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4-12 | 독일, 복제품 전시관 오픈

Editor’s Comment

표절, 도용, 복제라는 오랜 문제에 대해 아예 그런 제품을 시상하고 전시하는 방식으로 불명예를 안기는 단체가 있습니다. 2007년 오늘자 뉴스는 독일의 ‘표절 방지를 위한 행동’이 연 표절 제품 전시관 소식입니다.

혁신적 아이디어 뒤에는 반드시 모방과 짝퉁이 뒤따른다. 정보 접근이 용이해지면서, 오랜 시간과 노고를 들여 이룩한 혁신적 아이디어가 표절에 의해 물거품이 되고 마는 일이 더욱 빈번해지고 있다. 특히 디자이너의 아이디어가 발명가의 그것처럼 중요한 산업 디자인 분야에서 저작권 침해는 치명적인 결과를 낳기도 한다.

지난 4월 1일 독일의 솔리겐 지역(쾰른 인근)에, 오리지널 창작물의 권익을 보호하고 모방을 근절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복제품 전시관(Museum Plagiarius)’이 문을 열었다. 전시관에는 총 300점의 오리지널 제품과 복제품이 나란히 전시되어 있다. 

프랑스 파리에도 이와 유사한 ‘표절 박물관(Musee de la Contrefacon)’이 있다. 하지만 파리 박물관의 경우 루이뷔통, 리바이스, 구찌 등 거대 브랜드의 복제품을 전시하는데 비해, 솔리겐의 복제품 전시관에서는 주로 중소기업의 제품과 그 복제품을 전시하면서, 자체적인 법적 보호 장치가 미약한 회사들의 피해 사실을 알리고, 이들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캠페인을 펼친다.

전시관의 큐레이터이자 ‘표절 방지를 위한 행동(Aktion Plagiarius)’ 단체의 운영위원인 크리스틴 라크루아(Christine Lacroix)는 디자인 회사를 대상으로, 저작권 보호를 위한 법률 자문과 표절 방지 교육 워크숍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오리지널: ‘소피 저그(Sophie Jug)’, 알피 베르트하임(Alfi, Wertheim), 독일
복제품: 허 샨 지아 후이(He Shan Jia Hui) 진공플라스크 용기, 중국, 광저우
-2007년 표절상 1등 수상

박물관의 공동설립자인 리도 뷔세(Rido Busse)는 해마다 최고의 표절자를 선정하여 ‘표절상(Plagiarius award)’을 수여하는 흥미로운 이벤트를 펼치고 있다. 이 아이디어는 1977년 자신이 디자인 한 제품이 일본 회사에 의해 복제되는 것을 경험하면서, 공개적으로 표절자에게 망신을 줄 수 있는 방법을 궁리한 끝에 나온 아이디어였다. 더욱 흥미로운 사실은, 실제 하노버 박람회에서 1명의 기자를 앞에 두고 표절자에게 직접 트로피(금색 코를 가진 검정색 난장이 모양)를 수여했다는 것이다. 이를 계기로, 창작물을 복제 당한 회사들이 하나 둘 모여들기 시작하면서, 이듬해에는 더 많은 기자단이 모인 자리에서 성대한(?) 표절상 시상식을 거행하게 되었다.

오리지널: ‘몰스틴 노트북’, 몰스킨, 이탈리아, 밀라노
복제품: 아르스 노바(Ars Nova), 독일, 바텐 
-2007년 표절상 2등 수상
오리지널: ‘러브시트’, 데돈(Dedon), 독일(뤼네부르크)
복제품: 안틱 하일리겐슈테텐(Antik Heiligenstedten), 독일(헬링엔슈테텐)
-2007년 주목할 만한 표절

올해부터는 공식 심사위원단을 구성하여 최고 표절 디자인을 선정, 매년 2월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리는 무역박람회에서 시상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아시아의 회사들이 이 불명예스러운 수상자 리스트에 자주 오르고 있지만, 이에 못지 않게 많은 유럽 회사들도 대열에 끼어 있다.

‘표절 방지를 위한 행동’이나 복제품 전시만으로 복제품 생산을 근절시킬 수는 없지만, 꾸준한 교육과 캠페인 등이 장기적으로는 저작물을 보호할 수 있는 울타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2007년 표절상 심사위원단
2003년 표절상 2등 수상작 ‘하트 바스켓(Heart Basket)’, 서울

머그컵과 미니 스낵 접시를 결합한, 칼라 투어링엔 도자기회사(KAHLA/THUERINGEN porcelain GmbH)의 오리지널 제품 복제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6-29 | 바젤 시민들, 신슈타트카지노에 반대표를 던지다

바젤시의 슈타트카지노는 이름은 카지노이지만 실제로는 콘서트홀입니다. 본래의 건물은 1824년에 지어졌지만, 현재의 건물은 다시 지어져 1939년에 문을 열었습니다. 이 건물을 새롭게 단장하기 위해 2003년 바젤시는 건축 설계안을 공모했고, 자하 하디드의 설계가 당선되었지요. 그의 설계는 마치 이 유서 깊은 문화 지구의 원 콘서트홀 위로 이질적인 매스가 착륙해 감싸 안은 듯한 모습이었습니다. 그래서였을까요. 2007년 바젤 지역 주민들은 이 ‘신슈타트카지노’ 사업에 반대표를 던졌고, 결국 사업은 무산되었습니다.(...)

2008-01-03 | 안녕히, 에토레 소트사스

2008년의 첫 소식은 애석하게도 부고였습니다. 2007년의 마지막 날, 디자이너 에토레 소트사스가 90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레스가 모어였던 20세기의 디자인 흐름을, 레스는 레스일 뿐이라며 정면으로 거슬러 또 다른 20세기의 디자인을 만들어냈던, 그의 타계 소식이 오늘의 옛 뉴스입니다.

2008-06-25 | 앱솔루트 레인보우

성 소수자의 인권을 기념하는 프라이드 먼스 6월을 맞아, 2008년 앱솔루트의 병도 무지개 깃발을 둘렀습니다. ‘앱솔루트 컬러스’는 무지개 깃발 탄생 30주년을 기념하여, 앱솔루트가 바로 그 깃발의 디자이너 길버트 베이커와 함께 협업하여 선보인 첫 번째 프라이드 보틀입니다. 1978년 베이커가 디자인한 오리지널 여섯 색상 무지개는 성소수자 인권 운동의 상징이 되어 세계 곳곳에서 휘날렸고, 보다 다양한 정체성을 포용하기 위한 변주도 수없이 이뤄져, 베이커 본인도 2017년에는 9가지 색상의 무지개 깃발을 디자인했지요. 성소수자 자긍심의 상징. 무지개 깃발은 참고로 2015년 뉴욕 MoMA의 디자인 소장품 목록에 올랐습니다.

런던 지하 대피소 경험: ‘비밀 대피소 챌린지’

런던 교통 박물관(London Transport Museum, 이하 LTM)과 게임 개발사 뮤세미오(Musemio)가 어린이를 2차 세계대전의 지하...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