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1-08 | 존 마에다 x 리복

Editor’s Comment

존 마에다와 리복의 만남. ‘타임태니엄’ 스니커즈는 그가 특별히 고안한 알고리듬과 코드를 입고 있습니다. 신발 속 가득한 공식과 수식이 만들어낸 이미지가 신발의 겉을 장식하고 있지요. 기술을 인간화하며, 컴퓨터를 자체로 하나의 매체로 삼은 디자이너이자 컴퓨터 과학자이자 예술가이자 교육자. 이 소식을 전한 지 한 달 조금 넘어, 그의 신상에 주요한 변화가 있었지요. 오래 몸담았던 MIT 미디어랩을 떠나 2007년 12월 RISD 학장에 선임되었다는 소식이었습니다.

MIT 미디어 랩의 존 마에다(John Maeda)은 수학의 논리를 가지고 디자인의 세계를 자유롭게 유영하는 흔치 않은 인물이다. 아티스트, 그래픽 디자이너, 컴퓨터 과학자, 수학자이자 <단순성의 법칙 The Laws of Simplicity>과 같은 걸출한 책의 저자인 그는 예술과 기술과 디자인 사이를 자유롭게 유영해 왔다. 그런 그가 최근 리복과 합작하여 스니커즈 디자인을 내놓았다는 소식이다. 

‘타임태니엄(Timetanium)’이라는 이름의 이 한정판 컬렉션은 마에다의 오리지널 그래픽 이미지를 신발 표면에 담고 있다. 이미 있는 디자인 소프트웨어가 아닌, 마에다 고유의 수학적 알고리듬과 컴퓨터 코드를 이용해 만든 작품이다. 흔히 지나치기 쉬운 신발 안쪽의 디자인에도 주목할 만 하다. 신발의 창을 비롯해 안쪽 벽은 그래피티를 보는 듯 하다. 신발 안쪽을 가득 메운 어지러운 공식과 수학적 기호들은 마에다가 이번 작업에 사용한 수식과 공식들로, 마에다 본인의 필체 그대로를 담고 있다. 

리복의 ‘타임태니엄’은 단 100켤레만 한정 생산되며, 11월 13일 리복 커스텀 스토어에서 판매를 개시한다. 

via Freshnessmag.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6-08-16 | 헬베티카 50주년 기념 다큐멘터리

2006년 8월, 게리 허스트윗은 이후 ‘디자인 3부작’의 시작이 될 다큐멘터리의 후반 작업에 한창이었습니다. 다가오는 2007년 ‘헬베티카’의 탄생 50주년을 맞아, 그는 어떻게 이 하나의 서체가 전 세계 생활 풍경의 일부가 되었는지를, 세계 곳곳에 거주하는 헬베티카의 모습과 디자이너들의 인터뷰를 통해 담아냅니다. <헬베티카>는 2009년 디자인플럭스와 한국디자인문화재단이 연 작은 영화제의 상영작이기도 했는데요. 신작과 함께 게리 허스트윗 감독이 한국을 찾아, <헬베티카>와 <오브젝티파이드> 두 편의 작품으로 극장에서 관객과 만났습니다.

태양계로 그려낸 록 음악 계보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현대 팝, 록 음악의 계보는 다양한 형식의 다이어그램으로 묘사되어 왔다. 얼마전...

2008-06-13 | 자동차, 옷을 입다

아직 크리스 뱅글이 BMW의 디자인을 총괄하던 2008년, BMW는 콘셉트카 ‘GINA 라이트 비저너리 모델’을 공개했습니다. 핵심은 텍스타일 스킨이었습니다. ‘소프트톱’ 정도가 아니라 아예 차체 전체가 천을 입은 자동차는 없었죠. 그리고 이런 급진적인 선택이 던지는 질문은 바로 ‘유연한 자동차’라는 개념이었습니다. 

2009-02-25 | 2009 브릿 인슈어런스 디자인 어워즈

런던 디자인뮤지엄이 주최하는 연례 디자인 시상식의 2009년도 수상 결과를 다시 만나봅니다. 건축, 패션, 가구, 그래픽, 인터랙티브, 제품, 운송 등 총 7개 부문에서 ‘올해의 디자인’이 선정되었는데요. 노르웨이 오슬로의 오페라 하우스에서 콜롬비아 메데인의 케이블카까지, 2008년의 디자인을 되돌아보는 기회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