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8-26 | 토털 리콜, 데이터에 담긴 일생

Editor’s Comment

한 사람의 인생을 전자적으로 기억할 수 있다면. 마이크로소프트 소속 컴퓨터과학자 고든 벨은 이를 목표로 1998년부터 자신의 삶을 디지털 아카이브화하기 시작했습니다. 말하자면 삶을 “e-기억”의 대상으로 전환하기 시작한 것이죠. 그렇게 구축한 데이터베이스와 다면적 분류 방식을 바탕으로 한 “총체적 기억”. 고든 벨과 짐 게멜의 서적 『토털 리콜』은 질문합니다. “만일 우리가 살아가며 노출되었던 그 모든 정보에, 계속해서 접속할 수 있다면 어떠한 일이 벌어질 것인가?”

1998년, 마이크로소프트의 컴퓨터과학자 고든 벨(Gordon Bell)은 동료와 함께 ‘마이라이프비트(MyLifeBits)’라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는 벨의 전 인생을 디지털로 기록하려는 시도였다. 그가 행했고 보았고 썼고 먹었고 느꼈던 모든 것을 담은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기 시작한 것이다. 고든 벨은 사진, 기록, 편지, 일기 등 생활의 편린 모두를 저장했다. 고든 벨의 인생은 그리하여 다음과 같은 숫자로 요약된다.

그는 222,173개(24.5GB)의 웹페이지를 방문했고, 총 225권(4.5GB)의 책을 읽었으며, 156,041통(0.6GB)의 이메일을 주고 받았다. 작성한 파워포인트 문서는 2,776건(8.1GB), 촬영한 사진의 수는 56,282(24.9GB)이다. 그리고 이 모든 기록은 진정한 “토털 리콜”을 위한 디딤돌이 되었다. 

그의 서적 『토털 리콜 Total Recall』은 소위 “e-기억”으로의 전환을 이야기하고 있다. 저장 매체들의 용량이 늘어나고, 생활을 기록하고 저장할 수 있는 매체들이 다각화되면서, 마치 고든 벨이 그러했듯 인생을 디지털 아카이브화할 수도 있게 되었다. 

하지만 문제는 저장만이 아니라 저장된 기록을 어떻게 불러내는가이기도 하다. 고든 벨은 자신이 구축한 데이터베이스와 다면적인 분류 방식을 통해서라면, 신체기반 기억보다 더욱 창조적인 방식으로 과거를 기억할 수 있으리라고 말한다. 이것이 바로 그가 이야기하는 “토털 리콜”이다. “만일 우리가 살아가며 노출되었던 그 모든 정보에 계속해서 접속할 수 있다면 어떠한 일이 벌어질 것인가?” 

고든 벨, <토털 리콜>

via wired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6-12-15 | 로고들의 무덤

‘로고 R.I.P.’는 지금은 사라진 그러나 고전이라 할 로고들을 기념합니다. 책으로, 웹사이트로, 또 묘지의 비석으로도 말이지요. 암스테르담에서 브랜딩 컨설턴시인 더 스톤 트윈스를 함께 운영하는 쌍둥이 형제, 데클란 스톤과 가렉 스톤은 AT&T에서 제록스에 이르기까지, 사멸한 로고들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마차 부고 기사 속 생애의 요약처럼요.

2007-06-29 | 바젤 시민들, 신슈타트카지노에 반대표를 던지다

바젤시의 슈타트카지노는 이름은 카지노이지만 실제로는 콘서트홀입니다. 본래의 건물은 1824년에 지어졌지만, 현재의 건물은 다시 지어져 1939년에 문을 열었습니다. 이 건물을 새롭게 단장하기 위해 2003년 바젤시는 건축 설계안을 공모했고, 자하 하디드의 설계가 당선되었지요. 그의 설계는 마치 이 유서 깊은 문화 지구의 원 콘서트홀 위로 이질적인 매스가 착륙해 감싸 안은 듯한 모습이었습니다. 그래서였을까요. 2007년 바젤 지역 주민들은 이 ‘신슈타트카지노’ 사업에 반대표를 던졌고, 결국 사업은 무산되었습니다.(...)

2011-01-13 | 덴마크 교도소 설계 공모 당선작

종종 북유럽 국가의 교정 시설이 놀라움과 함께 회자되곤 합니다. 분명 수감을 위한 공간인데, 여느 주거 공간 못지 않아 보이기 때문이겠죠. 2011년 오늘의 소식은 덴마크의 교도소 설계 공모 당선작입니다. C. F. 묄레르 아키텍츠는 교도소 건축의 주요 유형 중 하나인 방사형 구조를 기반으로 하나의 자족적인 마을처럼 보이는 교도소 시설을 설계하였습니다. 

2009-05-21 | 루빅스 큐브로 만드는 글자

‘학생들의 디자인’은 주요한 뉴스 유형 중 하나입니다. 2009년의 오늘자 뉴스도 여기에 속하지요. 리버풀 존 무어스 대학 졸업을 앞두었던 예비 타이포그래퍼 야스 바쿠는 루빅스 큐브를 폰트 생성기로 변형시켰습니다. 놀이의 즐거움을 간직한 디자인으로, 그해 여러 매체에 소개되었던 작업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