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5-25 | 디자인 마이애미/, 프론트를 선택하다

Editor’s Comment

2007년 디자인 마이애미/가 선정한 ‘미래의 디자이너’는 바로 스웨덴의 프론트입니다. 2003년 소피아 라게르크비스트[i], 샤를로트 폰데 란켄, 안나 린드그렌, 카티야 세브스트룀이 설립한 이 디자인 스튜디오는 때로는 동물의 힘을 때로는 컴퓨터의 힘을 빌어 환상과도 같은 디자인을 선보이며 놀라움을 선사했습니다. 돌이켜보아도 2007년 ‘미래의 디자이너’에 과연 다른 선택지가 있었을까 싶을 정도입니다. 현재는 안나 린드그렌과 소피아 라게르크비스트, 두 사람이 프론트로서 활동하고 있으며, 올해 모로소를 통해 ‘자연의 디자인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스웨덴의 여성 디자인 팀 프론트(FRONT)가 2007년 디자인 마이애미/ 선정 ‘미래의 디자이너 상(Designer of the Future Award)’을 수상했다. 디자인 마이애미/는 그간 기술적 혁신, 새로운 오브제 유형의 창출, 디자인 프로세스에 대한 창조적인 접근, 새로운 디자인 철학 등, 디자인에 대한 이해의 폭을 한층 넓히는 데 기여한 디자이너들에 주목해왔다. 또한 디자인 마이애미/는 아트 바젤과 연합, 두 개의 도시를 거점으로 디자인-아트 시장을 주도해 온 영향력 있는 행사이기도 하다. 

올해의 수상자 프론트는 최초의 콘셉트 단계에서 최종 제품 단계에 이르기까지, 그 모든 과정에서 디자인의 전통적인 관습에 도전한다. 2003년 소피아 라게르크비스트(Sofia Lagerkvist), 샤를로트 폰데 란켄(Charlotte von der Lancken), 안나 린드그렌(Anna Lindgren), 카티야 세브스트룀(Katja Savstrom)등 4인이 결성한 이 비범한 디자인 팀은, 각자의 개성을 아우르는 협업 과정을 통해 특별한 상상을 디자인 세계에 실현해왔다. 그들의 작품은 유희로 가득하면서도 지적인 사고를 일깨운다.

다음 달 바젤에서 개최되는 디자인 마이애미/ 바젤의 메인 테마는 퍼포먼스와 프로세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프론트의 ‘미래의 디자이너 상’ 수상 소식은 수긍할 만한 여지가 충분하다. 가령 2006년 가구 디자인계를 깜짝 놀라게 한 ‘스케치’ 시리즈는, 디지털 모션 캡처 기술에 RP 공정을 결합하여 ‘퍼포먼스’로서의 디자인을 유감없이 선보이지 않았던가. 비트라 디자인 뮤지엄의 디렉터 알렉잔더 폰 페헤사크(Alexander von Vegesack)는 프론트의 작업에 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프론트의 작품에는 자연에서 얻은 영감과 강력한 판타지가 공존한다. 또한 그들이 최신 기술을 사용하는 방식 안에는 미래 디자인을 예견하는 잠재력이 깃들어 있다. 그들은 디자인을 통해 신선하면서도 흥미진진한 일상 세계의 풍경을 제시한다.”

‘체인징 컵보드(Changing Cupboard)’
‘그림자 램프(Shadow Lamp)’

프론트는 다음 달 12일 개막하는 디자인 마이애미/ 바젤에 참석하여 서랍장, 의자, 램프 등의 신작 컬렉션을 공개하고, 15일에는 리 에델코르트가 진행하는 인터뷰 형식의 대담 행사도 가질 예정이다. 디자인 마이애미/ 선정 미래의 디자이너 시상식은 12월 마이애미에서 개최된다.

ⓒ designflux.co.kr


[i] 표기 정정: 라예르크비스트 -> 라게르크비스트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12-22 | 디지털 매거진 콘셉트, ‘맥+’

태블릿이라는 제품 카테고리가 시장에 안착하면서, 책이 그러했듯 잡지도 디지털 기기 속으로 진입했습니다. 이 시기, 보니에르와 버그는 디지털 매거진의 읽기 경험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바탕으로 한 가지 가능태를 ‘맥+’이라는 이름의 콘셉트를 통해 보여주었습니다. 종이를 벗어난 잡지를 위한 그들의 제안을 다시 만나봅니다.

2006-08-16 | 헬베티카 50주년 기념 다큐멘터리

2006년 8월, 게리 허스트윗은 이후 ‘디자인 3부작’의 시작이 될 다큐멘터리의 후반 작업에 한창이었습니다. 다가오는 2007년 ‘헬베티카’의 탄생 50주년을 맞아, 그는 어떻게 이 하나의 서체가 전 세계 생활 풍경의 일부가 되었는지를, 세계 곳곳에 거주하는 헬베티카의 모습과 디자이너들의 인터뷰를 통해 담아냅니다. <헬베티카>는 2009년 디자인플럭스와 한국디자인문화재단이 연 작은 영화제의 상영작이기도 했는데요. 신작과 함께 게리 허스트윗 감독이 한국을 찾아, <헬베티카>와 <오브젝티파이드> 두 편의 작품으로 극장에서 관객과 만났습니다.

친환경/지속가능한 디자인 연구물은 어디에?

‘친환경’, ‘지속가능성’은 이제 디자인에서 고려해야할 사항 중에 하나가 아니라 디자인의 기본 조건이 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중요한연구의 주제이긴 하지만 대단히 많은 분야들과 연결되어 있어서 별도의 전문 분야로 다루기보다 각 학계에서 학문적 특성에 맞추어 다루는 토픽 중의 하나가 되었다.

2010-10-01 | 미래의 책을 향한 세 가지 상상

IDEO가 상상한 디지털 시대의 책은 어떠한 모습일까요. 웹과 결합하거나 혹은 소셜 네트워크와 결합하거나 아니면 게임과 뒤섞이거나. 듀웨인 브레이와 로버트 렌이 구상한 세 가지 미래의 책 콘셉트를 만나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