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4-30 | 벌들의 도움으로

Editor’s Comment

쾌속조형의 반대에 서 있는 완속조형의 사례. 혹은 동물의 힘을 빌린 디자인. 토마시 가브즈딜의 ‘벌들의 도움으로’는 일주일 동안 4만 마리의 꿀벌이 빚어낸 꽃병입니다. 하이테크와 대비되는 로우테크, 인간의 공예가 아닌 동물의 공예. 또 꽃을 매개로 한다는 점에서 벌과 꽃병은 멋진 한 쌍이기도 하지요.

일반적으로 RP(Rapid Prototype) 기술은 시제품이나 모델을 제작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이지만, 특정한 경우 RP로 곧 완제품생산 단계를 대체하기도 한다. Material.MGX나 FRONT의 가구, 전등 등이 그러한 사례로 손꼽힌다. 이들은 복잡한 구조와 디자인조차 단 번에 소화하는 3차원 프린팅 기술의 힘을 극대화한 제품을 통해, 디자인 프로세스의 하이테크적 국면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토마시 가브즈딜(Thomáš Gabzdil)의 작업은 그와는 정반대 지점을 향해 있다. 그는 RP와는 정반대의 개념, 즉 ‘SP(Slow Prototype)’이라 부를 만한 디자인 과정을 통해 흥미로운 제품을 창조해냈다. 앞서 2007 밀라노 가구박람회 리뷰에서 잠시 소개했던 바, 그의 꽃병 ‘벌들의 도움으로(With a little help of the Bees)’는 4만여 마리의 벌들이 일주일에 걸쳐 부지런히 만들어낸 작품이다. 

토마시 가브즈딜은 왁스 시트로 꽃병의 기본 형상을 잡고, 벌들이 그 모양대로 집을 짓도록 모니터링했다. 벌들은 꿀과 밀랍으로 시트의 안쪽과 바깥쪽 모두에서 집을 지어가며 꽃병의 모양을 잡아나갔다. 디자이너가 한 일은 벌들이 본래의 디자인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방향을 잡아주는 것, 그리고 언제 이 꽃병을 벌들로부터 떼어낼 것인지 결정하는 일 정도였다. 소재의 생산과 제품의 생산 모두 벌이 도맡은 셈이다. 그렇게 하나의 꽃병이 완성되기까지 걸린 시간은 정확히 일주일이었다.

‘벌들의 도움으로’는 디자이너가 통제할 수 없는, 예측 불가능한 요소를 디자인 안에 도입했다는 점에서도 주목할 만 하다. 가령 꽃병의 어느 부분이 좀 튀어나왔다고 해서 벌들에게 “여기를 좀 다듬어 달라”고 주문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디자인 과정에 동물을 참여시킨 시도는 예전에도 있었다 – 가령 FRONT의 ‘쥐 벽지(Rat Wallpaper)’는 쥐들이 벽지를 뜯어먹은 자욱을 ‘문양’화 한 제품이다. 

기술과 트렌드가 속도의 경주를 펼치는 오늘날의 디자인 씬을 돌이켜 볼 때, 토마시 가브즈딜은 한 걸음 뒤로 물러나 ‘느림’을 강조하는 선택을 했다. 그렇다고 인간의 ‘손’을 강조하는 전통적 공예 단계로 회귀한 것도 아니다. 사실 제품의 조형을 값비싼 3차원 프린터가 담당하건, 4만 마리의 벌이 담당하건 간에 조형의 수고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점에서는 서로 동일하다. 다만 토마시 가브즈딜은 ‘슬로우 프로토타이핑’을 통해 속도와 매끈함에 대한 강박에서 벗어났을 뿐이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6-16 | 2010 DMY 어워즈 수상자

DMY 베를린 국제디자인페스티벌의 시상 프로그램인 ‘DMY 어워즈’의 2010년 수상작을 돌아봅니다. 투명 테이프를 거미줄 삼아 지은 ‘건축물’을 선보인 포 유즈/누멘과 증강현실의 가능성을 보여준 전시를 선보인 로잔공과대학과 로잔예술디자인대학의 공동 연구소 EPFL+ECAL랩, 그리고 자신을 비추는 테이블 조명 시리즈를 선보인 다프나 이삭스와 라우렌스 만더르스가 그 주인공이었습니다.

2010-01-07 | OMA, 코펜하겐 기후변화회의의 실패를 말하다

1995년 처음 열린 국제연합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COP가 벌써 26차를 지났습니다. 지난 11월 글래스고에서 개최된 COP26은 그러나 기대 이하에 그쳤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석탄발전의 단계적 폐지라는 목표는 감축으로 완화되었고, 결국 탈석탄 성명에는 미국, 인도, 중국, 호주, 일본 등 석탄 의존도가 높은 국가들의 서명이 빠졌습니다. 문제는 초국가적인데 해결의 단위는 국가라는 점이 문제일까요? 2009년 COP15의 ‘실패’에 관해 OMA의 레이니어르 더 흐라프는 그렇다고 보았습니다. 

식사  ‘매너’로 펼치는 퍼포먼스

지난 3월 17일, 덴마크 패션 브랜드 슬로트 로우싱(Sloth Rousing)의 의상 컬렉션이자 설치 작업인 ‘매너(Manner)’가...

사물이 말을 한다면 #1 나의 짧은 생애

나는, 안락의자다 이렇게 평화로운 시간을 꿈꿨던 것일까? 하얀 쉬폰 커튼으로 햇살이 스며들고 연둣빛 잎사귀가 한껏...

Designflux 2.0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