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4-06 | 위기를 팝니다

Editor’s Comment

4월이면 밀라노 국제가구박람회라는 대형 행사를 중심으로, 때맞춰 열리는 전시 등의 소식도 따라오기 마련입니다. 2009년 4월에는RCA 제품디자인과 대학원생들이 ‘위기 상점’이라는 이름으로 밀라노에서 전시를 열었습니다. 사소한 생활의 위기에서 위기의 일 선언에 이르기까지, 14인의 젊은 디자이너들의 디자인을 다시 만나봅니다.

빌루르 투란(Bilur Turan), ‘위기 초콜릿(Crisis Chocolate)’

‘위기’란 무엇인가? RCA의 제품디자인과 대학원생들이 그에 관한 관한 저마다의 해석을 선보인다. 전시회 ‘위기 상점. 매진! (CRISIS SHOP. SOLD OUT!)’가 2009 밀라노 국제가구박람회 기간에 개최된다, 이번 전시에는 RCA 제품디자인 학과에서 운영하는 교육 프로그램, 플랫폼10(Platform10) 출신의 대학원생 14인이 참여한다. 

“과연 위기란 무엇인가? 우리의 ‘매진 상점’은 위기란 무엇인지, 다시 생각해보는 자극제로서의 제품들을 선보일 것이다. 우리는 위기 상황으로부터 새 상품을 만들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대신 위기 전반에 대응할 수 있는 수단들을 모색하고자 한다. 누군가에게 찾아온 위기는 다른 누군가에게는 기회이기도 하다. ‘위기 상점’의 모든 제품들은 그런 의미에서 위장하고 있는 기회들의 사례들이다.” 

클레어 페레이라(Claire Ferreira), ‘러시 백(Rush Bag)’

위기라는 이름의 이 상점에서, 14인의 젊은 디자이너들은 일상 속 사소한 위기 상황들을 조명하는 제품들을 통해, 위기 상황의 본질이라 할 만한 특징들을 도출하려 한다. 빌루르 투란(Bilur Turan)은 파국적인 미래를 예언하는 초콜릿을 통해, 우리가 살고 있는 거대한 편집증적인 세계를 이야기한다. 클레어 페레이라(Claire Ferreira)는 가방 속에 소지품이 제대로 들어 있는지, 불안에 휩싸여 가방 속을 뒤지곤 하는, 일상적인 ‘위기’ 상황을 단숨에 해소할 수 있는 가방 디자인을 선보인다. 

크리스티안 코왈스키(Krystian Kowalsi), ‘S.O.O.N.(The Something Out of Nothing)’
자일스 밀러(Giles Miller)의 레고 블럭 조각 
닉 리센브리(Nic Rysenbry), ‘플랫아웃(FlatOut)’

이처럼 위기들의 소우주가 펼쳐지는 가운데, 조지 페러데이(George Fereday)는 ‘영구적인 위기의 선언’이라는 제하로 다음과 같은 공식을 내놓는다. “하나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반드시 다음 위기 상황을 불러오는 원인이 된다.” 위기의 해소 방안이 곧 다시 새로운 위기의 시발점이 되는 반복의 과정 속에서, 지적인 디자인보다는 일시적이며 본능적인 반응으로서의 디자인이 부각된다. 그는 영속하는 위기라는 개념은 디자인에 있어 새롭고도 실험적인 유형의 탄생을 자극하는 촉매제로서 기능한다고 이야기한다. 

조지 페러데이(George Fereday), ‘영구적인 위기의 선언: 하나의 문제의 해결책은 반드시 다음 위기 상황의 원인이 된다(Perpetual Crisis Manifesto: The solution to one problem must cause the next crisis situation)’ 
마치에이 보이치츠키(Maciej Wojcicki), ‘흔들의자(Rockers)’
올리비아 데카리스(Olivia Decaris), ‘윈클피커스(Winclepickers)’

위기를 판매하는, 하지만 모든 제품이 매진 상태인 이상한 상점. ‘위기 상점. 매진!’은 4월 22일부터 26일까지 밀라노 세베스 글래스블록 쇼룸에서 개최된다.

www.platform10.co.uk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8-06-10 | 굿디자인이란 무엇인가

좋은 디자인이란 무엇인가. 수없이 던져진 질문이고 어떤 대답은 무척이나 유명합니다. 디터 람스의 디자인 10계명처럼요. 이번에는 디자인 평론가 앨리스 로스손의 대답입니다. 그녀는 좋은 디자인인가를 생각할 때 짚어볼 다섯 가지를 제시합니다. 그것이 무엇을 하는지, 모습은 어떠한지, 어디가 새로운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죄책감을 일으키는지 말이지요. 그리하여 도달하는 좋은 디자인의 결론은 무엇인지, 오늘의 뉴스에서 만나봅니다.

2010-06-17 | 킨들 ‘몰스킨’ 커버

휴대폰, 태블릿, 노트북 등 휴대용 기기 시장과 함께 서드파티 액세서리 시장도 성장했습니다. 오늘의 소식은 2010년 몰스킨이 선보인 아마존 킨들용 커버입니다. 많은 애호가에게 사랑받는 몰스킨 노트의 모습은 그대로이되 안에 킨들을 품고 있습니다. 그저 몰스킨 노트의 외양만 차용한 액세서리는 아니라는 듯, 커버의 다른쪽 면은 진짜 공책을 위한 자리입니다. 흥미롭게도 몰스킨은 제 방식대로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공존 방법을 궁리해온 “공책 해커”들의 작업에서 제품 아이디어를 얻었다고요. 그렇게 “전자책벌레”를 위한 몰스킨의 제품이 탄생했습니다.

2007-07-05 | 지속불가능한 장신구

모두가 지속가능성을 강조하는 와중에 흐레이트여 판 헬몬트는 정확히 그 반대를 디자인했습니다. 그의 ‘지속불가능’은 설탕으로 만든 장신구 시리즈입니다. 그토록 연약하고 지속불가능한 소재로 된 이 장신구들은 역설적으로 설탕보다 훨씬 튼튼한 소재들이 처하는 현실을 가리킵니다. 소재의 내구성과는 무관하게 결정되는 제품의 교체 주기라는 문제를 말이죠. 

외계인 대사관

네덜란드와 대만에서 활동하는 디자이너 찬 훙 루(Hung Lu Chan)의 인터랙티브 설치 작품 ‘외계인 대사관(The...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