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9-07 | 디터 람스 – 레스 앤드 모어

Editor’s Comment

디자인에 그다지 관심이 없는 사람에게도 이 이름은 낯설지 않을 것입니다. 또 디자이너들의 디자이너이기도 하죠. 2009년 런던 디자인뮤지엄에서 ‘디터 람스 – 레스 앤드 모어’ 전시가 열렸습니다. 전시는 디터 람스의 40년 커리어 중에서 약 12년 정도의 기간에 집중하며, 그 시기의 “랜드마크”라 할 제품 작업들을 통해, 디터 람스의 세계를 조명했습니다. 

‘수퍼헤트 VHF & 중파 라디오(SuperHet VHF and medium wave radio)’, 1961, 브라운 

오는 11월 18일, 런던 디자인 뮤지엄에서 디자이너 디터 람스(Dieter Rams)의 회고전, ‘디터 람스- 레스 앤드 모어’가 열린다. 1955년 브라운에 입사한 이래, 그는 500여 개 이상의 제품디자인을 선보였다. 시각적으로 엄격한 디자인 언어로 구현된 그의 디자인들은 우아하면서도 알기 쉽고 아름다웠다. 오디오 기기, 계산기, 면도기 그리고 선반 가구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그의 디자인은 산업디자인 및 가구디자인 역사에 특별한 족적을 남겼고, 디터 람스라는 이름은 오늘날의 디자인 풍경에 막대한 영향력을 미쳤다. 

‘T 1000 포터블 라디오(T 1000 Portable radio)’, 1963, 브라운
Photo Koichi Okuwaki
‘606 유니버설 선반 시스템(606 Universal Shelving System)’, 1960, 비초에

‘디터 람스 – 레스 앤 모어’에서는 40년 디터 람스 디자인 역사에 있어 12년 정도의 기간을 집중적으로 조명한다. 디자인 뮤지엄은 “그의 디자인 에토스가 어떻게 영감을 얻었는지, 당대 주류 디자인의 시각에 어떻게 도전해왔는지, 그리고 현대 디자인에 디터 람스가 미친 영향을 평가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설명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브라운, 비초에를 통해 선보였던 “랜드마크” 디자인들을 선보인다. 더불어 조너선 아이브, 재스퍼 모리슨, 샘 헥트(인더스트리얼 퍼실리티), 나오토 후카사와 등 동시대 거장들이 이야기하는 디터 람스에 관한 인터뷰 영상들도 함께 공개된다.

‘오디오 300 라디오-폰 겸용기(Audio 300 Radio-phone combination)’, 1969, 브라운 
Photo: Koichi Okuwaki
‘300 스페셜 DL 3(300 Special DL 3)’, 1955, 브라운
Photo: Koichi Okuwaki

www.designmuseum.org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9-01 | 2009 인덱스 어워드 ‘일’ 부문 수상작: kiva.org

1년 전 오늘 인덱스 어워드의 ‘놀이’ 부문 수상작에 이어, 이번에는 ‘일’ 부문을 수상한 kiva.org를 다시 만나봅니다. 키바는 마이크로 파이낸스 사이트입니다. 삶을 바꾸기 위한 씨앗 자금이 필요한 사람과 이에 돈을 빌려줄 사람을 연계합니다. 한 사람이 빌려줄 수 있는 최대 금액은 25달러. 물론 기부가 아니라 엄연한 대출입니다. 그렇게 모인 금액이 누군가에게는 배달용 밴을 구입 대금이, 누군가의 대학교 학비가, 누군가에게 여성 수공예인을 한 명 더 채용할 자금이 되죠. 키바는 지금도 운영 중이고, 대출 상환률은 96%이라고 합니다. 

2008-06-25 | 앱솔루트 레인보우

성 소수자의 인권을 기념하는 프라이드 먼스 6월을 맞아, 2008년 앱솔루트의 병도 무지개 깃발을 둘렀습니다. ‘앱솔루트 컬러스’는 무지개 깃발 탄생 30주년을 기념하여, 앱솔루트가 바로 그 깃발의 디자이너 길버트 베이커와 함께 협업하여 선보인 첫 번째 프라이드 보틀입니다. 1978년 베이커가 디자인한 오리지널 여섯 색상 무지개는 성소수자 인권 운동의 상징이 되어 세계 곳곳에서 휘날렸고, 보다 다양한 정체성을 포용하기 위한 변주도 수없이 이뤄져, 베이커 본인도 2017년에는 9가지 색상의 무지개 깃발을 디자인했지요. 성소수자 자긍심의 상징. 무지개 깃발은 참고로 2015년 뉴욕 MoMA의 디자인 소장품 목록에 올랐습니다.

텅 빈방, 덩그러니 놓인 QR 코드: 2021 베니스건축비엔날레 독일관

제17회 베니스 건축비엔날레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1년 연기되어, 원래 개막일이었던 2020년 5월 22일로부터 정확히...

2011-07-25 | 전쟁의 창: 소비에트 타스 포스터 1941-1945

1941년 독일이 불가침 조약을 깨뜨리며 소비에트를 침공하면서, 장장 4년의 독일소련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그 길고 참혹한 전쟁은 전선에서만 이뤄진 것은 아니었습니다. 선 뒤에서도 치열한 이미지 전쟁이 펼쳐졌지요. 2011년 시카고미술관에서 열린 ‘전쟁의 창: 소비에트 타스 포스터 1941-1945)’는 포스터라는 매체를 통해 소비에트의 “대조국전쟁”의 또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