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8-19 | 그들의 몰스킨 노트 속

Editor’s Comment

2006년 70권의 몰스킨 노트가 예술가, 작가, 디자이너에게 전해졌고, 그렇게 각각의 몰스킨이 경험한 우회의 여정이 다시 한자리에 모여, 전시의 형태로 다시 런던, 뉴욕, 파리, 베를린, 이스탄불, 도쿄, 베니스, 상하이, 밀라노를 여행했습니다. 2008년 오늘의 소식은 전시회 ‘우회’의 이야기입니다. 

‘우회’ 파리 전시회

메모와 그림들로 가득한 70여 개의 수첩들. 몰스킨(Moleskine)의 전시회 ‘우회(Detour)’에서 만날 수 있었던 엄연한 ‘작품’들이다. 몰스킨은 70개의 수첩을 예술가, 작가, 디자이너들에게 보냈다. 그들의 사유와 아이디어가 고스란히 담긴 수첩들은 다시 되돌아와 전시작품이 되었다. 누군가의 수첩을 들여다본다는 것은 그 자체로 은밀한 기쁨을 주는 일이겠지만, 특히나 창의적인 사고의 편린들을 만나볼 수 있는 기회란 더더욱 만족스러운 일이 아닐까. 누군가의 수첩에서 하나의 아이디어가 구체화되는 과정을 만나고, 누군가의 수첩에서는 사적인 이야기들을 만날 수도 있다. 특히나 우리의 관심을 끄는 것은 역시 디자이너들의 수첩일 것이다. 전시작 가운데는 로스 러브그로브, 알레산드로 멘디니, 론 아라드, 마이클 그레이브스, 콘스탄틴 보임, 알베르토 메다 등, 우리에게 너무도 익숙한 디자이너들의 수첩들이 포함되어 있다. ‘우회’는 뉴욕과 런던, 파리를 돌며 순회 전시를 마친 상황. 그렇다고 너무 실망할 필요는 없다. 전시 블로그를 통해 계속해서 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으니 말이다. 인물별로 수첩 이미지는 물론이고, 동영상이 함께 공개되어 있으니 찬찬히 둘러보시길.[1]

알베르토 메다
폴라 셰어
렌초 피아노
하비에르 마리스칼

http://detour.moleskinecity.com
https://moleskinefoundation.org/initiative/detour-and-mydetour/
https://www.youtube.com/user/moleskinecity/featured

via designboom

© designflux.co.kr


[1] 기사 제목 및 이미지 교체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5-09 | BMW 구겐하임 랩

도시들을 여행하는 작은 도시 실험실. BMW 구겐하임 랩이 2011년 여정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하나의 주제로 2년 동안 세 개의 도시를 순회하는 주기의 첫 목적지는 뉴욕이었습니다. 본래 BMW 구겐하임 랩은 세 번의 주기, 즉 9개 도시 6년의 장정을 기획했지만, 랩의 여정은 뉴욕-베를린-뭄바이까지만 이어졌습니다.

2011-05-27 | 앰네스티 x 마르턴 바스

2010년도 노벨평화상 시상식장에 막상 수상자 류 사오보는 수감되어 참석할 수 없었습니다. 시상식장에 주인 없이 남아 있어야 했던 의자를 상징 삼아, 앰네스티는 ‘빈 의자’라는 이름의 캠페인을 펼쳤습니다. 디자이너 마르턴 바스는 비어 있으되 하늘 높이 솟은 사다리와도 같은 의자로 현실과 희망을 동시에 보여주었습니다.

일회용 마스크 코트

마스크로 만든 소파 ‘카우치-19(Couch-19)’로 주목받았던 이탈리아 디자이너 토비아 잠보티(Tobia Zambotti)가 이번에는 일회용 마스크에 의한...

2011-07-05 | 랜덤 인터내셔널의 군집 연구, 그 세 번째

런던 빅토리아&앨버트 박물관의 계단참 위로 점점이 LED를 단 청동 막대들이 무리지어 네 개의 육면체를 이루었습니다. 그 자체로 완성된 조명인가 싶지만, 조명은 아래로 오가는 사람들의 움직임에 반응하며 미묘하게 조명의 밀도를 변화하여, 다양한 군집의 진형을 만들어냅니다. 새떼, 벌, 개미 등 자연 속의 무리짓기 행동 패턴을 조명으로 옮긴 설치 연작, 그 세 번째 ‘스웜 스터디 III’입니다.

Designflux 2.0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