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8-10 | 어둠 속 빛나는 아이디어

Editor’s Comment

브루케타 & 지니치는 1995년 설립된 크로아티아의 디자인 회사로, 브랜딩, 광고 등 커뮤니케이션 분야를 주력으로 활동해왔습니다. 디자인플럭스에서는 이들의 연차 보고서 작업을 두 번 소개했는데요. 하나는 오븐에 구워야 내용이 나타나는 식품 회사의 보고서였고, 두 번째는 여기 어둠 속 빛을 발하는 야광 보고서입니다. 참고로 브루케타 지니치는 2017년 국제적인 광고대행사 그레이 산하에 들어갔고, 2020년 그레이가 디지털 마케팅 회사 AQKA와 합병하면서, 이제 AKGQ 그룹에 속해 있습니다. 

“오븐에 구워” 읽어야 했던 애뉴얼 리포트 디자인을 기억하시는지? 식품 회사 포드라브카의 애뉴얼 리포트, ‘웰던’은 적정 시간을 구워야 비로소 그 내용들이 모습을 드러내는, 그야말로 식품 회사다운 애뉴얼 리포트였다. ‘웰던’의 주인공, 브루케타 & 지니치(Bruketa & Žinić)가 또 하나의 애뉴얼 리포트 디자인을 선보였다. 아드리스 그룹의 2008-2009년도 애뉴얼 리포트가 그것이다. 

아드리스 그룹은 위기라는 단어로 점철된 지난 한 해, 기꺼이 자랑하고픈 성과를 거두었다. 아드리스 그룹은 이 성공적인 결과를 단 하나의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했다. “좋은 아이디어가 어둠 속에 빛난다.” 어려운 시기, 오로지 좋은 아이디어만이 위기 탈출의 빛을 밝혀줄 수 있다는 그들의 메시지는, 브루케타 & 지니치의 손에서 문자 그대로의 의미를 획득했다. 애뉴얼 리포트의 제목 그대로, 어둠 속에서 푸른 빛을 발하는 표지 디자인이 탄생한 것이다. 더불어 아드리스 직원 한 사람 한 사람이 곧 빛나는 아이디어라는, 다소 낯간지러운 메시지 역시 리포트 디자인에 결합되었다. 성과를 제시하는 지표들의 페이지 사이, 그러니까 절단되지 않은 페이지 안쪽마다, 아드리스 직원 3천여 명의 이름이 빼곡히 들어 있다. 

어둠 속에 빛나는 아이디어, 어둠 속에 빛나는 애뉴얼 리포트. 브루케타 & 지니치는 다보르 브루케타(Davor Bruketa)와 니콜라 지니치(Nikola Žinić)가 설립한 디자인 회사로, 크로아티아를 대표하는 디자인 스튜디오 가운데 하나이다. 

www.bruketa-zinic.com
[디자인플럭스] 브루케타 & 지니치 – ‘웰던’

via yatzer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10-14 | 잉크, 드레스 속에 흐르다

아나욱 비프레흐트는 인터페이스로서의 패션을, 패션으로서의 기술을 디자인합니다. 그가 2010년 선보인 ‘쉬도모프’는 그의 행보가 무엇인지를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였지요. 잉크, 밸브, 전자회로가 더해진 두터운 펠트 드레스는, 기계가 작동하는 순간 드레스 안으로 잉크가 스며들며 번져나가 무늬를 만들어냅니다. 이후로도 그는 계속해서 “패션테크”의 영역을 탐색하고 있습니다. 

2011-07-27 | V&A 일러스트레이션 어워즈

V&A의 일러스트레이션 어워즈가 올해로 50주년을 맞이했습니다. 1972년 시작된 이래, 영국의 주요 일러스트레이션 공모전으로 자리잡은 행사입니다. 처음에는 도서만을 대상으로 했던 공모전 시상 부문은 현재 북 커버, 북 일러스트레이션, 저널리즘 일러스트레이션 세 가지로 확대되었고, 학생 부문도 별도로 시상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V&A 일러스트레이션 어워즈 2011년도 수상작을 되돌아봅니다. 

2010-08-27 | ‘대즐’ 무늬의 귀환

선박 보호를 위한 전쟁용 위장무늬가 요트의 장식이 되어 귀환했습니다. 이름하여 ‘대즐 위장’이 등장한 것은 제1차 세계대전 때입니다. 영국의 미술가 노먼 윌킨슨이 발명한 이 무늬는 대조적인 색상의 기하학적 도형들이 이루는 과감한 패턴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보통의 위장 무늬가 주변 환경과의 동화를 도모한다면, 대즐의 목표는 시각을 교란하는 데 있습니다.(...)

2009-05-06 | 2009 내셔널 디자인 어워드

매년 찾아오는 연례 디자인 시상 행사 소식 중에는 미국 쿠퍼 휴잇 스미소니언 디자인 뮤지엄(2014년부터 이름이 이렇게 바뀌었습니다)의 ‘내셔널 디자인 어워드’가 있었습니다. 특히 2009년에는 시상 부문이 신설되었는데요. 바로 인터랙션 디자인입니다. 그에 발맞추듯 평생공로상도 빌 모그리지에게 돌아갔습니다. 참고로 빌 모그리지는 이듬해부터 2012년까지 3년간, 이곳 디자인 뮤지엄의 관장을 맡았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