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4-06 | 위기를 팝니다

Editor’s Comment

4월이면 밀라노 국제가구박람회라는 대형 행사를 중심으로, 때맞춰 열리는 전시 등의 소식도 따라오기 마련입니다. 2009년 4월에는RCA 제품디자인과 대학원생들이 ‘위기 상점’이라는 이름으로 밀라노에서 전시를 열었습니다. 사소한 생활의 위기에서 위기의 일 선언에 이르기까지, 14인의 젊은 디자이너들의 디자인을 다시 만나봅니다.

빌루르 투란(Bilur Turan), ‘위기 초콜릿(Crisis Chocolate)’

‘위기’란 무엇인가? RCA의 제품디자인과 대학원생들이 그에 관한 관한 저마다의 해석을 선보인다. 전시회 ‘위기 상점. 매진! (CRISIS SHOP. SOLD OUT!)’가 2009 밀라노 국제가구박람회 기간에 개최된다, 이번 전시에는 RCA 제품디자인 학과에서 운영하는 교육 프로그램, 플랫폼10(Platform10) 출신의 대학원생 14인이 참여한다. 

“과연 위기란 무엇인가? 우리의 ‘매진 상점’은 위기란 무엇인지, 다시 생각해보는 자극제로서의 제품들을 선보일 것이다. 우리는 위기 상황으로부터 새 상품을 만들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대신 위기 전반에 대응할 수 있는 수단들을 모색하고자 한다. 누군가에게 찾아온 위기는 다른 누군가에게는 기회이기도 하다. ‘위기 상점’의 모든 제품들은 그런 의미에서 위장하고 있는 기회들의 사례들이다.” 

클레어 페레이라(Claire Ferreira), ‘러시 백(Rush Bag)’

위기라는 이름의 이 상점에서, 14인의 젊은 디자이너들은 일상 속 사소한 위기 상황들을 조명하는 제품들을 통해, 위기 상황의 본질이라 할 만한 특징들을 도출하려 한다. 빌루르 투란(Bilur Turan)은 파국적인 미래를 예언하는 초콜릿을 통해, 우리가 살고 있는 거대한 편집증적인 세계를 이야기한다. 클레어 페레이라(Claire Ferreira)는 가방 속에 소지품이 제대로 들어 있는지, 불안에 휩싸여 가방 속을 뒤지곤 하는, 일상적인 ‘위기’ 상황을 단숨에 해소할 수 있는 가방 디자인을 선보인다. 

크리스티안 코왈스키(Krystian Kowalsi), ‘S.O.O.N.(The Something Out of Nothing)’
자일스 밀러(Giles Miller)의 레고 블럭 조각 
닉 리센브리(Nic Rysenbry), ‘플랫아웃(FlatOut)’

이처럼 위기들의 소우주가 펼쳐지는 가운데, 조지 페러데이(George Fereday)는 ‘영구적인 위기의 선언’이라는 제하로 다음과 같은 공식을 내놓는다. “하나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반드시 다음 위기 상황을 불러오는 원인이 된다.” 위기의 해소 방안이 곧 다시 새로운 위기의 시발점이 되는 반복의 과정 속에서, 지적인 디자인보다는 일시적이며 본능적인 반응으로서의 디자인이 부각된다. 그는 영속하는 위기라는 개념은 디자인에 있어 새롭고도 실험적인 유형의 탄생을 자극하는 촉매제로서 기능한다고 이야기한다. 

조지 페러데이(George Fereday), ‘영구적인 위기의 선언: 하나의 문제의 해결책은 반드시 다음 위기 상황의 원인이 된다(Perpetual Crisis Manifesto: The solution to one problem must cause the next crisis situation)’ 
마치에이 보이치츠키(Maciej Wojcicki), ‘흔들의자(Rockers)’
올리비아 데카리스(Olivia Decaris), ‘윈클피커스(Winclepickers)’

위기를 판매하는, 하지만 모든 제품이 매진 상태인 이상한 상점. ‘위기 상점. 매진!’은 4월 22일부터 26일까지 밀라노 세베스 글래스블록 쇼룸에서 개최된다.

www.platform10.co.uk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121년: 미래 인-사이트(The Year 2121: Futures In-Sight)

일본 롯폰기에 위치한 디자인 연구소 · 미술관 21_21 디자인 사이트(21_21 DESIGN SIGHT)에서 미래의 모습을...

2010-01-20 | 아이티를 위하여

거대한 자연 재해 앞에서 사람은 작고 무력하게만 느껴집니다. 하지만 재난의 잔해 속에서 다시 일어나는 것은 결국 사람의 몫이죠. 지난 15일 남태평양의 섬나라 통가 인근의 해저 화산 하파이가 폭발했습니다. 통신 두절로 몇일이 지나서야 피해 윤곽이 드러나기 시작한 가운데, 예상보다 인명 피해는 적은 것으로 보이지만 섬들을 뒤덮은 화산재로 인해 식수난이 심각하고, 또 구호를 위한 접근도 지연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부디 더 큰 피해 없이 구호와 복구가 이뤄지길 바라며, 오늘은 10년 전 대지진이 강타했던 아이티의 재건을 위해 복구 계획을 발표했던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의 이야기를 다시 만나봅니다. 

2011-06-24 | 무지의 ‘즐겨요! (  )의 에너지를’

3월 11일의 대지진과 원자력발전소 사고 이후, 무지(MUJI)는 생각했습니다. 어쩌면 이것이 일본이 스마트 에너지 국가로 나아갈 기회가 될지도 모른다고요. 그리고 ‘즐겨요! (  )의 에너지를!’이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세계 각국의 디자이너에게 지금의 어두움을 조금이나마 밝혀줄 에너지에 관한 아이디어를 물었죠. 디자이너들이 보내온 괄호 속 단어와 그에 관한 스케치를 다시 만나봅니다.

2008-09-02 | 데이비드 번의 자전거 보관대

데이비드 번. 토킹 헤즈를 이끌었던 바로 그 뮤지션이자 예술가이며 동시에 열렬한 자전거 애호가인 그가 2008년 자전거 보관대를 디자인했습니다. 뉴욕교통국이 진행하는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그가 디자인한 보관대들이 뉴욕 곳곳에 설치되었는데요. “그저 미술 작품이 아니라 실용적인 자전거 보관대라는 사실을 알아볼 수 있게, 기존 보관대와 같은 두께, 같은 소재여야 한다는 점이 내게는 중요했다”는군요. 그렇게 탄생한 데이비드 번의 자전거 보관대는 11개월간 제자리를 지켰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