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1-08 | 존 마에다 x 리복

Editor’s Comment

존 마에다와 리복의 만남. ‘타임태니엄’ 스니커즈는 그가 특별히 고안한 알고리듬과 코드를 입고 있습니다. 신발 속 가득한 공식과 수식이 만들어낸 이미지가 신발의 겉을 장식하고 있지요. 기술을 인간화하며, 컴퓨터를 자체로 하나의 매체로 삼은 디자이너이자 컴퓨터 과학자이자 예술가이자 교육자. 이 소식을 전한 지 한 달 조금 넘어, 그의 신상에 주요한 변화가 있었지요. 오래 몸담았던 MIT 미디어랩을 떠나 2007년 12월 RISD 학장에 선임되었다는 소식이었습니다.

MIT 미디어 랩의 존 마에다(John Maeda)은 수학의 논리를 가지고 디자인의 세계를 자유롭게 유영하는 흔치 않은 인물이다. 아티스트, 그래픽 디자이너, 컴퓨터 과학자, 수학자이자 <단순성의 법칙 The Laws of Simplicity>과 같은 걸출한 책의 저자인 그는 예술과 기술과 디자인 사이를 자유롭게 유영해 왔다. 그런 그가 최근 리복과 합작하여 스니커즈 디자인을 내놓았다는 소식이다. 

‘타임태니엄(Timetanium)’이라는 이름의 이 한정판 컬렉션은 마에다의 오리지널 그래픽 이미지를 신발 표면에 담고 있다. 이미 있는 디자인 소프트웨어가 아닌, 마에다 고유의 수학적 알고리듬과 컴퓨터 코드를 이용해 만든 작품이다. 흔히 지나치기 쉬운 신발 안쪽의 디자인에도 주목할 만 하다. 신발의 창을 비롯해 안쪽 벽은 그래피티를 보는 듯 하다. 신발 안쪽을 가득 메운 어지러운 공식과 수학적 기호들은 마에다가 이번 작업에 사용한 수식과 공식들로, 마에다 본인의 필체 그대로를 담고 있다. 

리복의 ‘타임태니엄’은 단 100켤레만 한정 생산되며, 11월 13일 리복 커스텀 스토어에서 판매를 개시한다. 

via Freshnessmag.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레고로 재해석한 앨범 재킷

미국의 레고 아티스트 애드넌 로티아(Adnan Lotia)는 명반의 재킷을 레고 아트로 재해석한다. 록, 팝, R&B,...

2009-12-02 | 콘크리트, 천이 되다

콘크리트에는 틀이 필요하다는 틀에서 벗어난 새로운 형태의 콘크리트. 콘크리트 캔버스 사의 ‘콘크리트 천’이 그것입니다. 방염 패브릭과 방수 PVC 사이에 콘크리트 믹스가 든 형태로, 콘크리트 천을 시공한 후 물을 부으면 단단하게 굳어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거뜬히 제 역할을 해냅니다.

2010-05-11 | 3D 프린터로 건축 모형을

프리덤 오브 크리에이션은 3D 프린팅 기술의 가능성을 앞서 실험한 디자인 회사 중 하나였습니다. 이미 패션 액세서리, 조명, 제품 등 여러 분야에서 디자인을 선보였던 그들이 2010년에는 3D 프린터로 정교한 건축 모형을 제작했죠. 이듬해 프린팅 오브 크리에이션은 2011년 3D 프린팅 전문 기업 3D 시스템스에 인수되었습니다.

2010-12-13 | 팬톤 선정 2011년의 색

지금으로부터 10년 전, 팬톤이 예견한 내년의 색은 ‘허니서클’이었습니다. 붉은 기가 도는 분홍의 활력이 일상의 어려움을 활기차게 마주할 수 있도록 해줄 것이라는 설명이었지요. 참고로 팬톤 선정 2022년의 색은 ‘베리 페리’입니다. 팬톤이 이번 '컬러 오브 더 이어'를 위해 새로 만든 색상으로, 이처럼 새로운 조색을 선택한 것은 23년 컬러 오브 더 이어 역사상 처음이라는군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