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2-14 | PET병 샹들리에

Editor’s Comment

샹들리에는 넉넉함을 요구하는 조명입니다. 늘어뜨리고도 남을 만한 시원한 높이와 적지 않은 조명의 용적을 품을 너른 공간의 호사를 필요로 하지요. 실제로 여러 샹들리에가 그러한 호사를 호화로운 외양으로 과시합니다. 하지만 스튜어트 헤이가스는 샹들리에를 향한 보통의 기대를 충족하면서도 비틀곤 합니다. 그의 샹들리에에서는 파도에 휩쓸려온 쓰레기라던가 값싼 플라스틱 잡동사니 같은 의외의 재료가 무리를 짓습니다. 그리고 2007년 그가 디자인 마이애미/의 퍼포먼스를 위해 선택한 재료는 공항에서 수거한 PET병이었지요. 

영국의 디자이너  스튜어트 헤이가스(Stuart Haygarth)가 또 다시 멋진 샹들리에 작품을 내놓았다. 지난 9일 막을 내린 2007 디자인 마이애미/의 ‘디자인 퍼포먼스’ 섹션에 참여한 그는, PET 물병을 재료로 대형 샹들리에를 만들어냈다. 

‘드롭(Drop)’이라는 이름의 이 작품에는 총 1,800여 개의 PET병이 투입되었는데, 이 모두는 런던 스탠스테드 공항에서 수거한 것이다. 헤이가스는 이렇게 모인 물병들을 모래와 물 속에 넣고 다듬어 흡사 유백색 유리(frosted glass) 느낌의 질감을 만들어냈다. 디자인 퍼포먼스의 관람객들은 그가 직접 물병을 자르고 다듬어 이를 서로 이어붙이는 3일 간의 제작과정을 직접 지켜볼 수 있었고, 심지어는 물병이 모자를 때를 대비해 자신들의 물병을 디자이너에게 직접 건네주기도 했다고. 

스튜어트 헤이가스의 전작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 잡동사니로 빚어낸 디자인 오브제의 매력은 이번 작품에서도 고스란히 살아있다. 거대한 물방울 모양의 샹들리에로 거듭난 물병들은 대량소비시대의 재활용 미학을 보여준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M+, 미술관 이상의 미술관 (more than museum)

2021년 11월 12일, 홍콩에서 아시아 최초의 현대 시각 문화(Contemporary Visual Culture) 뮤지엄 M+가 드디어...

2010-08-24 | 이르마 봄 회고전

책들이 전하는 북 디자이너의 바이오그래피. 2010년 이르마 봄의 첫 번째 회고전이 암스테르담 대학에서 열렸습니다. <네덜란드 우표 87+88>을 비롯해 이르마 봄의 대표적인 작업들을 대거 선보인 전시와 함께, “작지만 방대한” 모노그래프도 발간되었는데요. 3.8 x 5cm의 초소형 크기에 결코 작지 않은 이르마 봄의 작업 세계를 담았습니다. 

2011-06-16 | VAT 19%와 7%, 둘 중 어느 쪽?

이것은 디자인일까 예술일까. 그 판단에 따라 부가가치세 19%냐 7%냐가 결정됩니다. 베타 탱크의 에얄 부르슈타인과 미헬레 가울러는 예술이다 디자인이다 딱 부러지게 말하기 ‘모호한’ 오브제들을 만들어, 각기 다른 세관을 거치는 경로로 전시 현장으로 부쳤습니다. 베타 탱크의 ‘택싱 아트’ 시리즈는 세법과 해운법이라는 관료적 세계로 들어선 오브제의 여행기입니다.

2007-05-03 | 기프트 라이트

스튜어트 헤이가스하면 이런저런 작은 물건들이 군집한 샹들리에가 떠오릅니다. 대표작인 ‘조류’처럼요. 2007년 오늘 소개한 ‘기프트 라이트’는 그와는 다르지만 또 아예 다르지만은 않습니다. 학교 앞 문방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작은 캡슐 자판기의 캡슐들을 여럿 품은 커다란 캡슐로서의 조명. 어린이를 위한 선물 같은 야간 조명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