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1-06 | 익스페리멘털 젯셋의 새 웹사이트

Editor’s Comment

익스페리멘털 젯셋의 첫 웹사이트 리뉴얼의 핵심은 ‘아카이빙’이라 하겠습니다. 그간의 작업 전체를 망라한다는 것은 실패작까지도 포함한다는 뜻이고, 익스페리멘털 젯셋은 이를 두고 “일종의 아카이브 몬스터”라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개별 작업은 ‘아카이브’ 메뉴의 텍스트형 목록과 ‘프리뷰’ 메뉴의 이미지형 목록 두 가지 방식으로 접근 가능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기조는 2022년 지금의 홈페이지에서도 그대로 이어지고 있지요. 

그래픽 디자인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익스페리멘털 젯셋(Experimental Jetset)이라는 이름이 낯설지 않을 것이다. 암스테르담에 위치한 독립 그래픽 디자인 스튜디오로, 헤리트 리트벨트 아카데미 출신의 3인의 디자이너, 마리커 스톨크, 다니 판덴 뒹언, 에르빈 브링커르스는 지난 10여년간 익스페리멘털 젯셋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해 왔다. 이들의 그래픽 디자인, 그리고 헬베티카에 대한 남다른 애정은 널리 알려져 있는 바. 하지만 오늘 소개할 소식은 바로 익스페리멘털 젯셋의 새로운 웹사이트다. 

“우리는 그래픽 디자인이란 언어를 오브제로 변화시키는 일이라 설명하곤 한다. 이 웹사이트의 경우, 정확히 그 반대다. 오브제를 언어로 변화시키려 하는 것이다. 아니 지난 10년간 우리가 만들어낸 모든 오브제들을 들여다 보고, 그것들을 설명하고자 한다는 편이 옳겠다.”

2005년 런칭한 이래, 3년 만에 새로운 모습으로 단장한 www.jetset.nl은 여느 포트폴리오성 사이트와는 다른 모습이다. 익스페리멘털 젯셋은 이번 웹사이트 리뉴얼을 통해 지난 10년 간의 모든 작업을 망라하고자 했다. 그런 의미에서 역시나 총 다섯 가지 메뉴 가운데 아카이브야 말로 가장 공들인 메뉴라 할 수 있다. 

실제로 www.jetset.nl은 거대한 아카이브와도 같아서, 익스페리멘털 젯셋 스스로도 “이것은 일종의 아카이브 몬스터로, 사이트를 통해 그간의 작업을 모두 담아내고자 노력했다. 최고의 성공작뿐만 아니라 최악의 실패작들까지도 말이다”라고 설명한다. 물론 이는 그리 만만한 작업이 아닌 지라, 아카이브에 올라 있는 일부 작품들은 아직 정리하지 못한 채로 남아 있으며, 이 아카이브는 계속해서 현재진행의 시제를 갖게 될 것이다. 

‘헬베티카 / 블루레이(Helvetica / Blu-ray)’, 2008년 4월
– 다큐멘터리 <헬베티카> 한정판 패키징 디자인 

아카이브는 텍스트 버전으로도, 프리뷰 버전으로도 감상할 수 있는데, 특히나 섬네일들로 가득한 프리뷰 페이지는 익스페리멘털 젯셋이 “정말 재미있으니 꼭 살펴보라”고 당부할 정도. 섬네일을 클릭해 들어가면 해당 프로젝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이 잇따른다. 익스페리멘털 젯셋의 작업 세계를 감상하기에 이보다 더 좋은 기회가 있을까. www.jetset.nl은 앞으로도 자주 들러보게 될 사이트가 되지 않을지. 

www.jetset.nl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7-15 | 도자 종이컵

어떤 물건은 소재가 너무 중요해 그것이 이름이 되기도 합니다. 종이컵도 그런 것들 중 하나죠. 종이컵은 또 일회용 문화를 대표하는 물건이기도 합니다. 스코틀랜드의 도예 디자이너 레베카 윌슨은 이 종이컵에 웨지우드 재스퍼웨어와 델프트 자기의 외양을 입혔습니다. 다만 하나는 오로지 수제 종이로 된 시트로, 다른 하나는 포슬린과 펄프 혼합 용액으로 만든 시트로요. 윌슨은 두 가지 방식으로 ‘최상급’ 종이컵이라는 역설을 보여줍니다.

베를린 신국립미술관 6년 만에 재개관

8월 22일, 베를린 신국립미술관(The Neue Nationalgalerie)이 2015년 보수 공사를 위해 문을 닫은 지 6년...

2010-07-14 | 스마트폰 데이터 소비 동향

지금으로부터 10여 년 전, 그러니까 스마트폰이 전체 휴대폰 시장의 1/4 정도를 차지했던 시절,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데이터 소비 동향은 어떠했을까요. 시장조사기관 닐슨이 미국 내 6만여 명을 대상으로 월별 데이터 소비 내용을 수집하여 분석했습니다. 데이터 소비량은 전년 동기와 비교해 세 배 이상 훌쩍 뛰었습니다. 90MB에서 298MB로 말이지요. 세월이 느껴지는 단위이기는 해도, 헤비 유저가 데이터 트래픽의 상당량을 차지하는 현상은 그때나 지금이나 크게 다르지 않군요.

2009-09-15 | 얼마나 먼 길을

멀리 노르웨이에서 잡힌 고등어가 비행기를 타고 금세 이곳까지 날아옵니다. 원산지와 판매지의 거리는 이제 신선 식품의 경우에도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더 이상 그 놀라운 거리와 속도의 편의를 마음 편히 누릴 수만은 없습니다. 기후 변화라는 단어가 기후 위기가 된 지금에는 더더욱요. 식품 포장에 원산지와 이동 거리를 표기한다면. 2009년 디자이너 제임스 레이놀즈가 제안했던 ‘파 푸드’를 되돌아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