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7-12 |〈뉴욕타임스〉의 비범한 간판

Editor’s Comment

2007년 <뉴욕타임스>는 근 100년 가까이 머물던 웨스트 43번가 229번지를 떠나 새 건물로 이사합니다. 렌초 피아노가 설계한 52층의 유리 타워로요. 이제부터 이곳이 <뉴욕 타임스>의 본사임을 알릴 대형 간판이 필요했습니다. 건물의 조형미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뉴욕의 까다로운 조닝 규정도 지킬 간판의 디자인 작업은 펜타그램의 몫이었습니다. ‘10,116 포인트 크기’의 로고가 어떻게 신축 타워의 파사드에 안착하였는지, 14년 전 오늘의 뉴스에서 만나봅니다. 

지난 주 뉴욕 8번가에 들어선 <뉴욕타임스>의 신축 본사 건물의 파사드 위로 대형 간판이 설치되었다. 이 신문사를 대표하는 프락투어(Fraktur) 서체로 쓰여진 이 간판의 디자인 및 설치 작업은 펜타그램이 맡아 진행했다. 사실 멀리서 보면 단순한 간판처럼 보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실제로 이는 천여 개 가량의 조각들을 조립해 만든 것이다. 

<뉴욕타임스>는 1913년 이후로 줄곧 사용해 오던 예전 건물을 떠나 올 봄 현재의 신축 타워로 자리를 옮겼다. 이 초고층 타워는 렌초 피아노의 디자인으로, 그는 체사르 필리, 프랭크 게리, 노먼 포스터와 같은 쟁쟁한 경쟁자들을 제치고 <뉴욕타임스> 본사 신축 설계 공모에서 우승했다. 

피아노의 제안은 빌딩의 바닥부터 끝까지 유리벽으로 이루어진 타워였다. 이 유리성을 감싼 제 2의 피부는 하얀색 도자 막대로, 알루미늄 프레임에 부착되어 건물에 은은한 안개가 더해진 듯한 인상을 준다. 또한 이 도자 막대들은 직사일광의 열기에서 유리벽을 보호하고, 입사광을 건물 내부 벽에 반사하는 실용적인 역할도 수행한다. 

펜타그램은 건물 파사드의 조형미를 훼손하지 않는 동시에, 타임스퀘어의 독특한 구역화zoning 요건(이 지역의 고유한 특징들을 보존하기 위한 요건으로, 특히 간판 및 사인물 설치에 있어 엄격한 규정이 내려져 있다)을 준수하는 간판을 디자인해야 했다. 펜타그램 측의 표현을 빌면 “어떻게 하면 15피트 이상의 신문사 로고를 미니멀리스트 건축가의 빌딩 위에 설치할 것인가”의 문제라 할 수 있다. 그것도 건물 안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전망권을 훼손하지 않는 한도 안에서 말이다. 

해답은 간판을 잘게 쪼개는 것이었다. <뉴욕타임스> 로고에 등장하는 각각의 글자들을 래스터화하여 rasterized, 수평의 띠로 나눈 것이다. 총959개로 나뉜 각각의 조각은 건물 파사드의 도자 막대에 꼭 맞게 끼워지도록 제작되었다. 건물의 독특한 파사드 구조를 이용한 영리한 디자인 덕분에, 건물 바깥에서는 로고가 명백히 잘 보이지만, 건물 안에서까지 로고의 뒷면을 보아야 하는 일은 없게 되었다. 

참고로 <뉴욕타임스>는 본사 건축의 과정 및 관련 내용을 담은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렌초 피아노의 디자인 개요는 물론이고, 사진가 애니 라이보비츠가 촬영한 공사 현장의 다큐멘터리 사진 등등을 감상할 수 있다.

http://www.newyorktimesbuilding.com/
https://www.pentagram.com/work/the-new-york-times-building/story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4-21 | 식탁에 오른 자연

밀라노 국제가구박람회의 ‘살로테 사텔리테’는 나이 제한이 있는 전시입니다. 35세 이하의 디자이너만 참여할 수 있지요. 1998년 첫 전시 이래 1만 명 이상의 젊은 디자이너가 참여했고, 이제는 익숙한 이름이 된 디자이너들도 여럿입니다. 2010년 살로네 사텔리테에서 단연 주목받은 신인은 나오 타무라입니다. ‘계절’이라는 이름의 식기 디자인으로 1등상을 수상한 그는 2010년 그때 밀라노 그곳이 커리어의 시작이었다고 단언합니다. 반갑게도 10년이 훌쩍 지난 지금도 그의 이름을 만날 수 있습니다. 작년 화제가 되었던 ‘도쿄 화장실’ 프로젝트에서처럼요.

2010-04-07 | 아이와 함께 가는 카페

어린이를 환영하지 않는다고, 그것이 이곳의 방침이라고 말하는 장소들이 있습니다. 어린이가 출입해서는 안될 장소는 물론 있고 또 있어야 하겠지만, 그곳이 식당이고 카페라면 그래도 괜찮을지요. 곳곳에 노키즈존이 자연스레 자리한 지금, 2010년의 ‘베이비 카페’ 소식을 되돌아봅니다. 물론 어린이와 보호자를 정확히 겨냥한 가게라는 점에서, 어린이도 환영한다는 예스키즈존과는 결이 다른, 그러니까 그냥 키즈존 개념에 가까운 카페입니다. 그리고 넨도는 이러한 기조를 아주 큰 것과 아주 작은 것으로 공간 디자인에 구현했지요.

2010-08-04 | 비행 도시

유서 깊은 도자 기업과 현대미술가가 만나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요. 님펜부르크 처음으로 협업을 청한 '미술가'는 카르슈텐 횔러입니다. '비행 도시'는 20세기 초 러시아의 구성주의 건축가이자 미술가인 게오르기 크루티코프가 구상한 동명의 도시 구상 그리고 1894년 찰스 베넘이 발명한 흥미로운 색상 착시 장난감을 원천으로 삼았습니다. 그리고 통상의 제품 형식과 '설치 작품'의 형식 두 가지로 결과물을 선보였지요. 오늘은 도자 기업과 미술가의 흔치 않은 만남을 다시 살펴봅니다.

2010-09-27 | 마크 뉴슨: 운송

신발, 자전거, 자동차, 요트, 제트기, 우주선. 이들의 공통점은 ‘탈것’이라는 점입니다. 신발도 어떤 의미에서는 가장 원시적인 탈것일 테니까요. 2010년 뉴욕 가고시안 갤러리에서 디자이너 마크 뉴슨의 전시회 ‘운송’이 열렸습니다. 그가 디자인하였던 ‘사람을 싣고 어딘가로 가는 것’들을 한자리에 모았습니다. 그곳이 길 위든 저 멀리 우주든 말이지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