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8-26 | 토털 리콜, 데이터에 담긴 일생

Editor’s Comment

한 사람의 인생을 전자적으로 기억할 수 있다면. 마이크로소프트 소속 컴퓨터과학자 고든 벨은 이를 목표로 1998년부터 자신의 삶을 디지털 아카이브화하기 시작했습니다. 말하자면 삶을 “e-기억”의 대상으로 전환하기 시작한 것이죠. 그렇게 구축한 데이터베이스와 다면적 분류 방식을 바탕으로 한 “총체적 기억”. 고든 벨과 짐 게멜의 서적 『토털 리콜』은 질문합니다. “만일 우리가 살아가며 노출되었던 그 모든 정보에, 계속해서 접속할 수 있다면 어떠한 일이 벌어질 것인가?”

1998년, 마이크로소프트의 컴퓨터과학자 고든 벨(Gordon Bell)은 동료와 함께 ‘마이라이프비트(MyLifeBits)’라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는 벨의 전 인생을 디지털로 기록하려는 시도였다. 그가 행했고 보았고 썼고 먹었고 느꼈던 모든 것을 담은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기 시작한 것이다. 고든 벨은 사진, 기록, 편지, 일기 등 생활의 편린 모두를 저장했다. 고든 벨의 인생은 그리하여 다음과 같은 숫자로 요약된다.

그는 222,173개(24.5GB)의 웹페이지를 방문했고, 총 225권(4.5GB)의 책을 읽었으며, 156,041통(0.6GB)의 이메일을 주고 받았다. 작성한 파워포인트 문서는 2,776건(8.1GB), 촬영한 사진의 수는 56,282(24.9GB)이다. 그리고 이 모든 기록은 진정한 “토털 리콜”을 위한 디딤돌이 되었다. 

그의 서적 『토털 리콜 Total Recall』은 소위 “e-기억”으로의 전환을 이야기하고 있다. 저장 매체들의 용량이 늘어나고, 생활을 기록하고 저장할 수 있는 매체들이 다각화되면서, 마치 고든 벨이 그러했듯 인생을 디지털 아카이브화할 수도 있게 되었다. 

하지만 문제는 저장만이 아니라 저장된 기록을 어떻게 불러내는가이기도 하다. 고든 벨은 자신이 구축한 데이터베이스와 다면적인 분류 방식을 통해서라면, 신체기반 기억보다 더욱 창조적인 방식으로 과거를 기억할 수 있으리라고 말한다. 이것이 바로 그가 이야기하는 “토털 리콜”이다. “만일 우리가 살아가며 노출되었던 그 모든 정보에 계속해서 접속할 수 있다면 어떠한 일이 벌어질 것인가?” 

고든 벨, <토털 리콜>

via wired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8-09-16 | 제11회 베니스 비엔날레 국제건축전 수상자

2020년 팬데믹으로 많은 디자인 행사가 취소되거나 온라인으로 전환되거나 연기되었지요. 베니스 비엔날레 국제건축전은 미루는 쪽을 택했습니다. 그것도 두 번이나요. 그래서 본래 올해는 열리지 않았을 제17회 베니스 비엔날레 건축전이 이제 중반을 지나가고 있습니다. 건축전이 한창인 지금, 2008년도 베니스 비엔날레 건축전의 수상자들을 다시 만나봅니다.

2009-09-01 | 2009 인덱스 어워드 ‘일’ 부문 수상작: kiva.org

1년 전 오늘 인덱스 어워드의 ‘놀이’ 부문 수상작에 이어, 이번에는 ‘일’ 부문을 수상한 kiva.org를 다시 만나봅니다. 키바는 마이크로 파이낸스 사이트입니다. 삶을 바꾸기 위한 씨앗 자금이 필요한 사람과 이에 돈을 빌려줄 사람을 연계합니다. 한 사람이 빌려줄 수 있는 최대 금액은 25달러. 물론 기부가 아니라 엄연한 대출입니다. 그렇게 모인 금액이 누군가에게는 배달용 밴을 구입 대금이, 누군가의 대학교 학비가, 누군가에게 여성 수공예인을 한 명 더 채용할 자금이 되죠. 키바는 지금도 운영 중이고, 대출 상환률은 96%이라고 합니다. 

2010-09-07 | 신규 소장품입니다

2010년 미국의 쿠퍼-휴잇 내셔널 디자인 뮤지엄이 새로운 소장품 다섯 점을 일반에 공개했습니다. ‘신규 소장품: 디지털 타이포그래피’라는 이름으로 소개된 다섯 점의 작품들은 이른바 데스크톱-디자인 시대 이후의 작품들이 주를 이루지만, 1960년대 빔 크라우벌이 보여주었던 디지털 시대 이전의 서체 실험까지도 포용합니다.

2009-08-18 | ‘인베이더’ 개인전

세계 곳곳에 외계 침공자가 숨어 있습니다. 프랑스의 아티스트 ‘인베이더’는 1970년대의 컴퓨터 게임 <스페이스 인베이더>의 침략자들을 도시 풍경 속에 숨겨 놓으며 이름을 알렸습니다. 당대의 도트 그래픽을 모자이크 타일로 재현하는 방식으로요. 2009년 열린 인베이더의 개인전이 오늘의 소식입니다. 모자이크 타일 외에도 루빅스 큐빅으로도 특유의 ‘저해상도’ 그래픽을 구현했지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