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4-08 | 2009 웹 트렌드 맵

Editor’s Comment

범용 마크다운 텍스트 편집기 ‘iA 라이터’로 유명한 iA가 2010년 첫 앱을 내놓기 전, iA의 다른 작업이 디자인플럭스에 소개된 적이 있었습니다. 바로 ‘웹 트렌드 맵’인데요. 2009년의 웹 트렌드를 도쿄 지하철 노선도의 형태로 구현한 작업입니다. iA의 이 작업은 그러나 2010 트위터 트렌드 맵 이후로 만나볼 수 없었는데요. 그 사이 여러 차례 트렌드 맵 작업을 시도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고 합니다. iA는 그 이유를 이렇게 설명합니다. “웹 트렌드 맵에 가장 중요한 재료가 사라졌으니, 바로 웹이다.(…) 웹은 더 이상 고루 분산된 웹이 아니다. 얄궂게도, 웹은 이제 몇몇 기업에 속한 노선 두 너섯의 모습이다. 크게 보아 구글(검색), 페이스북(소셜미디어), 아마존(전자상거래) 정도이다.”

웹 트렌드를 한 장의 지도에 담았다. 인포메이션 아키텍츠(Information Architects)가 ‘2009 웹 트렌드 맵’(+링크 갱신) 베타 버전을 공개했다. 도쿄의 지하철 노선도 위로, 333개의 웹 도메인과 111인의 인명들이 겹쳐져 있다. 

인포메이션 아키텍츠 연구팀은, 각 웹사이트의 트래픽, 수익, 설립 연도, 도메인 소유 기업 등을 근거로 웹 도메인을 선별하여 해당 지표를 기준으로 영향력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특징은 노선도 상에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시각화되었다. 역의 높이는 해당 도메인의 트래픽과 수익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성공도를 의미하며, 역의 너비는 도메인 소유 기업의 안정성을 뜻한다. 지도 상의 개별 노선은 어플리케이션, 출판, 여론, 뉴스, 소비, 방송, 광고, 공유 등의 카테고리를 나타낸다. 

이와는 별도로 노선도 상의 위치를 통해 해당 사이트의 특징을 어느 정도 가늠할 수도 있다. 가령 올해 트렌드 맵에서는 트위터(Twitter)가 시부야 역 위치에 자리잡고 있다. 도쿄에서 가장 번잡한 역 자리에, 최근 급부상한 웹사이트가 자리잡은 셈이다. 

더불어 노선도 하단에는 최고의 영향력을 지닌 웹사이트와 인물, 톱50의 리스트가 보기 좋게 정리되어 있다. 아마도 충분히 예측할 수 있겠지만, 최고의 영향력을 자랑하는 웹사이트 1위는 구글이다. 그 뒤로 야후, MSN, 애플, 위키피디아, 아마존, 유튜브 등이 자리잡고 있으며, 트위터는 9위에 올랐다. 

https://ia.net
Download the Web Trend Map 2009

via fast company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8-12-09 | 동전 한 닢 USB 드라이브

영락 없이 동전의 모습을 한 USB 플래시 드라이브. 라시의 ‘커런키’입니다. 기술 중심의 제품군에 기반한 브랜드이지만, 라시는 성능과 안정성 외에도 디자인에 각별히 신경을 써왔습니다. 5.5 디자이너스에게 USB 플래시 드라이브의 디자인을 의뢰한 까닭이지요. 5.5 디자이너스는 USB 드라이브에 아주 일상적인 사물의 이미지를 부여했습니다. 동전이라던가 또 열쇠처럼요. 재치 있는 그러면서도 본래 물건의 휴대 습관에 자연스레 편승하는 영리한 디자인이었습니다.

2010-06-21 | 벌들이여 다시 한 번

2007년 4월 30일 뉴스의 주인공, 토마시 가브즈딜 리베르티니가 다시 한 번 오랜 파트너와 손을 잡았습니다. 4만 마리의 벌들과요. 디자인 마이애미/ 바젤에서 그는 앞서보다 정교한 조각상을 선보였는데요. 벌들이 분주히 작품을 최종 완성하는 과정을 전시 현장에서 그대로 보여주며, 관람객의 눈길을 사로잡았습니다. 리베르티니와 벌의 인연은 올해에도 이어져, 지금 2021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에서 ‘벌집 건축’이 전시 중입니다.

버려진 광고판으로 만든 떠돌이 개 쉘터

태국의 동물단체 ‘스탠드 포 스트레이즈(Stand for Strays)’가 떠돌이 개를 위한 쉘터를 설치했다. 방콕과 인접한...

2009-04-06 | 2010 상하이 엑스포 영국관

신종바이러스의 시간을 지나며 각종 행사가 취소되거나 가상으로 전환된 지금, 사상 최대의 규모를 도모했던 2010년의 상하이 엑스포에서, 유독 눈에 띄는 디자인으로 뉴스로 오르내린 영국의 국가관 소식을 돌아봅니다. 헤더윅 스튜디오가 디자인한 섬모형 매스의 파빌리온 ‘씨앗 전당’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