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10-13 | 스튜디오 욥 x 빅터 & 롤프

Editor’s Comment

네덜란드의 디자이너 듀오 두 팀이 하나의 무대에서 만났습니다. 스튜디오 욥과 빅터 & 롤프가 그 주인공입니다. 2009년 파리패션위크에서 선보인 빅터 & 롤프의 2010 S/S 패션쇼 현장, 무대 양 옆으로 거대한 지구본과 대좌가 나란히 놓였습니다. 대좌를 또 하나의 무대 삼아 오른 로신 머피가 노래하고, 스와로브스키 크리스털로 장식한 지구본이 미러볼처럼 돌며 빛을 발하는 동안, 내년의 가벼운 옷을 입은 모델들이 무대를 걸었지요. “서로의 길이 교차할 때마다 함게 즐겁게 일한다”는 두 듀오의 협업은 이전부터 이어져 또 이후에도 계속되었습니다.

빅터 & 롤프 2010년 봄/여름 시즌 패션쇼 
오브제: 스튜디오 욥(Studio Job), 지구본 컬렉션: 스와로브스키(Swarovski), 대좌(臺座) 컬렉션: 빅터 & 롤프(Viktor & Rolf)
PHOTO © PETER STIGTER

10월 3일, 파리 패션 위크에서 빅터 & 롤프의 2010년도 봄/여름 컬렉션이 공개되었다. 런웨이가 시작되는 곳 양쪽으로는, 거대한 지구본 그리고 대좌가 자리잡고 있었다. 이번 무대의 디자인을 맡은 주인공은 스튜디오 욥. 디자이너 듀오 닝커 티나헐과 욥 스메이츠[1]가, 패션 디자이너 듀오 빅터 & 롤프를 위해 디자인한 것이다. 

PHOTO © PETER STIGTER
Photo by Dominique Charriau/WireImage.com

이번 런웨이에 등장한 지구본은 2008년 밀라노 국제가구박람회에서 열린 ‘스와로브스키 크리스털 팰리스’에서 선보였던 초대형 지구본이다. 직경 1m 75cm의 거대한 구체 위에, 50만 개의 스와로브스키 크리스털로 그려낸 지구의 모습을 담고 있다. 그 맞은 편에는 거대한 대좌 겸 스피커가 놓여 있다. 그 위에 오른 인물은 아일랜드 출신의 가수이자 환경운동가인 로신 머피(Róisín Murphy). 패션쇼가 진행되는 동안 그녀는 무대 위에서 노래했고, 그 맞은 편에서는 지구본이 빙글빙글 돌며 빛을 발했다. 

스튜디오 욥과 빅터 & 롤프. 이들의 협업은 이미 1990년대부터 시작되어 왔던 바, 이번 협업이 난데 없는 일은 아니다. 닝커 티나헐과 욥 스메이츠는 빅터 & 롤프와의 우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스튜디오 욥은 빅터 & 롤프와 오랜 우정을 간직해왔다. 우리의 길이 서로 교차할 때마다, 함께 즐겁게 일한다. 주얼리, 프린트, 가구, 그리고 이제는 런웨이 디자인까지 말이다.”

www.studiojob.nl

ⓒ designflux.co.kr


[1] 표기 수정: 닝케 티나헬 -> 닝커 티나헐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2-15 | 건축의 역사, 잡지의 역사

급진의 시대에 태어난 작은 건축 잡지들. 2007년 뉴욕에서 열린 전시회 ‘클립/스탬프/폴드: 급진적 건축 리틀 매거진 196x – 197x’의 이야기입니다. 전시는 1962년부터 1979년까지의 시간선 위에 폭발했던 작은 잡지들의 역사를 재조명합니다. 참고로 전시는 2010년 동명의 서적 출간으로도 이어졌습니다. 

2008-12-16 | ‘찌지직! 종이 패션’ 전시회

의복의 소재로 삼기에는 연약해 보이는 종이에 도전한 패션을 조명합니다. 2008년 룩셈부르크 현대미술관에서 ‘찌지직! 종이 패션’이라는 이름의 전시가 열렸습니다. 실제로 입을 수 있는 엄연한 의상의 재료로서 활약했던 종이 패션의 역사를 돌아보는 자리였지요. 오랜만에 다시 보는 후세인 샬라얀의 ‘항공우편 드레스’가 반갑습니다. 

2010-06-07 | “BP에 BP다운 로고를”

2010년 4월 20일, 미국 멕시코만에서 BP의 석유 시추시설이 폭발했고, 이후 5개월 간 1억 7천만 갤런의 원유가 바다로 흘러들었습니다. “최악의 원유 유출 사고” 후, 그린피스는 BP에 BP다운 로고를 선사하자며 로고 리디자인 공모전을 전개했습니다. 초록빛 가득한 “로고의 이면”을 드러내기 위함이었지요. 참가자들이 새롭게 디자인한 로고들은 매끄럽지는 못할지라도 ‘석유를 넘어’와 같은 BP의 슬로건이 얼마나 위선적인지를 고발합니다.

2010-12-07 | 생일 축하합니다, 고다르!

장-뤽 고다르 감독의 80번째 생일을 맞아, 스튜디오 카르발류 베르나우가 선보인 폰트의 이름은 ‘장-뤽’입니다. 고다르 영화 두 편의 타이틀 시퀀스에 등장하는 레터링을 참조하여 태어난 대문자 그로테스크 서체인데요. ‘장-뤽’ 서체와 함께 카르발류와 베르나우가 말하는 고다르 영화 속 레터링이 지닌 특징, 그 연원과 영향에 관한 생각 그리고 관련 자료들도 흥미롭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