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6-07 | 2012 런던 올림픽 로고 공개

Editor’s Comment

2012 올림픽을 5년 앞둔 2007년, 런던 올림픽의 로고가 공개되었습니다. 울프 올린스가 디자인한 이 로고는 영국 하면 떠오르는 어떤 상징과도 결별한 채, 2012라는 숫자를 도형 삼아 뉴 레이브 스타일을 보여줍니다. 반응은 차가웠습니다. 게다가 로고의 홍보 영상이 감광성 간질을 유발하는 사태도 벌어졌죠. 하지만 로고는 꿋꿋이 버텨, 5년 뒤 올림픽 현장을 장식했습니다. 

런던 올림픽 위원회가 2012년 공식 로고 디자인을 공개했다. 울프 올린스(Wolff Olins)가 디자인을 맡은 이 로고는 2012라는 숫자를 기둥처럼 이용한 것이 특징이다. 각각의 숫자-기둥은 접속, 참여, 자극, 고취의 정신을 상징한다. 런던 올림픽 위원회는 “만인의 게임”을 브랜드 비전으로 삼았다. 그러나 과연 이 로고가 그러한 정신을 적절히 ‘표현’해내고 있는가에 관해 벌써부터 찬반양론이 시작되었다. 

이 로고의 가장 큰 미덕이라면, 그 대담함에 있다. 과거의 올림픽 로고 디자인과는 거의 단절에 가까운 독창성을 보여준다. 게다가 흔히 영국하면 떠올리게 되는 그 어떤 스테레오타입(빅벤, 왕관, 유니언 잭 등등)도 배제했다. 또한 디자인 자체가 매우 간결하기 때문에, 출판이나 방송, 웹, 휴대폰 등 광범위한 미디어 상의 배포가 유리하다는 것도 장점으로 꼽을 수 있다.

그러나 한편 이 대담한 로고 디자인이 그 시도에 걸맞는 미학성을 획득하지 못했다는 지적도 터져나오고 있다. 가독성의 문제도 있다. 로고의 기둥들이 2012의 표현이라는 사실을 알아채는데 대개 몇 초의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다. 또한 뉴 레이브(New Rave) 스타일의 로고 디자인 역시 문제로 제기된다. 이 스타일이 분명 2007년 오늘의 트렌드임에는 분명하지만, 과연 5년 뒤에도 그러할 것인가?

모두가 인정하는 바, 이 로고는 참으로 대담하다. 과연 그것이 대담함 그 이상인지에 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말이다. 

http://www.london2012.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5-20 | 바바라 크루거의 런던 지하철 노선도

2010년 5월 21일 이후 런던의 지하철역에서 포켓형 노선도를 집어들었다면, 표지에서 어딘가 이상한 점이 눈에 띄었을 것입니다. 노선도의 모습은 그대로인데, 역의 이름이 다릅니다. 가령 피카딜리 서커스 역은 ‘역설’, 웨스트민스터 역은 ‘이성’, 러셀 스퀘어 역은 ‘의심’, 템플 역은 ‘웃음’이 되었습니다. 바바라 크루거는 런던 도심의 지하철역에 어떤 상태, 개념, 감정의 단어를 붙였고, 그렇게 바뀐 노선도는 마음의 여정을 그린 마인드맵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

2009-02-04 | 올린의 새 얼굴, 새 웹사이트

세계적인 조경건축 디자인 회사 올린이 2009년 새로운 아이덴티티를 도입하며 그에 걸맞게 웹사이트도 새단장합니다. 리뉴얼을 맡은 펜타그램의 애벗 밀러는 간결함에 집중합니다. 그리고 이는 올린의 O를 강조한 디자인으로 드러나죠. O자에 담긴 두 개의 원에 집중한 단순한 디자인이지만, 다양한 색상과 유연한 로고 구성으로 지루함을 피했다는 설명입니다.

해양행 플라스틱으로 만든 에어론 체어

2021년 9월 1일, 허먼 밀러(Herman miller)에서는 앞으로 모든 에어론 체어(Aeron Chair)에 해양행 플라스틱을 포함하여...

2007-12-20 | 호텔 클라스카 새단장

도쿄의 부티크 호텔하면 떠오르던 이름, 호텔 클라스카가 2007년 새단장을 하였습니다. 2003년 문을 연 지 4년 만이니, 꽤 이른 리뉴얼이었지요. 2007년 오늘 디자인플럭스는 ‘뉴 재패니즈’ 스타일로 손님을 맞은 클라스카 객실의 모습을 소개했습니다. 아쉽게도 호텔 클라스카는 2020년 12월 20일 문을 닫았습니다만, 클라스카는 라이프스타일 기업으로서 갤러리 겸 숍, 의류 브랜드, 웹 매거진 등을 운영해오고 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