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9-22 | 싱글타운

Editor’s Comment

2008년 베니스건축비엔날레에서 선보인 드로흐와 케셀스그라머의 ‘싱글타운’은 1인 가구의 부상이라는 사회적 변화를 9가지 유형의 1인 가구 모습을 통해 드러낸 전시였습니다. 사회적 변화가 낳은 생활 양식의 변화를 구현하기에 제품디자인은 좋은 방법론이었죠. 그것은 또한 ‘건물을 넘어선 건축’이라는 비엔날레 주제와도 잘 맞아떨어졌습니다. 

드로흐 & 케셀스크라머, ‘싱글타운’ – 2008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 전시회 
Photographer: Liz Hingley

네덜란드의 드로흐(Droog)가 광고회사 케셀스크라머(KesselsKramer)와 함께 ‘싱글’의 미래를 디자인했다. 드로흐의 ‘싱글타운(S1NGLETOWN)’ 전시가 지금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에서 펼쳐지고 있다. 

2026년경에는 전체 인구의 1/3이 싱글 가정이 될 것이라는 전망처럼, ‘나홀로 가정’은 이미 현재진행형인 사회적 변화다. 젊은 도시 직장인들은 보다 오래 1인 가구 상태에 머물고 있으며, 사회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배우자와 사별한 나홀로 노인 가구 역시 늘어나고 있다. 드로흐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다인 가족을 위해 디자인된 공간에서 한 사람이 살고, 4개의 좌석이 있는 자동차를 홀로 운전하며, 두 사람을 위한 침대에 한 사람만이 누워 잠을 청한다.”

드로흐 & 케셀스크라머, ‘싱글타운’ – 2008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 전시회 
Photographer: Liz Hingley
드로흐 & 케셀스크라머, ‘싱글타운’ – 2008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 전시회 
Photographer: Liz Hingley

드로흐 & 케셀스크라머, ‘싱글타운’ – 2008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 전시회 
Photographer: Liz Hingley

‘싱글타운’은 아홉 가지 서로 다룬 유형의 싱글 가구의 모습을 그려내고 있다. 마치 라스 폰 트리에의 영화 세트처럼 구현된 전시장을 걷다 보면, 누군가의 집을 들여다보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된다. 어떤 집은 최근 배우자와 사별한 한 노인의, 어떤 집은 바쁜 도시 직장인의 생활을 담고 있다. 각각의 가구는 거주자의 라이프스타일에 가장 잘 맞는 제품 및 서비스를 구현하고 있으며, 전시된 제품은 하이테크 조명 콘셉트에서, 영리한 수납 솔루션 에 이르기까지 고루 분포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싱글타운’은 사회적 변화가 추동하는 생활 양식의 변화를 전면화하며, 건물을 넘어선 건축이라는 이번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의 주제를 제품디자인을 통해 뒷받침하고 있다. 

셰어드 이모션스(Shared Emotions), ‘콘택트 테이블(Contact Tabel)’ – 한 쌍의 테이블로 구성되어 있다. 테이블의 상판은 터치스크린과 유사한 기능을 지니고 있어 손가락을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린 후, 이를 다른 테이블로 원거리 무선 송신이 가능하다. 커플이지만 서로 각자의 가구를 꾸리고 있는 연인들이 ‘따로 또 같이’ 있는 느낌을 갖게 될 것이라고.
Photographer: Liz Hingley
SMAQ, ‘난방 의자(Cosy chair)’ – 실내 전체를 난방하는 대신, 실제로 난방이 필요한 곳에만 열을 보낸다는 아이디어를 통해 탄생한 의자. 
Photographer: Liz Hingley
푸치나(Fucina), ‘나놀로(Nannolo)’ – 싱글족을 위한 그로테스크한 느낌의 테디베어. 끌어안고 잘 수 있는 대형 인형이다.
Photographer: Liz Hingley
한스 탄(Hans Tan), ‘식탁용매트 책(Placemat paperback)’ – 홀로 갖는 저녁 식사라도 테이블 매너는 필요한 법. 종이로 된 테이블 매트를 엮은 책으로, 식사 때마다 한장 한장 찢어 매트로 사용할 수 있다. 
Photographer: Liz Hingley
무빙 브랜드(Moving brands), ‘위아(Weare)’ – 디자이너의 사무실에 있는 스크린에, 여러 사람들로부터 온라인으로 전송된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된다. 이 수많은 이미지들이 모여 결과적으로 스카프의 패턴을 이룬다. “다수에 의한, 한 사람을 위한 패션”.

www.singletown.org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2-10 | 퍼펙트 매치

한때는 가정의 필수품이었지만, 이제는 생일 케이크를 살 때에나 볼 법한 물건이 되었습니다. 바로 성냥입니다. 한국에 단 하나 남아 있던 성냥 공장도 2013년 11월에 문을 닫았다고 하지요. 2007년 오늘은 이색적인 성냥 디자인을 소개했습니다. 이미 쓴 성냥인 양 위장한 성냥부터 양초에 둥지를 튼 성냥갑까지 다양합니다.

2008-06-09 | 이란의 블로고스피어

2008년 오늘 디자인플럭스에는 다소 낯선 주제의 소식이 올라왔습니다. 이란의 블로고스피어를 다룬 하버드 버크먼 인터넷과 사회 센터의 연구 내용인데요. 2000년대 블로그는 커뮤니티와 소셜네트워크의 근거지였고, 그러한 블로그들의 연결 집합체인 블로고스피어는 거대한 온라인 생태계였습니다. 14년 전 오늘의 소식은 한 국가의 블로고스피어가 어떤 식으로 지도화되는지 그 안에서 어떠한 주제와 이슈가 등장하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또 그 국가가 이란이라는 점에서도 흥미로웠습니다. 

나사, 3D 프린팅을 활용한 화성 탐사 시뮬레이션 건축

건축 관련 3D 프린팅 기술로 유명한 아이콘(ICON)사에서 2015년에 개봉한 할리우드 영화 ’마션(The Martian)’에서 영감을 받아 화성의 서식지 ‘마스 듄 알파’(mars dune alpha)를 제작했다.

2009-04-16 | 디지털 콘텐츠의 딜레마

음악이 물리적 매체를 탈피하면, 음반 디자인에서는 무엇이 남을까요? 2007년 오늘자 뉴스는 jpeg 형식의 커버 이미지 파일만이 남은 현실을 절절히 아쉬워하는 <디자인 옵저버>의 아티클을 소개했습니다. 그야말로 스트리밍의 시대인 지금, 또 하나의 흥미로운 아티클을 덧붙여 봅니다. AIGA의 ‘아이 온 디자인’에 실린 케이팝과 CD 음반 디자인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케이팝 신에서 CD는 팬들을 위한 “선물”처럼 채워지고 디자인되고 있으며, CD의 판매고도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고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