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8-17 | 미켈 모라의 ‘평평한 미래’

Editor’s Comment

RCA에서 디자인 인터랙션을 공부하던 미켈 모라는 석사 학위 프로젝트로 ‘평평한 미래’를 생각했습니다. 종이라는 아주 오래된 사물에 미래를 입혔다고 해야 할까요? 디스플레이, 배터리 스피커와 같은 요소들을 종이 위에 프린트하여 종이를 기술의 평면으로 바꾸었습니다. 그렇게 그의 미래에서 종이는 사라질 유물이 아니라 강화된 기술적 사물이 되었죠.

테크놀로지와 2차원 세계의 만남을 탐색하는 젊은 디자이너가 있다. 영국왕립예술대학(RCA) 졸업생 미켈 모라(Miquel Mora)가 그 주인공이다. 미켈 모라의 ‘평평한 미래(Flat Futures)’ 프로젝트는 곧 디지털 종이에 대한 탐구이기도 하다. 그는 종이와 같은 2차원 표면 위에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배터리 등을 새겨, 2차원의 평평한 사물에 테크놀로지의 옷을 입힌다. 테크놀로지가 탑재돼 있지 않은 2차원 물질에 테크놀로지를 입혀내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미켈 모라는 종이 시계 외 접착 테이프, 봉투 등 평면 위에 여러 전자 요소들을 새겨 넣었다. 컴퓨터 프로세서와 스피커 기능 등 전자 요소들을 프린트한 접착 테이프는 언제 어디서나 기존 제품을 향상시키거나 새로운 제품을 만들 때 활용될 수 있다. 메모리 봉투는 봉투가 배달되는 과정을 GPS 포지션을 통해 기억한다. 봉투의 지난 여행의 기록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게 된 셈. 

바로셀로나 출신의 미켈 모라는 현재 파리에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그의 다양한 작품들이 궁금하다면, 홈페이지(www.miquelmora.com)를 방문해 보시길.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디자인 노트 : 큐레이터의 역사 연구

“배넘(Reyner Banham)은 내 연구에 두 가지 영향을 미쳤다. 한 가지는 역사 연구의 다양성에 대한...

마틴 루터 킹 추념 공예 프로젝트

미국의 1월 셋째주 월요일은 흑인 해방운동 지도자인 마틴 루터 킹 (Martin Luther King, Jr....

2010-03-03 | 졸업작품, 소더비로 향하다

2000년대 중반 이후 디자인이 주요한 소장품으로 부상한 가운데, 2010년에는 디자인 아카데미 에인트호번 학생들의 졸업작품이 유서 깊은 경매 회사로 향했습니다. ‘협업’의 개념으로 진행된 작품 판매 전시를 통해 최소한의 옷, 사우나 겸 옷장, 감각부하 탈출공간 등 2009년도 졸업작품들이 소더비 런던에서 전되었습니다.

LA 한복판, 건축 공사 구조물

로스앤젤레스에 위치한 공예박물관, 크래프트 컨템포러리(Craft Contemporary)와 비영리 문화 단체, 머티리얼 앤 어플리케이션(Materials & Applications)이...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