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4-13 | 열 가지 그래픽 디자인 패러독스

Editor’s Comment

그래픽 디자이너이자 저술가인 에이드리언 쇼네시가 일상적인 ‘그래픽 디자인의 역설’ 열 가지를 이야기합니다. 가령 이런 식입니다. ‘전문가인 내가 제일 잘 안다’ 같은 말을 하는 디자이너야말로 전문가답지 못한 디자이너이고, 문외한인 클라이언트에게 디자인을 가르치고 싶다면, 먼저 나부터 클라이언트에 관해 배워야 한다는 것이죠. 10번까지 이어지는 역설의 목록 끝에는 하나의 보너스 역설이 더해져 있습니다. “클라이언트가 ‘완전한 창작의 자유를 주겠다’고 한다면, 절대 그런 뜻이 아니다.”

에이드리언 쇼네시(Adrian Shaughnessy)가 그래픽 디자인 업계에서 마주치는 열 가지 패러독스에 관해 이야기한다. 지난 9일 <디자인 옵저버>에 게재한 ‘그래픽 디자인의 열 가지 패러독스(Ten Graphic Design Paradoxes)’에서, 쇼네시는 최근 그래픽디자인에 관한 책을 쓰던 와중, 새삼 깨닫게 된 역설들을 정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업계의 지혜라 받아들여지는 것과는 정반대의 의견이나 진술이라는 점을 뜻하고자 ‘패러독스’라는 단어를 사용하였다. 여기 일상적인 그래픽 디자인계의 열 가지 역설을 소개한다.”

1. 나쁜 클라이언트란 없다. 나쁜 디자이너만이 있을 뿐.
2. 더 나은 그래픽 디자이너가 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클라이언트가 되어보는 것이다. 
3. 클라이언트에게 디자인을 가르치고 싶다면, 먼저 클라이언트에 관해 배워야 할 것이다. 
4. 그래픽 디자이너로서 돈을 벌고 싶다면, 돈이 아니라 작업에 집중해야 한다. 
5. 디자이너에게 이야기 기술은 디자인 기술만큼이나 중요하다. 
6. 아이디어가 좋지 못해 실패한다기보다, 아이디어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해 실패한다. 
7. “전문가인 제가 제일 잘 압니다.” 
8. “좋은 일은 다 다른 디자이너한테 가더라.” 
9. 스튜디오는 강압적인 방식으로 운영하는 것이 최고다.
10. 그 무엇도 신뢰하지 않는다면, 남들이 왜 나를 못 믿나 의아해해서는 안 된다. 

이 가운데 어떤 진술은 내용 그대로를 의미하지만, 어떤 경우들은 그렇지 않아서 그 역이 참이 되기도 한다. 어째서인지 좋은 일은 다 다른 디자이너들에게 돌아가는 것 같은데, 나는 오늘도 뭣도 모르는 클라이언트를 가르쳐가며 실랑이를 벌이며, “그냥 돈 때문에 하기로 한 일이니 참는다”며 스스로를 위로하고 있다면? 물론 이러한 비극은 언제라도 벌어질 수 있다. 하지만 그런 일이 매번 반복된다면? 에이드리언 쇼네시는 어쩌면 당신의 관점부터 달라져야 한다고 이야기하는 듯하다. 

아래 <디자인 옵저버>의 원 기사에서 열 가지 패러독스를 살펴보시길. 원 기사 말미에서 (아마도 모두가 공감할 법한) 또 하나의 ‘보너스’ 패러독스도 살펴볼 수 있다. 

[Design Observer] Ten Graphic Design Paradoxes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8-18 | ‘인베이더’ 개인전

세계 곳곳에 외계 침공자가 숨어 있습니다. 프랑스의 아티스트 ‘인베이더’는 1970년대의 컴퓨터 게임 <스페이스 인베이더>의 침략자들을 도시 풍경 속에 숨겨 놓으며 이름을 알렸습니다. 당대의 도트 그래픽을 모자이크 타일로 재현하는 방식으로요. 2009년 열린 인베이더의 개인전이 오늘의 소식입니다. 모자이크 타일 외에도 루빅스 큐빅으로도 특유의 ‘저해상도’ 그래픽을 구현했지요. 

2010-04-20 | 아키그램 아카이브 프로젝트

1961년부터 1974년까지, 적지 않은 세월 동안 그들이 낸 잡지는 단 9와 1/2호 뿐입니다. 하지만 이 ‘작은 잡지’가 남긴 반향은 세기를 넘어 섰지요. 영국의 실험적 건축 집단 아키그램의 이야기입니다. 2010년 영국 웨스트민스터 대학의 연구센터 EXP는 아키그램의 잡지부터 여러 프로젝트, 전시, 소속 멤버들에 관한 자료들을 망라한 온라인 아카이브를 열었습니다. 반갑게도 아카이브는 여전히 건재하고, 또 분명 방문할 가치가 있습니다. 

우리가 만든다: 소녀 목공 클럽

텍사스 사막 위의 작은 마을 마파에 위치한 마파 목공 클럽(Lumber Club Marfa)은 7세에서 14세...

2011-08-03 | 앱솔루트 블랭크

앱솔루트 병 모양의 캔버스 위로 20인의 차세대 아티스트가 작업을 펼쳤습니다. 회화에서 영상, 조명 인스톨레이션까지, 각자 “자신의 것”을 선보였죠. 2011년 오늘의 소식은 앱솔루트가 전개했던 ‘앱솔루트 블랭크’ 캠페인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