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8-18 | ‘인베이더’ 개인전

Editor’s Comment

세계 곳곳에 외계 침공자가 숨어 있습니다. 프랑스의 아티스트 ‘인베이더’는 1970년대의 컴퓨터 게임 <스페이스 인베이더>의 침략자들을 도시 풍경 속에 숨겨 놓으며 이름을 알렸습니다. 당대의 도트 그래픽을 모자이크 타일로 재현하는 방식으로요. 2009년 열린 인베이더의 개인전이 오늘의 소식입니다. 모자이크 타일 외에도 루빅스 큐빅으로도 특유의 ‘저해상도’ 그래픽을 구현했지요. 

런던, 파리, LA, 홍콩, 이스탄불… 세계 40여 도시 곳곳에 그의 흔적이 남아 있다. 프랑스의 아티스트 인베이더(Invader). 그는 1970년대 컴퓨터 게임 <스페이스 인베이더>의 캐릭터들을 모자이크 타일로 만들어, 도시 속에 숨겨두었다. 어느 이름 모를 모퉁이에서 저 유명한 ‘헐리우드’ 간판에 이르기까지, 여전히 그의 작품은 ‘불법’ 설치물이지만, 그 자그마한 침략자들을 만나기 위해, 작품 지도가 나왔을 정도다. 

그리고 지난 8월 14일, 인베이더의 개인전 ‘로우 피델리티(Low Fidelity)’가 런던 라자라이즈(Lazarides)의 래스본 갤러리에서 개막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스페이스 인베이더’ 시리즈는 물론이고, 신작 ‘루빅큐비즘(Rubikcubism)’도 함께 선보인다. 이 작품에서 인베이더는 루빅스 큐빅을 픽셀로 삼아, 유명한 앨범 커버들을 재창조했다. 벨벳 언더그라운드, 마이클 잭슨, 록시 뮤직, 큐어, 데이비드 보위 등 유명 뮤지션들의 앨범 커버를 ‘저해상도’ 버전으로 만나볼 수 있다. 

그리고 또 한 가지. ‘로우 피델리티’에서 주목할 만한 또 다른 작품은 바로 인베이더식 바코드이다. 큐빅으로 QR코드들이 그것으로, 이 작품을 온전히 감상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카메라가 내장된 휴대폰이 필수다. QR코드 이미지를 카메라로 촬영하면, 이를 “해독해” 이미지를 텍스트 메시지로 변환하게 된다. 말하자면 향수어린 과거의 무엇에 현대적 기술을 결합한 작품이라 하겠다. 

자그마한 우주 침공자들과의 반가운 만남. 여기에 루빅스 큐빅이라는 80년대의 아이콘과 QR코드 기술의 융합까지. ‘로우 피델리티’ 전시회는 9월 17일까지 계속된다.

www.space-invaders.com
www.lazinc.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코로나 시대 1년, 디자인의 변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코로나 19의 팬데믹을 선언한 날이 2020년 3월 11일이니, 공식적으로 전세계인들의 발이 묶인지 1년 2개월이 지났다. 팬데믹 선언 이후, 미디어에서는 코로나 시대의 디자인에...

2011-10-19 | 타시타 딘의 ‘필름’

타시타 딘은 줄곧 필름을 매체로 활동해온 미술가입니다. “화가에게 물감이 필요하듯 내게는 필름이 필요하다”고 말할 정도로요. 2011년 그가 테이트 모던에서 선보인 ‘필름’은 위기에 처한 필름의 물질성과 특유함을 전면에 드러냅니다. 아날로그 매체로서의 필름을 찬미하는 기념비인 동시에 쇠락해가는 매체의 초상. <가디언> 리뷰는 이를 두고 “오마주이자 레퀴엠”이라 표현하기도 했지요.

2011-01-19 | 적기 혹은 생산의 소역사

0년의 시간선 위에 각기 자리한 네 대의 탁상형 인쇄 기계를 지나 한 권의 책이 태어납니다. 왕립예술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 아트 & 디자인을 전공한 자비에 앙탱이 졸업작품으로 선보인 ‘적기 혹은 생산의 소역사’입니다. 

디자인스토리 | 2009 | 타미네 자반바크트와의 대화

2009 광주디자인비엔날레의 초청으로 아르테니카(Artecnica)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타미네 자반바크트가 한국을 찾았다. 지난 9월 16일, 디자인플럭스는...

Designflux 2.0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