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9-05 | 접이식 인테리어 오브제

Editor’s Comment

스웨덴의 폼 어스 위드 러브가 2007년 접이식 인테리어 소품 시리즈를 선보였습니다. 플랫팩 디자인의 극한이라고 할까요. 접기 전에는 그저 얇은 철제 평판입니다. 접기 과정을 거쳐야 비로소 옷걸이, 쓰레기통, 시계 등의 소품이 됩니다. 폼 어스 위드 러브는 2007년 당시만 해도 설립 3년 차의 신진 스튜디오였지만, 2020년에는 〈패스트 컴퍼니〉가 선정한 최고의 혁신적 디자인 회사 명단에 올랐습니다.

스웨덴의 디자인 스튜디오 폼 어스 위드 러브(Form Us With Love)가 쉽게 구부리고, 접을 수 있는 인테리어 오브제를 내놓았다. 일명 BIO(Bendable Interior Objects)로 얇은 강철로 된 평평한 시트로 만든 사무용품이다. 사용자가 구입 후 직접 오브제로 접을 수 있는 컬렉션으로 크기가 큰 제품의 경우, 공장에서 직접 접어 출시하기도 한다.

이 제품의 컨셉은 폼 어스 위드 러브에 의해 2005년 디자인 박람회에서 처음 소개된 바 있다. 미래적 비전에서 출발한 이 제품은 제조 과정 및 포장, 이동, 저장, 조립 등 제작 전반에 걸쳐 지속 가능성과 환경에 초점을 두고, 몇 년에 걸쳐 제작됐다. 이후 몇 제품이 밀라노, 뉴욕, 도쿄 등에서 전시됐으며, 지난 8월 30일 비로소 코트걸이, 코트훅, 의자, 종이 쓰레기통, 데스크커버, 시계 등 6개의 제품 디자인을 시장에 내놓게 됐다. 

BIO 제품의 컨셉을 이끄는 폼 어스 위드 러브는 혁신적인 제품, 가구, 조명 디자인에 초점을 둔 젊은 디자인 스튜디오로, 2006년 젊은 스웨덴 디자인 상, 2007년 레드닷 디자인 상을 수상한 바 있다.

BIO는 온라인 www.b-i-o.se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 BIO 제품을 어떻게 접는지 궁금하다면 유튜브에 친절히 소개되어 있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7-29 | 산업디자인계 트렌드세터 10인

2007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촉발된 금융위기가 아직도 진행 중이던 2009년, <포브스>는 산업디자인계의 트렌드세터 10인의 명단을 발표했습니다. 경제위기가 불러온 소비의 변화에 가장 먼저 응답할 분야로서 산업디자인을 지목하고, 그 분야의 트렌드를 이끄는 인사들을 선정한 것인데요. 과연 어떤 이름들이 명단을 이루었을까요. 2009년 오늘의 뉴스에서 재확인해봅니다.

2006-09-19 | 앨 고어의 기후위기 관련 연설

2006년 전 미국 부통령 앨 고어는 뉴욕대에서 한 연설에서 ‘2030 챌린지’를 언급했습니다. 2030년까지 모든 신축 건물에서 탄소중립을 이룰 것을 목표로 하자는 기획이었죠. 그때만 해도 목표는 2030년이었습니다. 16년이 지나는 동안 기후는 위기 상황에 가까워졌지만, 민관이 말하는 목표의 시한은 오히려 2050년으로 더 미뤄지고 말았습니다. 

2010-12-27 | 미니멀 패키징 효과 연구

포장 디자인에서 미니멀리즘의 효과를 시험해 봅니다. 안트레포는 익숙한 기존 제품들의 포장을 대상으로 ‘빼기’의 과정을 실행합니다. 일러스트레이션이 사라지고, 색상이 사라지는 식으로요. "맥시멀리스트 시장에서의 미니멀리스트 효과"라 이름 붙인 그들의 시험들을 살펴봅니다. 

‘원석에서 유리로’: 원석으로 만드는 천연 색 유리

예루살렘에서 활동하는 디자이너 살로메 마렉(Salomé Maarek)이 원석을 활용하여 천연 색유리를 만드는 프로젝트 ‘원석에서 유리로(From...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