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4-14 | 포르마판타스마의 ‘자급자족’

Editor’s Comment

어제에 이어 또 다른 ‘자급자족’의 디자인입니다. 2010년 디자이너 듀오 포르마판타스마가 선보인 ‘자급자족’은 재료로 보나 제작 방식으로 보나 모두 소박한 자급자족의 공동체에서 태어났을 법한 물건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포르마판타스마는 앞서 소개했던 ‘다음 10년, 20인의 디자이너’에서도 언급되었는데요. 지난 10년 정말로 그러했고, 또 앞으로의 10년도 묵직한 기대감을 갖게 하는 이름입니다

포르마판타스마(Formafantasma)의 신작, ‘자급자족(Autarky)

포르마판타스마의 새 프로젝트가 밀라노에서 공개된다. 상품을 생산하는 자율적인 방식의 제안. ‘자급자족’은 산업시대 이전의 역사로 돌아가려는 시도처럼 보인다. 그들은 상상한다. 오직 필요한 만큼의 먹거리와 도구를 만들기 위해, 조용히 자연을 경작하고 수확하는 공동체. 스스로 부과한 한계선 안에서 욕심 없이 삶을 영위하는 그러한 공동체를 말이다. ‘자급자족’은 포르마판타스마가 단순한 삶에 바치는 오마주다. 

‘자급자족’은 그릇, 조명 등 일상적인 용품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릇은 자연에서 구한 재료들로 만든 것이다. 70%의 밀가루와 20%의 농업폐기물, 10%의 석회석을 반죽하여 형태를 잡은 후, 이를 자연건조 시키거나 저온에서 구워 완성하였다. 은은한 색상은 역시 땅에서 수확한 식물의 덕이다. 비트, 파프리카, 시나몬, 커피 등 다양한 식재료로 그릇에 색을 입혔다.

그릇과 전등은 밀가루, 농업폐기물, 석회성 등의 바이오소재로 제작되었다. 

포르마판타스마는 화학자와 함께, 르네상스 시대의 방수를 위한 래커 기법을 연구하여 이를 그릇에 적용했다. 
다양한 식물, 향신료, 뿌리 등이 제품의 염색제로 사용되었다.
계란을 물감처럼 사용하여 그릇의 마른 표면에 디테일을 더했다.

한편 포르마판타스마는 이번 프로젝트를 위해 이탈리아의 빗자루 장인 지우세페 브루넬로(Giuseppe Brunello)와 프랑스의 유명한 베이커리 푸아란느(Poilane)를 초청했다. ‘짚 빗자루(Strawbrooms)’는 사탕수수의 뿌리에서 낟알 부분까지 모두 이용하여 전통적인 빗자루에 미묘한 디테일을 더했다.

지우세페 브루넬로와 공동으로 디자인한 빗자루 시리즈  
all photos by Formafantasma

‘자급자족’은 이처럼 제품을 만드는 대안적인 방식을 보여준다. 전승된 지식이 지속가능하고 복잡하지 않은 해결책을 찾는데 이용될 수 있다고, 포르마판타스마는 이야기한다. 그들의 소박한 디자인, ‘자급자족’은 4월 14일부터 19일까지, 스파치오 로사나 오를란디에서 전시된다. 

www.formafantasma.com
www.poilane.fr
www.scopesaggina.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9-03 | 인타입스, 인테리어의 유형학

1997년 코넬 대학의 잰 제닝스 교수는 인테리어 디자인의 유형 분류 연구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시대, 양식, 문화권에 걸쳐 반복되어 등장하는 인테리어 디자인의 패턴들을 연구하고 분류하여 그것에 일정한 이름을 부여하는 작업이었지요. 가령 라운지 의자들이 서로 마주한 익숙한 배치(때로 커피 테이블이나 러그가 사이에 놓여 있기도 한)에는 ‘대면(Face to Face)’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2013년에는 두 명의 학부생이 만들어낸 ‘언룸(Unroom)’이라는 신조어가 인타입스에 추가되기도 했지요.(...)

2010-06-21 | 벌들이여 다시 한 번

2007년 4월 30일 뉴스의 주인공, 토마시 가브즈딜 리베르티니가 다시 한 번 오랜 파트너와 손을 잡았습니다. 4만 마리의 벌들과요. 디자인 마이애미/ 바젤에서 그는 앞서보다 정교한 조각상을 선보였는데요. 벌들이 분주히 작품을 최종 완성하는 과정을 전시 현장에서 그대로 보여주며, 관람객의 눈길을 사로잡았습니다. 리베르티니와 벌의 인연은 올해에도 이어져, 지금 2021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에서 ‘벌집 건축’이 전시 중입니다.

주변적 디자인 #2 아이돌 팬덤 비공식 굿즈

바야흐로 K-pop의 시대다. 이번 세기 들어 그렇지 않은 적이 없지만, 최근 몇 년간은 더...

2011-01-27 | 유선형 디자인의 세계 

전기차들이 단호한 직선으로 자동차의 미래를 시각화하는 요즘입니다. 테슬라의 사이버트럭까지 가지 않더라도, 이미 도로에서 직선이 돋보이는 자동차들을 쉽게 만나볼 수 있죠. 1930~40년대 미국에서 미래는 ‘유선형’이었습니다. 그리고 그 미래의 형태는 다리미에서 자동차에 이르기까지 생활 전반에 광범위하게 등장했죠. 2011년 미국 필브룩미술관에서 열린 ‘유선형 디자인: 내일의 세계’는 바로 그 시기의 디자인을 돌아본 자리였습니다.

Designflux 2.0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