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6-08 | 올리베티 프린터 컬렉션

Editor’s Comment

지난 4월 11일은 아드리아노 올리베티의 탄생 120주년이 되는 날이었습니다. 창업자인 아버지 카밀로 올리베티의 뒤를 이어 우리가 아는 ‘그 올리베티’를 만든 인물입니다. 디자인 평론가 앨리스 로스손은 그가 “현대 디자인만이 아니라 복지 자본주의의 기업 모델을 확립했다”고 말합니다. 전후 이탈리아 산업 디자인을 대표하는 이름이었던 올리베티는 현재 사뭇 다른 모습으로 텔레콤 이탈리아의 산하에 있습니다. 오늘의 소식은 2007년 과거의 영화를 재현하려는 듯 쟁쟁한 디자이너들과 함께 선보였던 올리베티의 프린터들 이야기입니다. 심지어 재스퍼 모리슨의 프린터는 그 이름마저 ‘리네아(Linea)’였지요. 

올리베티(Olivetti)가 프린터 신제품을 출시했다. 올리베티는 5월 31일과 6월 1일, 양일간 모나코에서 개최된 MEDPI 박람회에서‘심플 웨이(SIMPLE_WAY)’, ‘마이웨이(MY_WAY)’, ‘리네아(LINEA)’ 등 3개 제품군의 모습을 공개했다. 소형 오피스 및 홈 오피스 유저들을 겨냥한 다기능 프린터 제품으로, 재스퍼 모리슨, 알베르토 메다, 제임스 어바인, IDEO가 디자인을 맡았다. 

리네아(LINEA) by 재스퍼 모리슨

프린트, 복사, 스캔, 팩스 기능을 한데 갖춘 4 in 1 모델이다. 이더넷이나 와이파이 무선 연결 방식을 통해, 사무실 네트워크 환경에 손쉽게 통합된다. 하이테크 카트리지 기술과 잉크 노즐 수 확대로, 인쇄 속도는 물론 인쇄물의 화질과 선명도를 향상시켰다. 

심플 웨이(SIMPLE_WAY) by 제임스 어바인, 알베르토 메다

프린트, 복사, 스캔 기능을 갖춘 소형 프린터 제품이다. ‘심플 웨이 포토’의 경우, 사진 인화 기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메모리 카드 리더기와2.4인치 LCD 디스플레이가 장착되어 있으며, 픽브릿지(pictbridge) 기능으로 무선 연결도 가능하다. ‘매직 버튼’으로 이미지 화질을 자동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 역시 장점이다. 

마이 웨이(MY_WAY) by IDEO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으로 유명한 IDEO가 디자인한 ‘마이 웨이’는 ‘휴대용’ 포토 프린터 제품이다. 자동차에 있는 담배 라이터 전원에 연결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 디지털 카메라의 연결 역시 유무선 방식 모두를 지원하는 만큼 한층 간편하다. ‘심플 웨이 포토’와 마찬가지로 컬러 LCD 디스플레이 및 매직 버튼 기능을 갖추고 있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8-13 | 알루미늄 아이맥

2007년은 아이맥이 처음으로 알루미늄 몸체를 갖게 된 해입니다. 형태 면에서 G5부터 이어져 온 모니터 형태의 일체형 디자인을 이어가되, 재질 면에서는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과 완전히 단절하고 알루미늄으로 넘어왔습니다. 올해 애플 자체 프로세서인 애플 실리콘을 탑재한 새 아이맥이 등장하기 전까지, 은색 알루미늄 바디와 검은색 배젤 그리고 전면 하단 로고가 아이맥 하면 떠오르는 모습이었습니다. 아직은 기존의 인텔 아이맥과 색색의 실리콘 아이맥이 공존하고 있지만, 머지 않아 과거의 것이 될 ‘그’ 아이맥의 시작으로 돌아가봅니다.

2007-11-09 | MIT, 프랭크 게리 고소

프랭크 게리가 설계한 MIT의 ‘레이 & 마리아 스테이터 센터’는 놀라운 형태와 구성으로 화제를 모았습니다. 하지만 개관 직후부터 건물은 이런저런 하자에 시달렸습니다. 아고라를 구현하였다는 원형 극장 석조부에 금이 가고 하수가 역류하는가 하면, 이곳저곳에서 누수로 곰팡이가 피었다고요. 장관을 이룬 다각의 벽들은 겨울이면 얼음과 눈이 흘러내리는 슬로프가 되었습니다. 결국 MIT는 설계를 맡은 프랭크 게리 & 어소시에이츠와 건설을 맡은 비컨 스칸스카 등에 소송을 걸었습니다.(...)

2006-09-19 | 앨 고어의 기후위기 관련 연설

2006년 전 미국 부통령 앨 고어는 뉴욕대에서 한 연설에서 ‘2030 챌린지’를 언급했습니다. 2030년까지 모든 신축 건물에서 탄소중립을 이룰 것을 목표로 하자는 기획이었죠. 그때만 해도 목표는 2030년이었습니다. 16년이 지나는 동안 기후는 위기 상황에 가까워졌지만, 민관이 말하는 목표의 시한은 오히려 2050년으로 더 미뤄지고 말았습니다. 

눈에는 눈, 이에는 이, 칼에는?: 2021 영국 다이슨 어워드

응급 처치용 의료기기 ‘리액트(REACT)’를 디자인한 조셉 벤틀리(Joseph Bentley)가 ‘2021 영국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의 내셔널...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