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7-09 | [웹갤러리] SevenRoads.org

Editor’s Comment

디자인플럭스 초창기, 뉴스 속 하나의 코너로 마련되었던 [웹갤러리] 시리즈. 오늘은 그중 책에 남은 출판 라벨을 모은 온라인 아카이브인 세븐로즈의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멀리는 1841년 발행된 책에서부터 지역으로는 여기 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운영자들이 수집한 각종 라벨들을 만나볼 수 있는 곳입니다. 오늘자 뉴스로 이곳을 소개할 수 있었던 이유는, 여전히 운영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제 자리를 지키고 있다는 단순한 사실이 더욱 반가운 세븐로즈를 만나봅니다. 

인터넷 상에서 책을 검색한다고 생각해보자. 인터넷 서점들의 검색 카테고리가 그러하듯, 서명이나 저자명 혹은 출판사의 이름이 주요 경로가 될 것이다. 하지만 사실 한 권의 책이 세상에 나와 누군가의 손에 당도하기 까지를 돌이켜보면, 책의 여행은 작가의 손을 떠나 편집자를 거쳐, 제본소와 서적 도매상, 그리고 판매자에서 독자에 이르는 그 모든 과정을 뜻할 것이다. 

과거 출판사, 제본소, 서적 수입업자, 배급자, 서점은 책에 자신들의 얼굴을 작게나마 남겨놓곤 했다. 그것이 바로 출판 라벨이다. 오래된 책의 경우라면 더더욱, 책의 마지막 페이지 쯤에서 이들 라벨을 볼 수 있을 가능성이 높다. 세븐로즈(SevenRoads.org)는 바로 이들 라벨을 모아 만든 온라인 아카이브다. 

세븐로즈에서 우리는 낡은 서적들에서 발견한 출판 라벨 컬렉션을 만나볼 수 있다. 컬렉션은 1841년 발행된 서적에 붙어있던 한 제본소의 라벨로까지 거슬러 올라가는가 하면, 지역 서점의 상호명을 담은 스탬프형 인지까지 포함할 정도로 세심한 구성을 보여준다. 

이들 컬렉션은 개별 서적에서 찾아낸 실제 라벨은 물론, 도서관 등에서 발견한 라벨을 디지털 스캔하여 보정한 가상 라벨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미지들은 알파벳 순으로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이미지를 누르면 보다 큰 사이즈의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세븐로즈를 꾸려가는 사람들은 각각의 라벨에 담긴 특징이나, 발행 기관에 관한 연구도 진행중이라 한다. 조만간 그와 관련한 이야기들을 소개할 예정이라 하니 컬렉션의 두께도 한층 더해질 것이다. 

사이트의 이름은 샌프란시스코의 한 서점에서 빌려온 것이라 한다. 세븐로즈의 주인장 그렉 킨덜(Greg Kindall)이 대학 시절 즐겨찾던 서점의 이름으로, ‘7개의 길’은 중세시대 문예학을 구성했던 7개의 분과—트리비움(trivium)과 쿼드리비움(quadrivium)—를 이르는 말이다. 책을 향한 애정을 나누기에 적당한 이름이 아닐까 한다. 

http://sevenroads.org/Bookish.html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1-25 | MoMA, 디지털 서체 23종 소장

2011년 벽두, 디지털 서체가 대거 뉴욕 현대미술관(MoMA)의 소장품 대열에 합류했습니다. 이전까지만 해도 헬베티카가 MoMA가 소장한 유일한 디지털 서체였지만, 2011년 1월 24일을 기점으로, 23종의 서체들이 이에 합류했죠. 그중에서도 한때 막강한 듀오였으나 껄끄럽게 결별한 조너선 헤플러와 토바이어스 프레르-존스를 비롯해, 매튜 카터의 서체들이 목록의 상당 부분을 차지합니다. 

2011-03-21 | 구겐하임 아부다비 보이콧

건축 소식은 보통 설계 단계나 완성 단계를 다루곤 합니다. 전자의 경우 누구의 설계인가에 방점을 두는 경우도 많습니다. ‘공모’가 필요한 규모의 설계라면 더욱 그렇죠. 그런데 어느 건물이 설계되어 완성되기까지, 그 사이에는 건설 과정이 존재합니다. 그런데 어떤 건물이 말 그대로 노동자의 피 땀 눈물, 심지어 목숨으로 세워진다면요? (...)

2008-09-24 | 나오토 후카사와의 ‘종이’ 제품들

일본의 전통 종이 화지에 신기술을 더해 태어난 새로운 종이가 디자이너 나오토 후카사와에게 재료로 주어졌습니다. 그리고 보통이라면 천이 사용될 만한 생활 용품들이 이 새 종이로 만들어졌지요. 바로 나오토 후카사와와 제지회사 오나오의 ‘시와’ 컬렉션입니다. 그렇게 탄생한 ‘시와’는 나오토 후카사와의 손길을 벗어난 지금에도 오나오의 제품 컬렉션으로서, 이제는 마스크로까지 제품군을 확장하며 여전히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2009-09-03 | 인타입스, 인테리어의 유형학

1997년 코넬 대학의 잰 제닝스 교수는 인테리어 디자인의 유형 분류 연구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시대, 양식, 문화권에 걸쳐 반복되어 등장하는 인테리어 디자인의 패턴들을 연구하고 분류하여 그것에 일정한 이름을 부여하는 작업이었지요. 가령 라운지 의자들이 서로 마주한 익숙한 배치(때로 커피 테이블이나 러그가 사이에 놓여 있기도 한)에는 ‘대면(Face to Face)’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2013년에는 두 명의 학부생이 만들어낸 ‘언룸(Unroom)’이라는 신조어가 인타입스에 추가되기도 했지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