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6-13 | 자동차, 옷을 입다

Editor’s Comment

아직 크리스 뱅글이 BMW의 디자인을 총괄하던 2008년, BMW는 콘셉트카 ‘GINA 라이트 비저너리 모델’을 공개했습니다. 핵심은 텍스타일 스킨이었습니다. ‘소프트톱’ 정도가 아니라 아예 차체 전체가 천을 입은 자동차는 없었죠. 그리고 이런 급진적인 선택이 던지는 질문은 바로 ‘유연한 자동차’라는 개념이었습니다. 

BMW이 공개한 콘셉트카 디자인 ‘GINA 라이트 비저너리 모델(GINA Light Visionary Model)’이 세계적인 화제를 불러모으고 있다. 어쩌면 이는 자동차 디자인 역사에 있어 최초의 ‘텍스타일 스킨’을 지닌 자동차인 지도 모른다. 메탈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전통적인 차체 소재 대신, 철재 프레임으로 차체 형태의 뼈대를 세우고, 그 위를 특수 소재의 천으로 덮어 씌운 것이다. 그물망 구조의 이 패브릭은, 물과 열에 강한 소재로 되어 있으며, 지속적인 장력도 견딜 수 있을 만큼 튼튼하다. 

이러한 원리로 구현된 ‘GINA’의 외관은, 거의 이음매가 보이지 않을 만큼 매끈하게 연결되어 있다. 자체의 스킨은 특정 기능이 활성화될 때만 그 연결 부분을 드러낸다. 가령 문을 연다거나, 헤드라이트를 켠다거나, 본네트를 열때, 그 숨겨진 균열들이 가시화되는 것이다. 심지어 차체 일부는 필요에 따라 그 형태도 변화한다. 가령 박진감있는 주행을 원한다면 공기 저항을 덜 받는 모습으로 차체를 변형할 수도 있고, 사소하게는 좌석의 머리받침대 부분조차도 사용자에 맞게 모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콘셉트는 미래 자동차의 디자인과 기능에 대한 색다른 솔루션을 담고 있다. 크리스 뱅글의 설명처럼, ‘GINA’의 핵심은 ‘플렉서블’이라는 하나의 단어로 요약된다. 과연 자동차에 있어 스킨은 어떤 기능을 지니고 있는가, 그것은 항상 플라스틱이나 메탈로 제작되어야 하는가? ‘GINA’는 운전자의 경험과 개성, 라이프스타일을 담아내는 유연한 그릇으로서의 자동차 디자인을 제안한다. 유연함을 통해 운전자와 대화하는 자동차라는 개념을 구현하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것은 하나의 완결된 자동차 모델 콘셉트라기보다, 미래 자동차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특징들에 대한 논의의 기초를 마련하는 계기인지도 모른다. 

‘GINA’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아래 BMW가 내놓은 공식 자료와 더불어, 크리스 뱅글이 이야기하는 ‘GINA’의 철학이 담긴 영상을 참조하시길. 

BMW Gina Visionsmodell(.doc)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11-11 | 벌레에게 배우다

공기에서 물을 얻다. 에드워드 리너커의 ‘에어드롭 관개법’이 2011년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를 수상했습니다. 그는 가뭄을 이겨낼 방법을 나미브 사막에 사는 딱정벌레에게 찾았는데요. 벌레가 안개로 물을 만들어 마시듯, ‘에어드롭 관개법’도 공기에서 물을 만들어냅니다. 자연을 선생으로 삼는 ‘생체모방’ 디자인의 사례라 하겠습니다.

2007-07-18 | 뉴 디자이너스 2007

2007년 오늘은 영국 ‘뉴 디자이너스’ 전시에서 주목받은 두 개의 전시작을 소개했습니다. 1985년 시작된 뉴 디자이너스는 이제 졸업을 앞둔 혹은 디자이너로서의 첫 해를 보낸 젊은 디자이너들의 작업을 한자리에서 선보이는 행사입니다. 베선 그레이, 제이 오스거비, 리 브룸 같은 이들도 뉴 디자이너이던 시절, 이 전시에 참여한 바 있죠. 올해의 행사는 바로 얼마 전인 7월 9일 막을 내렸습니다.

2011-11-02 | 영화 타이틀 스틸 모음

영화가 시작하고 영화의 제목이 스크린에 등장하는 바로 그 순간의 스틸 이미지를 한데 모은 디자이너가 있습니다. 크리스티안 아냐스는 멀리 1920년대부터 가깝게는 2014년까지, 영화의 타이틀 장면을 모아 웹사이트를 열었는데요. 어떤 영화들의 경우, 기본 정보 외에도 오프닝 타이틀 제작사는 어디인지 타이틀 장면에 쓰인 폰트는 무엇인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옛 영화들의 레터링 스타일을 되돌아보는 즐거움도 빼놓을 수 없지요.

2010-08-19 | 테크노크래프트 전시 개막

2010년 전시 ‘테크노크래프트’는 만들기라는 오래된 행위의 새로운 양상들과 그것이 불러온 새로운 가능성에 주목했습니다. 작년 5월 18일자 기사에서 그 내용을 소개했었죠. 오늘자 뉴스는 개막 이후 전시 현장의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