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8-10 | 시게루 반의 종이 다리

Editor’s Comment

시게루 반에게 종이는 훌륭한 건축 자재입니다. 연약하다고 여겨지는 재료이지만 그것으로 만든 건축물까지 연약하기만 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그는 ‘종이 건축’으로 반증해 보였지요. 2007년 오늘의 소식은 그가 프랑스에 지었던 종이로 된 다리입니다. 지관을 이용해 한 번에 스무 명이 지나가도 끄떡없는 종이 다리를 완성했지요. 

종이로 된 다리를 건넌다? 종이 인형이라면 모를까, 가능한 일일까? 하지만 섣부른 판단은 금물. 일본의 건축가 시게루 반은 상상 속에나 가능한 일을 눈 앞에 펼쳐낸다. 그의 전작들을 떠올려본다면 그리 새로운 일은 아니다. 종이 집, 종이 교회 등 일련의 작품을 통해, 일체의 장식 없는 미니멀한 구조 미학과 재활용 종이나 두꺼운 판지, 대나무 등 약한 재료를 이용한 건축 테크놀로지를 강조한 바 있다.

종이 파이프 조립 분야의 개척자인 시게루 반은 환경 친화적인 가벼운 재료를 이용해, 건축 프로젝트에 생태학적 요구와 지속가능성을 결합시킨 대표적인 인도주의 건축가다. 약한 자재나 재료를 선호하는 그는 재료들을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구조물의 강도 및 미학적 효과가 달라진다고 보았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더 튼튼한 재료, 더 비싼 재료 등이 작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라는 편견에 사로잡혀 있다. 시게루 반은 이러한 고정 관념에 얽매이지 않는 새로운 제작 방식을 보여준다.

이번에 선보인 종이로 된 다리는 UN 세계 유적지로 선정된 프랑스 남부의 퐁뒤가르 다리에서 반 마일 정도 떨어진 가르동 강에 위치한다. 돌로 지어진 퐁뒤가르 다리와 종이 다리는 매우 흥미로운 대조를 이룬다. 돌 다리와 비교해 한없이 약해 보이는 종이. 시게루 반은 이러한 편견을 없애기 위해, 종이 역시 반영구적이며 강하며 오래 지속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이는 24 명의 프랑스 건축과 학생들과 3 명의 일본 학생들의 도움으로 한 번에 20 명이 지나가도 끄떡없는 7.5 톤 무게의 종이 다리를 완성하는 계기가 됐다. 자재의 강도가 구조물의 강도를 좌우한다는 편견을 한방에 날린 셈이다. 

종이 다리는 폭이 11.5 센티미터, 두께가 11.9 밀리미터인 종이 파이프 281 개로 제작됐다. 종이의 보강재료는 모래로 채워진 나무 박스. 여러 개의 종이 파이프들을 엮어 강 위에 다리를 만들어내고, 사람들이 지나갈 수 있을 만큼 튼튼한 구조물을 완성한 것이다. 이는 정확하게 계산하고 창조적으로 고안한 설계과정이 뒷받침됐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시게루 반은 줄곧 “다리는 내 꿈의 하나였다”고 말한다. 약한 자재나 재료를 선호하고 고정관념에 얽매이지 않는 새로운 제작 방식과 건축 테크놀로지로 드디어 그 꿈을 이뤄낸 것이다. 그의 최신 작품인 종이 다리는 6주 동안 대중들에게 공개될 예정이며 장마 기간이 시작되기 전에 철수할 예정이다. 종이로 된 다리를 건너고 싶다면, 서둘러야 할 듯.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뉴욕 차이나타운 도자기 상점의 문화예술 프로젝트

1890년에 처음 문을 연 상점 윙온워(Wing On Wo & Co.)는 뉴욕 차이나타운에서 가장 오래된...

2008-07-21 | 드로흐 ‘기후’ 공모전 수상작

드로흐가 주최했던 ‘기후’ 공모전의 수상작은 여러 모로 영리합니다. 1937년 첫선을 보인 알바르 알토의 그 꽃병과 그 디자인에 영감을 준 핀란드의 호수들. 얀 츠트브르트니크는 여기에서 출발하여, 핀란드에 실재하는 알토라는 이름의 호수가 1937년부터 2007년까지 거친 형태의 변화를 꽃병 디자인으로 형상화했습니다. 1937년의 모습이 꽃병의 외곽선을, 메말라 줄어든 2007년의 모습이 내곽선을 이루도록요. 그래서 이름도 ‘드로흐 알토’입니다. 마르다라는 뜻의 드로흐와 꽃병이자 호수인 알토로 기후 변화라는 주제를 담아냈지요.

2009-09-01 | 2009 인덱스 어워드 놀이 부문 수상작:

인덱스 어워드는 2년에 한 번씩 열리는 디자인 시상 행사입니다. ‘몸’, ‘집’, ‘일’, ‘놀이와 배움’, ‘공동체’의 다섯 가지 부문 별로 “삶을 개선하는 디자인”을 선정해 발표하는데요. 2009년 ‘놀이’ 부문상은 네덜란드의 디자이너 크리스틴 메인데르츠마에게 돌아갔습니다. 그는 05049번이라 불리던 돼지가 도축되고 187개 제품이 되기까지, 그 쓰임새의 면면을 3년에 걸쳐 연구하여 한 권의 책에 담았습니다.

사무 공간의 구성: ‘원칙들(PRINCIPLES)’

렘 콜하스(Rem Koolhaas)의 건축 설계 사무소 OMA는 최근 이탈리아 사무용 가구 제조기업 유니포(UniFor)와의 협업을...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