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2-03 | 코듈라

Editor’s Comment

공사 현장에 있어야 할 법한 물건이 집 안으로 들어와 불을 밝힙니다. 디자이너 슈테파니 야스니의 ‘코듈라’는 전선 드럼과 하나가 된 플로어 조명입니다. 전기 조명에 없어서는 안되지만 때로는 귀찮은 전선의 존재가 디자인의 출발점이니만큼, 조명에 운신의 폭을 부여하는 장점이 되죠.  

어딘가 익숙한 모양새다. 독일의 디자이너 슈테파니 야스니(Stephanie Jasny)의 작품 ‘코듈라(Cordula)’는 둔중한 전선 드럼을 고스란히 닮았다. 어느 건축 현장 혹은 무대 뒷켠 정도에나 어울릴 법한 모습이지만, 사실 ‘코듈라’는 엄연한 실내용 플로어 램프. 조명과 전선의 결합으로 탄생한 단순한 조명이다. 

슈테파니 야스니는 건축 현장에서 사용되는 물건들 가운데 하나를 골라, 본래의 근원을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동시에 거실에 어울릴 법한 오브제를 디자인하기로 결심했다. 그래서 선택한 물건이 바로 전선 드럼이다. 여기에 스팟라이트 조명을 더해 위치가 자유로운 실내용 조명 제품을 디자인한 것이다. 전선의 길이가 10m에 달하기 때문에, 굳이 조명이 전원 소켓 근처에 머무를 필요가 없으며, 조명부는 90도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다. 

슈테파니 야스니의 ‘코듈라’는 지난 25일 막을 내린 2009 쾰른가구박람회 내 [d3] 디자인 탤런트 부문에서 소개되기도 하였다.

www.stephaniejasny.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8-25 | 그 미용실 황량하다

철거 중인지 완성된 것인지 아리송한 실내의 상점들이 부쩍 늘어나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매끈함의 정반대에 선 반폐허의 미감이 사람들의 발길을 이끌었지만, 미감을 논하기 이전에 위생을 걱정해야 할 곳들도 적지 않았지요. 2009년의 어느 ‘황량한’ 미용실 인테리어 소식을 보며, 오늘 여기의 어떤 상점들을 생각해 봅니다.

일상의 바이오필릭 디자인

지난 몇 년 사이 ‘바이오필릭 디자인(Biophilic Design)’ 이라는 용어는 디자인계에서 중요한 화두로 부상했다. 바이오필릭...

2010-07-19 | 율리아 하스팅의 북디자인 

파이돈 출판사의 책을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이름, 율리아 하스팅입니다. 그래픽 디자이너로서 활동하다 파이돈의 책들을 디자인하며 이 출판사와 인연을 맺은 그는, 2000년에는 파이돈에 신설된 디자인 부서의 아트 디렉터로 합류했고, 2007년부터는 출판사의 디자인 디렉터로서 여전히 파이돈에 몸담고 있습니다. 

2009-06-24 | ‘놀 키즈’ 시리즈

놀이 자랑하는 20세기 모더니즘 고전 가구들이 어린이를 위해 몸집을 줄였습니다. 2009년 놀은 미스 반 데어 로에, 해리 버토이아, 에로 사리넨, 옌스 리솜 등 내로라하는 디자이너들의 가구를 어린이용으로 선보였는데요. 아이의 몸에 맞게 작아진 ‘바르셀로나 의자’, ‘다이아몬드 의자’ 등을 지금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