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7-18 | 뉴 디자이너스 2007

Editor’s Comment

2007년 오늘은 영국 ‘뉴 디자이너스’ 전시에서 주목받은 두 개의 전시작을 소개했습니다. 1985년 시작된 뉴 디자이너스는 이제 졸업을 앞둔 혹은 디자이너로서의 첫 해를 보낸 젊은 디자이너들의 작업을 한자리에서 선보이는 행사입니다. 베선 그레이, 제이 오스거비, 리 브룸 같은 디자이너들도 뉴 디자이너였던 시절, 뉴 디자이너스 전시에 참여한 바 있죠. 올해의 행사는 바로 얼마 전인 7월 9일 막을 내렸습니다.

지금 런던에서는 뉴 디자이너스 2007 전시가 펼쳐지고 있다. 건축에서 애니메이션, 가구에서 패션, 그래픽에서 유리공예에 이르는 20여개 디자인 분과의 신인 디자이너들을 한 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행사다. 이 전시에서 특히 주목을 받는 두 개의 작품을 소개한다. 모두 기능에 대한 참신한 접근이 인상적인 작품들이다. 

‘탭 라이트(Tap Light)’

열쇠, 문 손잡이 등등 특별한 생각없이 사용해온 수많은 사물이 있다. 말하자면 특별히 사용법을 배우지 않아도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그러한 것들이다. 버킹엄셔 칠턴스 대학에서 가구 디자인 과정을 마친 캣 맥키(Cat Mackee)는 이 직관적인 요소를 디자인에 도입해 일종의 놀라움을 선사한다. ‘탭 라이트’는 외관상 그 자신의 기능에 대한 어떠한 단서도 제공하지 않는다. 그러나 사용자는 수도꼭지를 보는 순간 자연스레 이를 돌려보게 될 것이고, 그리하여 이 제품이 ‘조명’이라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직관이 인도하는 변형된 기능의 발견이야말로‘탭 라이트’가 제공하는 묘미다. 

‘도시 속의 전원(The Country in the City)’

골드스미스 대학을 졸업한 알렉스 브라운(Alex Brown)의 작품이다. 그는 내화유리에 전통 자수(embroidery) 기법을 결합했다. 작품명이 암시하듯, 이 작품은 도시 속에 전원의 미덕을 불어넣고자 한다. 도시와 전원은 현대 사회에서 더욱 이원적으로 경험된다. 일은 도시에서 하지만 집은 교외에 있다거나, 혹은 도시에 거주하면서 ‘여행’을 통해 전원 생활을 일시적으로 소비한다거나 하는 식으로 말이다. 심지어 전원, 시골 생활에 대한 향수어린 찬탄 역시 이러한 대립 속에서 더욱 힘을 얻는다. 어쩌면 알렉스 브라운의 작업 역시 이러한 맥락에 있는 수많은 작품 중 하나일 지도 모른다. “작품에 전원의 미덕을 취하는 것, 그리하여 디자인이 어떻게 도시 환경 속에 전원의 미덕을 북돋을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이 작품의 목표이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비트라 디자인 뮤지엄 ‘플라스틱: 세상을 다시 만들다’

비트라 디자인 뮤지엄에서 플라스틱의 역사와 미래를 탐구하는 전시 ‘플라스틱: 세상을 다시 만들다 (Plastics: Remaking...

2009-09-30 | 인더스트리얼 퍼실리티의 자명종 시계

자명종 시계의 중요한 기능은 역시나 알림이겠죠. 인더스트리얼 퍼실리티와 IDEA의 ‘벨’은 그래서 이름도 벨입니다. 기능은 여느 자명종 시계와 다르지 않습니다. 다만 종소리 만큼은 흥미롭습니다. ‘화재 알림 레드’부터 ‘자전거 경적 크롬’, ‘초인종 블랙’ 등 시계의 색상에 따라 종소리의 크기를 달리하였거든요. 

2010-05-24 | 런던의 새 버스

런던의 상징이었던 이층버스가 새롭게 태어났습니다. 2005년 12월 9일 루트마스터가 마지막으로 정규 노선 주행을 마친 지 약 5년 만에, ‘런던의 새로운 버스’의 모습이 공개되었습니다. 헤더윅 스튜디오가 디자인한 이 새로운 루트마스터는 2012년부터 런던의 거리를 달렸는데요. 하지만 생각보다 이른 2017년 런던시가 가격 문제를 이유로 뉴 루트마스터의 구입을 중단하였고, 그 자리는 헤더윅 스튜디오의 디자인에 바탕을 둔 또 다른 ‘새’ 루트마스터가 이어 받았습니다. 

2011-06-08 |  음반, 당신 뜻대로

2011년 6월 3일, 영국의 록 밴드 카이저 칩스의 새 음반이 그들의 홈페이지를 통해 발매되었습니다. 다만 음반에 어떤 노래가 수록될지 음반 표지는 어떤 모습일지 결정하는 주체는 카이저 칩스가 아니었습니다. 음반을 사러 온 이의 몫이었죠. 표지 디자인에서 선곡 그리고 수익의 배분까지, 정말로 ‘당신 뜻대로’의 앨범이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