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8-26 | 빈티지 기모노의 변신

Editor’s Comment

아시아티카의 옷은 확실히 옷감에서 출발합니다. 빈티지 기모노부터 동시대 일본과 이탈리아의 옷감들을 한 폭 한 폭 사들여, 그것으로 옷을 짓지요. 특히 이들이 수집한 빈티지 기모노는 단 하나 뿐인 옷으로 재탄생합니다. 2009년 오늘 소개했던 아시아티카는 반갑게도 여전히 캔자스 시티에서 매년 새로운 컬렉션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오래된 기모노의 변신. 엘리자베스 윌슨(Elisabeth Wilson)과 피피 화이트(Fifi White)가 설립한 패션 브랜드 아시아티카(Asiatica)는 기모노를 비롯한 빈티지 패브릭과, 현대적인 디자인을 조화시켜 아름다운 의류를 내놓고 있다. 재활용이라는 카테고리로 분류해버리기엔, 완성도 높은 만듦새와 디자인이 눈길을 끈다. 

아시아티카는 재킷, 블라우스 등 다양한 의류들을 선보이고 있는데, 전반적으로 유행과는 거리가 먼, 보다 원숙한 느낌의 제품들이다. 특히 빈티지 기모노는 이 브랜드의 주요 소재 중 하나다. 푸마의 한정판 스니커즈 ‘유토리 기모노’가 그러했듯, 오래된 기모노는 종종 멋진 원천이 되곤 한다. 

패치워크 기법을 토대로 한 재활용 디자인 이외에도, 일본의 텍스타일 생산업체 누노(Nuno)의 현대적인 패브릭을 이용한 의상들도 눈여겨 볼 만 하다. 아시아티카의 홈페이지를 방문하면 의류 외에도 장신구, 인테리어 소품까지도 감상할 수 있다. 더불어 올 가을에는 미국 주요 도시를 순회하며 트렁크 쇼도 가질 예정이라고. 

via inhabitat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1-07 | OMA, 코펜하겐 기후변화회의의 실패를 말하다

1995년 처음 열린 국제연합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COP가 벌써 26차를 지났습니다. 지난 11월 글래스고에서 개최된 COP26은 그러나 기대 이하에 그쳤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석탄발전의 단계적 폐지라는 목표는 감축으로 완화되었고, 결국 탈석탄 성명에는 미국, 인도, 중국, 호주, 일본 등 석탄 의존도가 높은 국가들의 서명이 빠졌습니다. 문제는 초국가적인데 해결의 단위는 국가라는 점이 문제일까요? 2009년 COP15의 ‘실패’에 관해 OMA의 레이니어르 더 흐라프는 그렇다고 보았습니다. 

2011-08-25 | 베이루트 전시 센터 아이덴티티 디자인

지금은 문을 닫은 베이루트 전시 센터는 레바논을 비롯해 중동 지역의 현대 미술을 소개하는 비영리 기관이었습니다. 센터의 아이덴티티는 두 개의 언어로 이뤄져 있었으니, 아랍어와 영어입니다.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맡은 메리 슈에이터는 두 가지 언어 각각의 타이포그래피 규칙을 모두 다듬어, 어느 한 언어의 문자가 다른 한 쪽에 억지로 순응하지 않도록 하였다고 설명합니다. 또 이 아이덴티티의 간판 버전은 센터의 건축 디자인과도 연결되는 세심함을 보여주었죠. 

오리와 농부의 공생 관계: 노르딕 하우스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의 노르딕 하우스(The Nordic House)에서 전시 ‘실험: 오리와 농부(Experiment–Eider&Farmer)’가 7월 31일까지 개최된다. 이번...

파워 카이트: 상공에 띄우는 풍력 발전 시스템

독일 함부르크의 스카이세일즈 그룹(SkySails Group)이 세계 최초로 하늘을 나는 풍력 발전 시스템을 선보였다. 풍력...

Designflux 2.0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