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2-20 | 호텔 클라스카 새단장

Editor’s Comment

도쿄의 부티크 호텔하면 떠오르던 이름, 호텔 클라스카가 2007년 새단장을 하였습니다. 2003년 문을 연 지 4년 만이니, 꽤 이른 리뉴얼이었지요. 2007년 오늘 디자인플럭스는 ‘뉴 재패니즈’ 스타일로 손님을 맞은 클라스카 객실의 모습을 소개했습니다. 아쉽게도 호텔 클라스카는 2020년 12월 20일 문을 닫았습니다만, 클라스카는 라이프스타일 기업으로서 갤러리 겸 숍, 의류 브랜드, 웹 매거진 등을 운영해오고 있습니다.  

객실 수는 통틀어 12개에 불과하다. 그 중에서도 3개 객실은 주 혹은 월 단위로 임대되는 레지던스이니 보통의 호텔처럼 이용할 수 있는 객실은 9개에 불과한 셈이다. 도쿄 메구로에 위치한 호텔 클라스카(Claska)는 그러나, <월페이퍼*>가 선정한 도쿄 최고의 호텔이자,지난 주 디자인플럭스 피플의 주인공인 디자이너 슈와 테이가 스스로 꼽은 가장 만족스러운 작업이기도 하다.

이미 국내의 여행자들 사이에서도 입소문을 탄 이 부티크 호텔은 올 초만 해도 문을 닫는다는 소문이 있었지만, 다행히도 새 경영자를 찾아 리뉴얼을 마치고 새로운 모습으로 여행객들을 맞이하고 있다. 클라스카는 전형적인 부티크 호텔로 특히나 서양식 콘셉트에 방점을 둔 인테리어를 선보였으나, 리뉴얼을 마친 모습은 ‘뉴 재패니즈’ 스타일이라 부를 만 하다고. 특히 레지던스 룸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객실의 한쪽 벽면은 온전히 수납에 봉사한다. 하지만 문으로 수납공간을 가리는 의 보통의 붙박이장과는 달리, 수납되는 대상의 실루엣을 ‘아이콘’화하여 객실 장식의 요소로 활용한다. TV, DVD 플레이어, 드라이어, 조명과 같은 객실 집기들이 자신의 모습을 닮은 홈 안에 고스란히 배치되어 있다. 바닥 쪽에는 여행 가방을 위한 수납공간과 함께, 독특하게도 디지털 애완견 아이보와 아이보의 집이 마련되어 있다. 이처럼 아이콘을 차용한 아이디어는 근래의 제품 디자인에서도 확인할 수 있으니, 메타피스의 ‘코티나(Cortina)’와 같은 제품이 대표적인 사례다. 

클라스카의 레지던스 룸의 모습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고 싶다면 Flickr에 올라온 리아오 유솅(Liao Yusheng)의 사진 세트를 감상하시기 바란다. 그는 이렇게 충고한다. “레지던스 룸은 오직 3개 뿐이어서 예약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그러니 이 곳에서 묵어보고 싶다면 정말 부지런히 예약에 나서라.”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유골로 만든 3D프린팅 인공 암초

사랑하는 이들의 유골이 바닷속에서 굴을 재생하는 인공 암초가 된다면 어떨까? 런던 왕립예술대학(RCA), 임페리얼칼리지출신의 루이스 L....

이케아 서핑 제품 컬렉션

가구 브랜드 이케아에서 세계 프로 서핑 연맹(World Surf League)과 협력하여 서핑 제품 컬렉션 ‘코세베리아(KÅSEBERGA)’를...

2010-04-23 | 탑승권 리디자인 릴레이

코로나19를 지나며 가장 먼저 여행이 ‘멈춤’에 돌입했고, 어느 머나먼 곳으로 떠나는 항공권을 들던 때가 그리울 정도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의 뉴스로 ‘항공권’ 이야기를 골라보았습니다. 어째서 항공권을 손에 들고서도 우왕좌왕하게 될까. 표를 언제 왜 들여다보게 되는가를 중심으로, 탑승권의 정보에 순서와 강조점을 부여한 어느 개인의 리디자인 제안과 그에 이어지는 릴레이입니다.

2007-03-31 | 리처드 로저스, 프리츠커상 수상

속을 뒤집어 내보인 듯한 모습으로 충격을 안겼던 파리 퐁피두 센터가 완공된 지 30년이 되던 그해, 그 건물의 건축가 리처드 로저스가 프리츠커상을 수상했습니다. 오래된 소식을 다시 전하며, 지난 12월 18일 전해진 그의 부고에도 늦게나마 애도를 표합니다. 참고로 2022년 프리츠커상은 부르키나파소 출신의 건축가 디에베도 프랑시스 케레에게 돌아갔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