-15 | 이번에는 세라믹

전기주전자와 세라믹의 만남. 프랑스의 엘리움 스튜디오가 디자인한 로벤타의 ‘세라믹 아트’입니다. 도자기와 찻주전자는 본래 친연하지만, 그것이 전기주전자일 때에는 이야기가 달라지겠지요. 엘리움 스튜디오는 엘라스토머 소재의 도움을 받아 세라믹과 가전의 안전한 동거를 성취했습니다. 오늘자 뉴스는 현대 도자 산업의 성취와 가능성을 다루었던 전시회 ‘오브제 팩토리’ 이야기와 함께 보아도 좋겠습니다.

2011-07-28 | 화장실 재발명

“지난 200년 간 그 어떤 혁신도 변기의 발명으로 촉발된 위생 혁명 이상 인명을 구하고 건강을 개선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충분히 나아가지는 못하고, 세상의 1/3까지만 다다랐을 뿐이다.” 세기가 바뀐 지 10년이 지났지만, 우리가 아는 모습의 화장실은 세계 인구 2/3에게는 희귀한 것이고, 아예 화장실이랄 것이 없는 인구도 10억 명에 달합니다. 그 결과는 참혹해서, 5세 이하 어린이의 사망 원인 두 번째가 설사병이며, 매년 1백만 명의 어린이가 적절한 위생 설비가 없어 목숨을 잃습니다. 2011년 빌 & 멜린다 게이츠 재단이 ‘화장실 재발명’ 프로그램을 시작한 이유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