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7-18 | 뉴 디자이너스 2007

Editor’s Comment

2007년 오늘은 영국 ‘뉴 디자이너스’ 전시에서 주목받은 두 개의 전시작을 소개했습니다. 1985년 시작된 뉴 디자이너스는 이제 졸업을 앞둔 혹은 디자이너로서의 첫 해를 보낸 젊은 디자이너들의 작업을 한자리에서 선보이는 행사입니다. 베선 그레이, 제이 오스거비, 리 브룸 같은 디자이너들도 뉴 디자이너였던 시절, 뉴 디자이너스 전시에 참여한 바 있죠. 올해의 행사는 바로 얼마 전인 7월 9일 막을 내렸습니다.

지금 런던에서는 뉴 디자이너스 2007 전시가 펼쳐지고 있다. 건축에서 애니메이션, 가구에서 패션, 그래픽에서 유리공예에 이르는 20여개 디자인 분과의 신인 디자이너들을 한 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행사다. 이 전시에서 특히 주목을 받는 두 개의 작품을 소개한다. 모두 기능에 대한 참신한 접근이 인상적인 작품들이다. 

‘탭 라이트(Tap Light)’

열쇠, 문 손잡이 등등 특별한 생각없이 사용해온 수많은 사물이 있다. 말하자면 특별히 사용법을 배우지 않아도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그러한 것들이다. 버킹엄셔 칠턴스 대학에서 가구 디자인 과정을 마친 캣 맥키(Cat Mackee)는 이 직관적인 요소를 디자인에 도입해 일종의 놀라움을 선사한다. ‘탭 라이트’는 외관상 그 자신의 기능에 대한 어떠한 단서도 제공하지 않는다. 그러나 사용자는 수도꼭지를 보는 순간 자연스레 이를 돌려보게 될 것이고, 그리하여 이 제품이 ‘조명’이라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직관이 인도하는 변형된 기능의 발견이야말로‘탭 라이트’가 제공하는 묘미다. 

‘도시 속의 전원(The Country in the City)’

골드스미스 대학을 졸업한 알렉스 브라운(Alex Brown)의 작품이다. 그는 내화유리에 전통 자수(embroidery) 기법을 결합했다. 작품명이 암시하듯, 이 작품은 도시 속에 전원의 미덕을 불어넣고자 한다. 도시와 전원은 현대 사회에서 더욱 이원적으로 경험된다. 일은 도시에서 하지만 집은 교외에 있다거나, 혹은 도시에 거주하면서 ‘여행’을 통해 전원 생활을 일시적으로 소비한다거나 하는 식으로 말이다. 심지어 전원, 시골 생활에 대한 향수어린 찬탄 역시 이러한 대립 속에서 더욱 힘을 얻는다. 어쩌면 알렉스 브라운의 작업 역시 이러한 맥락에 있는 수많은 작품 중 하나일 지도 모른다. “작품에 전원의 미덕을 취하는 것, 그리하여 디자인이 어떻게 도시 환경 속에 전원의 미덕을 북돋을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이 작품의 목표이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3-24 | MoMA, @를 소장하다

탄생은 멀리 6~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오늘날 같은 기능으로 이처럼 널리 쓰이게 된 것은 1970년대 이후의 일입니다. 2010년 MoMA의 건축·디자인부가 부호 ‘@’를 영구 소장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누구의 것도 아니며 실물로 존재하지도 않지만, “소장에 요구되는 다른 기준들을 만족”하며, 더불어 기존의 부호를 전유해 새로운 쓰임을 부여했다는 점에서 “디자인 행위”를 보여준다고, 수석 큐레이터 파올라 안토넬리는 설명합니다.

2010-10-27 | 신경과학으로 바라본 갭 로고 논쟁

2010년 갭이 새로운 로고를 공개하자, 반응은 뜨거웠습니다. 문제는 그것이 좋은 쪽이 아니었다는 점이었죠. 도대체 새 로고는 왜 그토록 부정적인 반응을 불러 일으켰던 것일까요. 그에 관한 신경과학적 분석까지 등장했으니, ‘쇼핑하는 뇌’에 집중한다는 마케팅 회사 뉴로포커스도 갭 로고 사태에 말을 얹었습니다.

2006-09-13 | 브라질의 이색 공중전화 부스

공중전화 부스 앞으로 차례를 기다리며 사람들이 줄지어 서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누군가에게는 먼 기억의 풍경이고 누군가에게는 한 번도 보지 못한 풍경이겠지요. 2006년 오늘, 디자인플럭스는 브라질의 별난 공중전화 부스들을 소개했습니다. 앵무새, 과일을 닮은 원색의 부스부터 현대적인 파이버글래스 소재의 부스까지, 브라질의 사진 제작 회사 로스트 아트가 모은 이색 전화부스들을 만나봅니다.

마틴 루터 킹 추념 공예 프로젝트

미국의 1월 셋째주 월요일은 흑인 해방운동 지도자인 마틴 루터 킹 (Martin Luther King, Jr....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