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7-18 | 뉴 디자이너스 2007

Editor’s Comment

2007년 오늘은 영국 ‘뉴 디자이너스’ 전시에서 주목받은 두 개의 전시작을 소개했습니다. 1985년 시작된 뉴 디자이너스는 이제 졸업을 앞둔 혹은 디자이너로서의 첫 해를 보낸 젊은 디자이너들의 작업을 한자리에서 선보이는 행사입니다. 베선 그레이, 제이 오스거비, 리 브룸 같은 디자이너들도 뉴 디자이너였던 시절, 뉴 디자이너스 전시에 참여한 바 있죠. 올해의 행사는 바로 얼마 전인 7월 9일 막을 내렸습니다.

지금 런던에서는 뉴 디자이너스 2007 전시가 펼쳐지고 있다. 건축에서 애니메이션, 가구에서 패션, 그래픽에서 유리공예에 이르는 20여개 디자인 분과의 신인 디자이너들을 한 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행사다. 이 전시에서 특히 주목을 받는 두 개의 작품을 소개한다. 모두 기능에 대한 참신한 접근이 인상적인 작품들이다. 

‘탭 라이트(Tap Light)’

열쇠, 문 손잡이 등등 특별한 생각없이 사용해온 수많은 사물이 있다. 말하자면 특별히 사용법을 배우지 않아도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그러한 것들이다. 버킹엄셔 칠턴스 대학에서 가구 디자인 과정을 마친 캣 맥키(Cat Mackee)는 이 직관적인 요소를 디자인에 도입해 일종의 놀라움을 선사한다. ‘탭 라이트’는 외관상 그 자신의 기능에 대한 어떠한 단서도 제공하지 않는다. 그러나 사용자는 수도꼭지를 보는 순간 자연스레 이를 돌려보게 될 것이고, 그리하여 이 제품이 ‘조명’이라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직관이 인도하는 변형된 기능의 발견이야말로‘탭 라이트’가 제공하는 묘미다. 

‘도시 속의 전원(The Country in the City)’

골드스미스 대학을 졸업한 알렉스 브라운(Alex Brown)의 작품이다. 그는 내화유리에 전통 자수(embroidery) 기법을 결합했다. 작품명이 암시하듯, 이 작품은 도시 속에 전원의 미덕을 불어넣고자 한다. 도시와 전원은 현대 사회에서 더욱 이원적으로 경험된다. 일은 도시에서 하지만 집은 교외에 있다거나, 혹은 도시에 거주하면서 ‘여행’을 통해 전원 생활을 일시적으로 소비한다거나 하는 식으로 말이다. 심지어 전원, 시골 생활에 대한 향수어린 찬탄 역시 이러한 대립 속에서 더욱 힘을 얻는다. 어쩌면 알렉스 브라운의 작업 역시 이러한 맥락에 있는 수많은 작품 중 하나일 지도 모른다. “작품에 전원의 미덕을 취하는 것, 그리하여 디자인이 어떻게 도시 환경 속에 전원의 미덕을 북돋을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이 작품의 목표이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일상의 바이오필릭 디자인

지난 몇 년 사이 ‘바이오필릭 디자인(Biophilic Design)’ 이라는 용어는 디자인계에서 중요한 화두로 부상했다. 바이오필릭...

2010-06-07 | “BP에 BP다운 로고를”

2010년 4월 20일, 미국 멕시코만에서 BP의 석유 시추시설이 폭발했고, 이후 5개월 간 1억 7천만 갤런의 원유가 바다로 흘러들었습니다. “최악의 원유 유출 사고” 후, 그린피스는 BP에 BP다운 로고를 선사하자며 로고 리디자인 공모전을 전개했습니다. 초록빛 가득한 “로고의 이면”을 드러내기 위함이었지요. 참가자들이 새롭게 디자인한 로고들은 매끄럽지는 못할지라도 ‘석유를 넘어’와 같은 BP의 슬로건이 얼마나 위선적인지를 고발합니다.

2009-01-12 | 프로파간다 스타일로

『공산당 선언』의 마지막 구절이자 소비에트 공화국의 표어였던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를 21세기 미국의 백화점이 노골적으로 차용합니다. “만국의 소비자여 단결하라!” 그것도 소비에트의 시각적 선전 양식을 빌려서요. 프로파간다 스타일로 유명세를 얻은 셰퍼드 페어리가 디자인한 삭스 피프스 애비뉴의 뻔뻔한 광고를 다시 돌아봅니다.

2011-04-08 | 다음 10년, 20인의 디자이너

정확히 10년 전 오늘, 디자인 비평가 앨리스 로스손과 MoMA의 디자인 큐레이터 파올라 안토넬리가 다음 10년의 디자인을 조형할 20인의 디자이너를 꼽았습니다. 정말로 10년이 지난 지금 그 명단을 되돌아봅니다. 참고로 앨리스 로스손과 파올라 안토넬리 두 사람은 ‘디자인 이머전시’라는 이름으로 더 나은 미래를 지어나갈 디자인을 인스타그램에서 함께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