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4-07 | 책 속에서 태어나는 빛의 기둥

Editor’s Comment

책의 외양을 취한 조명 혹은 빛을 담은 책. 디자이너 타케시 이시구로의 ‘빛의 서적’입니다. 이 팝업북 혹은 조명은 ‘양심적인 디자인(Design with Conscience)’으로 유명한 아르테크니카를 통해 출시되었습니다. 2008년 아르테크니카의 공동설립자이자 디렉터인 타미네 자반바크트를 만나 이야기를 나눌 기회가 있었습니다. 이 기회를 빌려 그와의 인터뷰도 함께 소개합니다.

전 IDEO의 디자이너로 활동했던 타케시 이시구로가 만든 팝업북 스타일의 탁상 램프이다. 이야기책을 펼치는 순간 눈 앞에 동화 속 풍경이 펼쳐지는 팝업북이야말로 상상의 세계를 깜짝 놀랄만한 현실로 만들어주는 꿈의 도구이다. 팝업북은 비단 어린이들만의 놀이기구가 아니다. 책 속 풍경을 이미 예측할 수 있는 어른이라 할지라도 펼침의 순간이 안겨주는 감동은 언제나 짜릿하다.

타케시 이시구로는 동화 속 꿈 안에 실제 불을 밝혔다. ‘빛의 서적(BookOfLights)’이라는 이름의 이 책을 펼치면 정교한 솜씨로 제작한 전등이 솟아 오르며 순식간에 테이블 조명으로 탄생한다. 책을 덮어 두었을 때는 패브릭으로 장정한 한 권의 책이었다가, 펼치는 순간 환한 LED 조명으로 변신하는 것이다. 마치 “…그리고 그들은 행복하게 살았다.”는 동화의 마지막 페이지처럼. 

빛의 서적

타케시 이시구로의 디자인은 한 마디로 섬세하고 선이 가는 ‘감성적’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다. IDEO를 떠나 일본으로 돌아온 후 이시구로는 줄곧 실험적 기법을 연구하며 개념적인 제품 디자인과 환상적인 공간 설치를 선보여오고 있다. RCA 졸업작품으로 선보인 그의 데뷔작 ‘소금과 후추(Salt and Pepper)’—쌀로 만든 속이 빈 국수를 반으로 구분하여, 한쪽에는 소금을, 다른 한쪽에는 후추를 담은 용기—는 자연 소재와 감성적 디자인을 추구하는 이시구로의 스타일을 잘 말해준다.

소금과 후추(Salt and Pepper)

타케시 이시구로의 ‘북오브라이츠’를 판매하고 있는 아르테크니카에는 이처럼 미적이고 감성적인 생활 소품 디자인들이 가득하다. 1989년 설립된 아르테크니카는 주로 환경 친화적이면서 혁신적인 소재의 특성을 잘 살린, 표현적인 인테리어 소품 디자인만을 선별, 제작, 판매해오고 있다. 


두 사람이 나란히 앉아 서로를 만지거나 가까이 다가갈수록 소리가 나는 소파, 실제 나뭇잎으로 만든 나뭇잎 모양의 용기 디자인 등은 매우 이상적이다.

나뭇잎으로 만든 나뭇잎 용기(Leaf plate – plate made from a real leaf)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4-15 | 마르턴 바스의 ‘실시간’, 아이폰 속으로

2009년 마르턴 바스는 영화의 형식을 한 시계를 가지고 밀라노를 찾았습니다. 시간의 매체로 시간의 기계를 구현한 셈이었지요. ‘실시간’ 시리즈는 비록 외장 하드드라이브의 몸체를 가졌으되, 12시간 러닝타임의 영상으로 시간을 표현한 어엿한 시계 세 가지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듬해 ‘실시간’ 중 하나가 아이폰 앱 형태로 다시 찾아왔으니, 이름하여 ‘아날로그 디지털 시계’입니다.

2010-12-10 | 2010 터너상 시상식

수잔 필립스는 장소에서 출발해 그곳에 소리를 부여하여, 공간과 맥락과 사람 사이에 새로운 반향을 만들어내는 작업을 선보여왔습니다. 그리고 2010년 사운드 설치작가로서는 사상 처음으로 터너상을 수상했지요. 한편 오늘 뉴스의 제목이 터너상 ‘시상식’인 데에는 수상자 발표 외에도 또 다른 이유가 있었으니, 2010년 터너상 시상식장은 시위의 현장이기도 했기 때문입니다. 지난 10월 22일의 옛 뉴스에서 보았던 재정긴축의 여파에서 미술 부문도 예외가 아니었지요.

2006-09-06 | ‘평화와 화해의 전당’ 개관

2006년 9월 1일,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 ‘평화와 화해의 전당’이 문을 열었습니다. 이 건물은 거대한 피라미드의 형태를 한 이 건물은 종교와 종파 간의 갈등을 해소하고 상호 이해를 도모하는 국제 센터로서 계획되었습니다. 그리고 설계는 영국의 포스터+파트너스가 맡았죠. 

2006-10-13 | 부룰렉 형제의 부유하는 집

공교롭게도 디자인플럭스의 오늘자 뉴스들을 훑어보면 부룰렉 형제의 이름이 두 번 등장합니다. 오늘은 둘 중 2006년의 ‘부유하는 집’을 골랐습니다. 부룰렉 형제가 디자인한 작은 선상 가옥 겸 스튜디오가 과거 르누아르의 그림에 영감을 주었던 세느강변 풍경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