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8-10 | 시게루 반의 종이 다리

Editor’s Comment

시게루 반에게 종이는 훌륭한 건축 자재입니다. 연약하다고 여겨지는 재료이지만 그것으로 만든 건축물까지 연약하기만 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그는 ‘종이 건축’으로 반증해 보였지요. 2007년 오늘의 소식은 그가 프랑스에 지었던 종이로 된 다리입니다. 지관을 이용해 한 번에 스무 명이 지나가도 끄떡없는 종이 다리를 완성했지요. 

종이로 된 다리를 건넌다? 종이 인형이라면 모를까, 가능한 일일까? 하지만 섣부른 판단은 금물. 일본의 건축가 시게루 반은 상상 속에나 가능한 일을 눈 앞에 펼쳐낸다. 그의 전작들을 떠올려본다면 그리 새로운 일은 아니다. 종이 집, 종이 교회 등 일련의 작품을 통해, 일체의 장식 없는 미니멀한 구조 미학과 재활용 종이나 두꺼운 판지, 대나무 등 약한 재료를 이용한 건축 테크놀로지를 강조한 바 있다.

종이 파이프 조립 분야의 개척자인 시게루 반은 환경 친화적인 가벼운 재료를 이용해, 건축 프로젝트에 생태학적 요구와 지속가능성을 결합시킨 대표적인 인도주의 건축가다. 약한 자재나 재료를 선호하는 그는 재료들을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구조물의 강도 및 미학적 효과가 달라진다고 보았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더 튼튼한 재료, 더 비싼 재료 등이 작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라는 편견에 사로잡혀 있다. 시게루 반은 이러한 고정 관념에 얽매이지 않는 새로운 제작 방식을 보여준다.

이번에 선보인 종이로 된 다리는 UN 세계 유적지로 선정된 프랑스 남부의 퐁뒤가르 다리에서 반 마일 정도 떨어진 가르동 강에 위치한다. 돌로 지어진 퐁뒤가르 다리와 종이 다리는 매우 흥미로운 대조를 이룬다. 돌 다리와 비교해 한없이 약해 보이는 종이. 시게루 반은 이러한 편견을 없애기 위해, 종이 역시 반영구적이며 강하며 오래 지속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이는 24 명의 프랑스 건축과 학생들과 3 명의 일본 학생들의 도움으로 한 번에 20 명이 지나가도 끄떡없는 7.5 톤 무게의 종이 다리를 완성하는 계기가 됐다. 자재의 강도가 구조물의 강도를 좌우한다는 편견을 한방에 날린 셈이다. 

종이 다리는 폭이 11.5 센티미터, 두께가 11.9 밀리미터인 종이 파이프 281 개로 제작됐다. 종이의 보강재료는 모래로 채워진 나무 박스. 여러 개의 종이 파이프들을 엮어 강 위에 다리를 만들어내고, 사람들이 지나갈 수 있을 만큼 튼튼한 구조물을 완성한 것이다. 이는 정확하게 계산하고 창조적으로 고안한 설계과정이 뒷받침됐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시게루 반은 줄곧 “다리는 내 꿈의 하나였다”고 말한다. 약한 자재나 재료를 선호하고 고정관념에 얽매이지 않는 새로운 제작 방식과 건축 테크놀로지로 드디어 그 꿈을 이뤄낸 것이다. 그의 최신 작품인 종이 다리는 6주 동안 대중들에게 공개될 예정이며 장마 기간이 시작되기 전에 철수할 예정이다. 종이로 된 다리를 건너고 싶다면, 서둘러야 할 듯.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12-08 | 빔 크라우벌 회고전

2011년 런던 디자인 뮤지엄에서 디자이너 빔 크라우벌의 회고전이 영국에서는 처음으로 열렸습니다. ‘빔 크라우벌 – 그래픽 오디세이’는 “미스터 그리드닉”이라 불리웠던 그의 60년 작업 세계를 망라하는 전시였습니다. 10년 전 오늘의 소식과 함께, 2019년 타계한 그를 기리며 암스테르담 시립미술관에서 연 추모 웹사이트도 다시 방문해봅니다. 

도레이, 100% 식물성 나일론 개발

일본의 섬유회사 도레이(Toray)가 식물유래 화합물로 만든 나일론 섬유 ‘에코디아 N510 (Ecodia ® N510)’를 출시했다....

누구나 만들 수 있는 자전거 #Openbike

스페인 건축 스튜디오 아르키마냐(arquimaña)의 ‘오픈 바이크(#Openbike)프로젝트’에서는 도면을 다운로드하여 나무 자전거를 제작할 수 있는 오픈...

2006-08-29 | 몰스킨의 “브랜드 고고학”

이 수첩은 본래 프랑스에서 태어났지만, 세계적으로 알려진 이름이 된 것은 이탈리아의 한 회사가 이 브랜드를 인수한 이후입니다. 바로 ‘몰스킨’의 이야기입니다. 2006년 이탈리아에서 다시 프랑스 브랜드로 되돌아간 몰스킨 소식을 계기로, 그해 오늘은 몰스킨의 부활의 밑거름이 된 배경을 살펴보았습니다. 모도 앤드 모도는 100년 동안 예술가들의 친구였던 이 수첩의 역사와 유산을 되살렸고, 애호가들은 기꺼이 몰스킨의 자발적 마케터가 되었습니다. 누군가는 이 놀라운 성공을 두고 “브랜드 고고학”이라 불렀죠.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