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9-30 | 시카고 국제 포스터 비엔날레 공모전 수상작

Editor’s Comment

“포스터는 어디에서나 그래픽 디자이너들의 사랑을 받아왔지만, 포스터에 미국은 그리 마음 편한 곳이 아니었다. 툴루즈-로트렉에서 뮐러-브로크먼, 마티스, 트록슬러에 이르는 유럽의 포스터 전통은 그래픽 디자이너라는 직종을 정의하는 대표적인 작품들을 선사해왔다. 반면 미국에서 포스터는 당당하게 혹은 도처에서 거리의 존재감을 누려본 적이 없다.” 시카고 국제 포스터 비엔날레 첫 회 개최를 알리며 공식 후원 매체인 <디자인 옵저버>는 그렇게 설명했습니다. 어쩌면 그래서 시카고라는 미국의 도시에서 포스터 비엔날레라는 행사가 열린다는 사실이 의미가 있었는지도요. 하지만 이제는 건축 비엔날레로 연결되고 마는 홈페이지 주소가 말해주듯, 시카고 포스터 비엔날레는 그리 오래 계속되지는 못했습니다.

9월 26일 제 1회 시카고 국제 포스터 비엔날레가 개막하며 한 달여 간의 전시 일정에 돌입했다. 처음 개최된 이 비엔날레는 건축, 예술, 음악, 연극 등 다른 문화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결여된 공공 비주얼 아트에 대한 관심을 ‘포스터’라는 매체를 통해 제고하여, 비주얼 리터러시, 다문화주의, 포스터를 통한 국제적 공조를 증진하기 위해 조직되었다.

비엔날레 전시작 선정을 위해 존 메이시, 미셸 부베, 시게오 후쿠다 등 11인의 저명한 디자이너들이 심사를 맡았다. 7월 1일 최종후보작 127점이 발표된 데 이어, 비엔날레 개막과 더불어 31개 수상작 리스트가 발표되었다. 아래는 제 1회 시카고 국제 포스터 비엔날레 공모전의 주요 수상작들이다. 

금상 – 2008년 최우수 포스터 
레모 카미나다(Remo Caminada), 스위스 
‘프랭크 팝 앙상블 콘서트(Frand Popp Ensemble Concert)’
은상 
파즈 리 카 링(Pazu Lee Ka Ling), 중국 
‘나는 살아간다(I’m Living)’ 연작 
은상 
댄 아이바라 & 마이클 비쥬스키(Dan Ibarra and Michael Byzewski), 미국 
‘대니얼 존스턴 콘서트(Daniel Johnston Concert)’
STA상 – 우수 타이포그래피 부문 시상
파하드 포조우니(Farhand Fozouni), 이란 
‘모샤자르 전시회(Moshajjar Exhibition)’
오스모시스상 – 사회적 주제를 담은 우수 포스터 시상 
미카엘 바토리(Michal Batory), 프랑스 
‘피아노 폴리(Piano Folies)’

이들 수상작은 10월 28일까지 데일리 바이센테니얼 공원에서 개최되는 공공 전시를 통해 공개된다. 전체 수상작은 아래 디자인 옵저버 페이지 내 갤러리 링크를 방문하여 감상할 수 있다. 

via design observer
(+ 주소 갱신)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7-28 | 화장실 재발명

“지난 200년 간 그 어떤 혁신도 변기의 발명으로 촉발된 위생 혁명 이상 인명을 구하고 건강을 개선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충분히 나아가지는 못하고, 세상의 1/3까지만 다다랐을 뿐이다.” 세기가 바뀐 지 10년이 지났지만, 우리가 아는 모습의 화장실은 세계 인구 2/3에게는 희귀한 것이고, 아예 화장실이랄 것이 없는 인구도 10억 명에 달합니다. 그 결과는 참혹해서, 5세 이하 어린이의 사망 원인 두 번째가 설사병이며, 매년 1백만 명의 어린이가 적절한 위생 설비가 없어 목숨을 잃습니다. 2011년 빌 & 멜린다 게이츠 재단이 ‘화장실 재발명’ 프로그램을 시작한 이유입니다.

폐기물 시대: 디자인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버려진 재료에서 영감을 받아 작업하는 디자이너를 소개하는 전시가 지난 20일 까지 런던에 위치한 디자인...

중산층의 잇템 #2 토스터 : 취향의 재구성

319,000원. 집에서 빵을 구워 먹는 가전치고는 비싼 금액이었다. 2015년 국내 출시된 발뮤다 토스터는 ‘죽은...

2009-11-26 | 2010년도 ‘러시안’ 다이어리

레드스톤 프레스는 줄리언 로선스타인이 운영하는 1인 출판사로, 1980년대부터 오랫동안 자리를 지키며 아트북을 선보여왔습니다. 다만 레드스톤의 출간물이 모두 책인 것만은 아니어서, 심리테스트 게임이라던가 다이어리도 있습니다. 매년 독특한 주제로 선보이는 스프링노트 형태의 다이어리. 2010년의 다이어리 주제는 ‘소비에트 연방 초창기의 아동 서적’이었습니다. 참고로 내년도 다이어리의 이름은 ‘또 다른 세상에서’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