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4-19 | 브랜드로서 케이트 모스

Editor’s Comment

2007년 패스트패션 브랜드 톱숍이 ‘케이트 모스’ 컬렉션을 발표합니다. 이를 위해 ‘브랜드 이름으로서의’ 케이트 모스를 위한 아이덴티티 디자인이 필요해졌지요. 디자이너 피터 사빌과 타이포그래퍼 폴 반즈가 찾은 답은 반세기도 전에 태어난 오래된 서체, ‘알-브로’였습니다.

다음 달이면 전 세계 톱숍 매장에서 브랜드 명으로서의 ‘케이트 모스’를 만날 수 있다. 수많은 워너비들을 지닌 패션 아이콘과 패션 브랜드의 만남은 더 이상 새로운 것이 아니다. 하지만 하나의 이름이 브랜드의 이름으로 변모하는 과정, 즉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구축 과정을 엿볼 수 있는 기회는 그리 흔치 않다. 

케이트 모스가 지닌 독특한 지위란, 그녀가 형언할 수 없이 아름다워서 시대의 아이콘이 된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있다. 그녀를 돋보이게 하는 요소는 일종의 불완전함이었다(가령 우리는 모델로서 너무 작은 키, 여성미를 드러내기에는 너무 마른 몸 등을 떠올릴 수 있다). 케이트 모스를 브랜드화 하고자 한다면 바로 이 독특한 지점들을 부각해야 한다. 

크리에이티브 리뷰에 ‘케이트 모스가 브랜드 명이 되기까지’의 과정을 담은 흥미로운 리포트가 게재되었다. 장식미가 깃든 복고적인 서체로 쓰여진 ‘Kate Moss’ 로고는, 그래픽 디자인 계의 거장 피터 사빌(Peter Saville)과 타이포그래퍼 폴 반즈(Paul Barnes)의 공동 작품이다. 

피터 사빌은 “케이트 모스라는 아이덴티티에 관한 수많은 표현물을 하나로 통합할 필요가 절실했다”고 이야기한다. 이는 비단 톱숍과의 협업으로 구체화된 의류 브랜드뿐만 아니라, 그녀가 운영하는 모델 에이전시 스톰(Storm)의 대외 활동과도 연관되어 있다. 

브랜드 아이덴티티 작업을 위해 피터 사빌은 그녀의 서명을 로고화해볼까 하는 아이디어를 실험해보았다고 한다. 하지만 결과물이 썩 만족스럽지 못했고 결국 알맞 서체를 찾아보기로 결정한 후, 타이포그래퍼 폴 반즈를 찾아갔다. 이 두 사람은 한 가지 문제에 부딪혔다. ‘Kate’라는 단어에 어울리는 폰트들은 상당히 많았다. 문제는 ‘Moss’였다. “Moss는 모스 브라더스, 내셔널 트러스트 토지 운동 등 엉뚱한 뜻을 연상시키며 본래의 의미에서 미끄러지기 일쑤였다”.

그러다 폴 반즈는 과거 언젠가 작업에 사용해 보리라 기억해두었던 한 서체를 떠올리게 되었다고. (1934년부터 57년까지 <하퍼스 바자>의 아트 디렉터로 일했던 전설적인 인물) 알렉세이 브로도비치(Alexey Brodovitch)가 디자인한 서체가 그것이다. 폴 반즈는 “장난 삼아 한 번 이 서체를 써봤는데, 실제로 결과가 상당히 괜찮았다. 기교가 많으면서도 여전히 모던한 느낌을 지니고 있었다. 그것은 케이트 모스 개인이 지닌 어떤 특징과 유사했다.” 그리고 케이트 모스 역시 20개의 시안 중에 숨어 있던 이 디자인을 단번에 선택하였다. “이게 바로 내가 원하는 거예요.”

브랜드로서의 케이트 모스를 표현하기 위한 두 디자이너의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통해, 하나의 인명이 브랜드명이 될 때 그 안에 어떠한 요소들이 담기게 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케이트 모스라는 개인의 정체성, 그녀의 이름이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방식, 구체적인 패션 브랜드로서 이 브랜드가 표방하는 개성 등은 기본이다. 물론 ‘그래픽’의 관점에서 바라본 두 개의 단어에 대한 디자이너들의 평가도 흥미롭다. 결국 이들은 아이콘으로서의 케이트 모스 개인과, Moss라는 까다로운 단어마저 멋지게 소화하는 서체를 찾아냈다. 복고적인 느낌에, 약간은 변덕스러운 듯 하면서 세련된 그러한 서체를 말이다. 

[Creative Review] Kate Moss: The Brand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누구나 만들 수 있는 자전거 #Openbike

스페인 건축 스튜디오 아르키마냐(arquimaña)의 ‘오픈 바이크(#Openbike)프로젝트’에서는 도면을 다운로드하여 나무 자전거를 제작할 수 있는 오픈...

2009-10-21 | 네덜란드 베스트 북 디자인

지난 한 해 네덜란드에서 출간된 책들 가운데 빼어난 북 디자인의 사례들을 선정하여 한자리에 모읍니다. 네덜란드 우수디자인도서재단과 암스테르담 시립미술관이 주최하는 ‘네덜란드 베스트 북 디자인’입니다. 2009년에는 어떤 디자이너의 어떤 책들이 선정되었을까요. 참고로 네덜란드 북 디자인하면 떠오르는 그 이름도 역시 있습니다. 

2010-10-14 | 잉크, 드레스 속에 흐르다

아나욱 비프레흐트는 인터페이스로서의 패션을, 패션으로서의 기술을 디자인합니다. 그가 2010년 선보인 ‘쉬도모프’는 그의 행보가 무엇인지를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였지요. 잉크, 밸브, 전자회로가 더해진 두터운 펠트 드레스는, 기계가 작동하는 순간 드레스 안으로 잉크가 스며들며 번져나가 무늬를 만들어냅니다. 이후로도 그는 계속해서 “패션테크”의 영역을 탐색하고 있습니다. 

2011-04-27 | 플란크 x 콘스탄틴 그리치치

이탈리아의 가구 회사 플란크가 2011년 또 한 번 콘스탄틴 그리치치와 함께 새 의자를 선보였습니다. ‘아부스’는 확실히 단정한 라운지 공간에 어울릴 법한 의자입니다. 플란크와 콘스탄틴 그리치치의 또 다른 협업은 이미 2007년 7월 13일자 뉴스로도 소개한 바 있는데요. 참고로 ‘미토’는 ‘아부스’가 나온 2011년 황금콤파스를 수상했습니다. 그리고 여전히 플란크의 대표 제품으로 남아 있죠. 

Designflux 2.0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