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0-25 | 메탈 셔터 하우스

Editor’s Comment

뉴욕 웨스트 첼시의 아트갤러리 지구에 자리한 이 11층짜리 주거용 건물은 차분하고 반듯하지만, 동시에 동적인 면모를 지녔습니다. 건물의 전면에 달린 천공을 낸 금속의 셔터가 닫힘과 열림을 통해 건물에 새로운 인상을 부여합니다. 개별 가구에는 프라이버시를 확보하고 빛을 조절하는 실용적인 요소이면서, 건축적으로는 변화하는 외벽이라는 개념의 구현이기도 했죠.

종이 건축으로 잘 알려진 일본의 건축가 시게루 반이 뉴욕 첼시의 한 주거용 빌딩의 디자인을 맡았다. 웨스트 첼시 아트 갤러리 구역에 들어서는 이 아파트는 사실 주변에 놀라운 이웃들을 두고 있다. 바로 옆에는 프랭크 게리가 디자인한 IAC 본사가 들어서 있고, 바로 그 건너편에는 현재 장 누벨이 디자인한 건물이 들어서고 있다. 이 블록은 새로운 뉴욕의 대담한 얼굴을 만들어가고 있는 현장인 셈이다. 

시게루 반의 이 아파트는 총 9채의 복층식 주택들이 들어서게 된다. 적어도 규모로 보는 이를 압도하는 그러한 종류의 프로젝트는 아닌 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명 이 건물은 웨스트 첼시의 또 하나의 명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 건물의 파사드는 모터 방식으로 작동하는 금속 셔터로 구성되어 있다. 거리 쪽에 면한 창과 테라스를 개폐할 수 있는 메탈 스킨이 건물의 표면을 역동적으로 변모시키는 것이다. 이 건물은 아마도 셔터가 완전히 내려진 후에는 미니멀한 큐브처럼 보일지도 모른다. 

그동안 시게루 반은 ‘커튼 월 하우스’와 같은 작품을 통해 건물의 외벽 개념을 새롭게 제시한 바 있다. 이번 ‘메탈 셔터 하우스’는 비록 하늘거리는 커튼이 아닌 단단한 금속이기는 하나 커튼의 또 다른 연장으로서, 건물의 외벽에 변화를 불어넣는다. 또한 복층형 주택으로 자연스레 높은 창과 테라스가 강조된 구조인 만큼, 셔터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빛의 양을 주거자들이 직접 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용적이기도 하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친환경/지속가능한 디자인 연구물은 어디에?

‘친환경’, ‘지속가능성’은 이제 디자인에서 고려해야할 사항 중에 하나가 아니라 디자인의 기본 조건이 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중요한연구의 주제이긴 하지만 대단히 많은 분야들과 연결되어 있어서 별도의 전문 분야로 다루기보다 각 학계에서 학문적 특성에 맞추어 다루는 토픽 중의 하나가 되었다.

2011-05-04 | 알렉산더 맥퀸: 새비지 뷰티

2010년 2월 11일, 패션 디자이너 알렉산더 맥퀸의 사망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40세라는 나이도, 자살이라는 사인도 모두 안타까움과 충격을 안겼습니다. 그로부터 15개월 뒤, 뉴욕 메트의 복식연구소에서 그를 회고하는 전시회가 열렸습니다. 2011년 오늘의 뉴스는 ‘알렉산더 맥퀸: 새비지 뷰티’ 전시회 개막 소식입니다.

2006-12-15 | 로고들의 무덤

‘로고 R.I.P.’는 지금은 사라진 그러나 고전이라 할 로고들을 기념합니다. 책으로, 웹사이트로, 또 묘지의 비석으로도 말이지요. 암스테르담에서 브랜딩 컨설턴시인 더 스톤 트윈스를 함께 운영하는 쌍둥이 형제, 데클란 스톤과 가렉 스톤은 AT&T에서 제록스에 이르기까지, 사멸한 로고들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마차 부고 기사 속 생애의 요약처럼요.

2009-05-27 | ‘214’ 의자 150 주년 

나무를 구부리는 곡목 기법으로 태어난 최초의 대량생산 의자. 미하엘 토네트가 만들어낸 ‘214’입니다. 19세기에 태어난 이 의자는 20세기를 지나 21세기까지 여전히 사랑받는 고전 중의 고전이 되었죠. 2009년은 ‘214’가 탄생 150주년을 맞은 해였습니다. 이를 기념해 토네트는 다리에 매듭을 더한 ‘214k’도 선보였지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