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4-07 | 책 속에서 태어나는 빛의 기둥

Editor’s Comment

책의 외양을 취한 조명 혹은 빛을 담은 책. 디자이너 타케시 이시구로의 ‘빛의 서적’입니다. 이 팝업북 혹은 조명은 ‘양심적인 디자인(Design with Conscience)’으로 유명한 아르테크니카를 통해 출시되었습니다. 2008년 아르테크니카의 공동설립자이자 디렉터인 타미네 자반바크트를 만나 이야기를 나눌 기회가 있었습니다. 이 기회를 빌려 그와의 인터뷰도 함께 소개합니다.

전 IDEO의 디자이너로 활동했던 타케시 이시구로가 만든 팝업북 스타일의 탁상 램프이다. 이야기책을 펼치는 순간 눈 앞에 동화 속 풍경이 펼쳐지는 팝업북이야말로 상상의 세계를 깜짝 놀랄만한 현실로 만들어주는 꿈의 도구이다. 팝업북은 비단 어린이들만의 놀이기구가 아니다. 책 속 풍경을 이미 예측할 수 있는 어른이라 할지라도 펼침의 순간이 안겨주는 감동은 언제나 짜릿하다.

타케시 이시구로는 동화 속 꿈 안에 실제 불을 밝혔다. ‘빛의 서적(BookOfLights)’이라는 이름의 이 책을 펼치면 정교한 솜씨로 제작한 전등이 솟아 오르며 순식간에 테이블 조명으로 탄생한다. 책을 덮어 두었을 때는 패브릭으로 장정한 한 권의 책이었다가, 펼치는 순간 환한 LED 조명으로 변신하는 것이다. 마치 “…그리고 그들은 행복하게 살았다.”는 동화의 마지막 페이지처럼. 

빛의 서적

타케시 이시구로의 디자인은 한 마디로 섬세하고 선이 가는 ‘감성적’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다. IDEO를 떠나 일본으로 돌아온 후 이시구로는 줄곧 실험적 기법을 연구하며 개념적인 제품 디자인과 환상적인 공간 설치를 선보여오고 있다. RCA 졸업작품으로 선보인 그의 데뷔작 ‘소금과 후추(Salt and Pepper)’—쌀로 만든 속이 빈 국수를 반으로 구분하여, 한쪽에는 소금을, 다른 한쪽에는 후추를 담은 용기—는 자연 소재와 감성적 디자인을 추구하는 이시구로의 스타일을 잘 말해준다.

소금과 후추(Salt and Pepper)

타케시 이시구로의 ‘북오브라이츠’를 판매하고 있는 아르테크니카에는 이처럼 미적이고 감성적인 생활 소품 디자인들이 가득하다. 1989년 설립된 아르테크니카는 주로 환경 친화적이면서 혁신적인 소재의 특성을 잘 살린, 표현적인 인테리어 소품 디자인만을 선별, 제작, 판매해오고 있다. 


두 사람이 나란히 앉아 서로를 만지거나 가까이 다가갈수록 소리가 나는 소파, 실제 나뭇잎으로 만든 나뭇잎 모양의 용기 디자인 등은 매우 이상적이다.

나뭇잎으로 만든 나뭇잎 용기(Leaf plate – plate made from a real leaf)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12-07 | 생일 축하합니다, 고다르!

장-뤽 고다르 감독의 80번째 생일을 맞아, 스튜디오 카르발류 베르나우가 선보인 폰트의 이름은 ‘장-뤽’입니다. 고다르 영화 두 편의 타이틀 시퀀스에 등장하는 레터링을 참조하여 태어난 대문자 그로테스크 서체인데요. ‘장-뤽’ 서체와 함께 카르발류와 베르나우가 말하는 고다르 영화 속 레터링이 지닌 특징, 그 연원과 영향에 관한 생각 그리고 관련 자료들도 흥미롭습니다.

2010-05-31 | 팬톤 호텔

팬톤의 컬러칩은 팬톤의 주력 상품이기도 하지만, 자체로 팬톤을 상징하는 디자인 자산이기도 하죠. 컬러칩의 모양새는 팬톤과의 ‘협업’을 원하는 여러 브랜드의 제품에 널리 활용되고, 또 팬톤의 자체 라이프스타일 소품군의 기반이기도 합니다. 2010년 팬톤은 브뤼셀에 호텔을 열며, 소위 ‘팬톤 유니버스’를 소품에서 공간으로 확대했습니다. 다만 더 이상 팬톤 호텔을 방문할 수는 없으니, 팬톤이 떠나고 이미 다른 호텔이 운영 중입니다.

식사  ‘매너’로 펼치는 퍼포먼스

지난 3월 17일, 덴마크 패션 브랜드 슬로트 로우싱(Sloth Rousing)의 의상 컬렉션이자 설치 작업인 ‘매너(Manner)’가...

2011-04-21 | 바이오쿠튀르

배양액 속 박테리아가 섬유를 자아내고 그것들이 엉겨 막을 이룹니다. 그리고 이 미세 섬유질의 막이 모여 천이 되죠. 모두가 실험실에서 단 몇일 만에 이뤄지는 과정입니다. 수잔 리의 ‘바이오쿠튀르’는 막대한 인력과 자원과 환경 부담으로부터 자유로운 의류의 한 가지 미래를 앞당겨 보여준 프로젝트였습니다. 현재 그는 바이오패브리케이트(Biofabricate)의 대표로, 바이오원료 기술과 패션은 물론 건축 등 여러 분야의 디자인을 잇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