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9-02 | 데이비드 번의 자전거 보관대

Editor’s Comment

데이비드 번. 토킹 헤즈를 이끌었던 바로 그 뮤지션이자 예술가이며 동시에 열렬한 자전거 애호가인 그가 2008년 자전거 보관대를 디자인했습니다. 뉴욕교통국이 진행하는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그가 디자인한 보관대들이 뉴욕 곳곳에 설치되었는데요. “그저 미술 작품이 아니라 실용적인 자전거 보관대라는 사실을 알아볼 수 있게, 기존 보관대와 같은 두께, 같은 소재여야 한다는 점이 내게는 중요했다”는군요. 그렇게 탄생한 데이비드 번의 자전거 보관대는 11개월간 제자리를 지켰습니다.

아티스트 겸 뮤지션 데이비드 번(David Byrne)이 디자인한 자전거 보관대가 뉴욕 곳곳에 설치되고 있다. 뉴욕교통국이 주최한 자전거 보관대 디자인 공모전 에서, 심사위원으로 위촉된 그는 단지 응모작들을 심사하는데 그치지 않고, 그 자신이 직접 열정적으로 디자인한 보관대 안을 제출했다고. 아무래도 이력에 적힌 사이클리스트라는 소개가 빈말은 아닌 모양이다. 

그의 디자인 제안은 당국의 지지를 받아, 공모전이 진행되고 있는 지금 뉴욕 곳곳에 설치되고 있다. 특히나 그의 아이디어는 보관대가 설치될 주변 환경과의 교류가 돋보인다. 가령 MoMA 앞에 있는 보관대는 어딘가 현대예술 작품 같고, 링컨 터널 앞에 있는 보관대는 자동차 모양인 식이다. 

심플한 실루엣이 인상적인 데이비드 번의 자전거 보관대들은, 도시 환경 속의 활력소로 자리잡을 듯 하다. 물론 현재도 진행중인 디자인 공모전에도 관심을 기울일 일. 이번 공모전의 수상자는 10월 24일 발표된다.[1]

디자인플럭스 데이비드 번 인터뷰
디자인붐 데이비드 번 인터뷰

via designboom

ⓒ designflux.co.kr


[1] 기사 이미지 전체 교체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2-10 | 퍼펙트 매치

한때는 가정의 필수품이었지만, 이제는 생일 케이크를 살 때에나 볼 법한 물건이 되었습니다. 바로 성냥입니다. 한국에 단 하나 남아 있던 성냥 공장도 2013년 11월에 문을 닫았다고 하지요. 2007년 오늘은 이색적인 성냥 디자인을 소개했습니다. 이미 쓴 성냥인 양 위장한 성냥부터 양초에 둥지를 튼 성냥갑까지 다양합니다.

크리스토 앤 잔느-클로드의 마지막 프로젝트 ‘마스타바’

지난 2월 초, ‘마스타바가 드디어 현실화된다’는 몇몇 언론의 보도로 인해 프로젝트가 다시 화제가 되었는데,...

깔끔한 식사를 위한 식용 테이프

존스 홉킨스 화이팅 공과대학(Whiting School of Engineering)에서 음식을 감싸 고정할 수 있는 식용 테이프를...

2008-07-21 | 드로흐 ‘기후’ 공모전 수상작

드로흐가 주최했던 ‘기후’ 공모전의 수상작은 여러 모로 영리합니다. 1937년 첫선을 보인 알바르 알토의 그 꽃병과 그 디자인에 영감을 준 핀란드의 호수들. 얀 츠트브르트니크는 여기에서 출발하여, 핀란드에 실재하는 알토라는 이름의 호수가 1937년부터 2007년까지 거친 형태의 변화를 꽃병 디자인으로 형상화했습니다. 1937년의 모습이 꽃병의 외곽선을, 메말라 줄어든 2007년의 모습이 내곽선을 이루도록요. 그래서 이름도 ‘드로흐 알토’입니다. 마르다라는 뜻의 드로흐와 꽃병이자 호수인 알토로 기후 변화라는 주제를 담아냈지요.

Designflux 2.0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