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2-16 | ‘찌지직! 종이 패션’ 전시회

Editor’s Comment

의복의 소재로 삼기에는 연약해 보이는 종이에 도전한 패션을 조명합니다. 2008년 룩셈부르크 현대미술관에서 ‘찌지직! 종이 패션’이라는 이름의 전시가 열렸습니다. 실제로 입을 수 있는 엄연한 의상의 재료로서 활약했던 종이 패션의 역사를 돌아보는 자리였지요. 오랜만에 다시 보는 후세인 샬라얀의 ‘항공우편 드레스’가 반갑습니다. 

Photo: Marcus Tomlinson
후세인 샬라얀, ‘에어메일 드레스(Airmail dress)’, 1999 – 타이벡 소재의 드레스

룩셈부르크 현대미술관(MUDAM)에서 종이 패션에 관한 흥미로운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찌지직! 종이 패션(RRRIPP! Paper Fashion)’은 종이로 제작된 의류에 관한 수년 간의 연구 결과를 총망라하고 있다. 특히 1960년대 말, 종이는 실제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하면서도 패셔너블한 소재로 각광받은 바 있다. 이 전시는 60년대 특유했던 종이 패션의 역사적 맥락에 대한 분석으로부터 시작해, 종이 소재의 의류라는 개념이 어떻게 탄생했는지, 그 최초의 사용 방식 역시 탐구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종이 드레스처럼 실제 종이로 제작된 의류들은 물론, 예술 작품 및 홍보물, 그리고 후세인 샬라얀, 이세이 미야케 등의 디자이너들이 선보인 종이 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는 패션쇼 영상 역시 함께 상영된다. 이번 전시의 큐레이팅은 그리스 아테네의 비영리 문화기관 아토포스(Atopos)의 아트디렉터 바실리스 지디아나키스(Vassilis Zidianakis)가 맡았으며, 전시는 내년 2월 2일까지 계속된다.

www.mudam.lu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12-20 | 호텔 클라스카 새단장

도쿄의 부티크 호텔하면 떠오르던 이름, 호텔 클라스카가 2007년 새단장을 하였습니다. 2003년 문을 연 지 4년 만이니, 꽤 이른 리뉴얼이었지요. 2007년 오늘 디자인플럭스는 ‘뉴 재패니즈’ 스타일로 손님을 맞은 클라스카 객실의 모습을 소개했습니다. 아쉽게도 호텔 클라스카는 2020년 12월 20일 문을 닫았습니다만, 클라스카는 라이프스타일 기업으로서 갤러리 겸 숍, 의류 브랜드, 웹 매거진 등을 운영해오고 있습니다.  

Designs for the Pluriverse: Radical Interdependence, Autonomy, and the Making of Worlds

무엇 무엇을 위한 디자인이라는 제목을 붙인 책이 한 둘인가. <사회를 위한 디자인>, <인간을 위한...

크리스토 앤 잔느-클로드의 마지막 프로젝트 ‘마스타바’

지난 2월 초, ‘마스타바가 드디어 현실화된다’는 몇몇 언론의 보도로 인해 프로젝트가 다시 화제가 되었는데,...

2009-10-13 | 스튜디오 욥 x 빅터 & 롤프

네덜란드의 디자이너 듀오 두 팀이 하나의 무대에서 만났습니다. 스튜디오 욥과 빅터 & 롤프가 그 주인공입니다. 2009년 파리패션위크에서 선보인 빅터 & 롤프의 2010 S/S 패션쇼 현장, 무대 양 옆으로 거대한 지구본과 대좌가 나란히 놓였습니다. 대좌를 또 하나의 무대 삼아 오른 로신 머피가 노래하고, 스와로브스키 크리스털로 장식한 지구본이 미러볼처럼 돌며 빛을 발하는 동안, 내년의 가벼운 옷을 입은 모델들이 무대를 걸었지요. “서로의 길이 교차할 때마다 함게 즐겁게 일한다”는 두 듀오의 협업은 이전부터 이어져 또 이후에도 계속되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