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4-04 | 디자인 뮤지엄 개관 25주년 기념전

Editor’s Comment

2007년은 런던의 디자인 뮤지엄 개관 25주년이 되는 해였습니다. 이를 기념하여 디자인 뮤지엄은 25인의 디자인계 인사들에게 지난 25년을 대표할 만한 디자인 제품을 꼽아달라고 요청했습니다. ‘25/25: 디자인의 25년을 기념하며’는 그렇게 선정된 25개의 제품들을 통해 디자인 뮤지엄의 25년과 디자인의 25년을 겹쳐 놓았습니다. 

올해로 디자인 뮤지엄이 개관 25주년을 맞이했다. 1981년 테렌스 콘란(Terrence Conran)은 현대 문화의 중심이 디자인임을 선언하며, 디자인 뮤지엄의 전신 ‘보일러하우스(The Boilerhouse)’를 설립했다. 비록 그 시작은 미약하여 V&A 지하층을 빌려 쓰는 신세였으나, 8년 뒤 템즈 강변의 창고 건물을 개조해 현재의 자리로 독립했고, 2007년 드디어 개관 25주년을 맞이하게 된 것이다. 디자인 뮤지엄은 디자인과 건축을 문화적 아젠다의 중심에 놓으며, 디자인의 모든 형식에서 발견할 수 있는 풍부한 창의성의 양상들을 제시하는 국제적인 공간으로 발돋움했다. 

디자인 뮤지엄이 25주년을 맞아 특별한 전시를 개최한다. ‘25/25 : 디자인의 25년을 기념하며(25/25: Celebrating 25 Years of Design)’는 25명의 디자이너 및 디자인계 인사들이 선정한 25개의 대표적인 디자인 작품을 전시한다. 1982년부터 2007년 사이에 디자인 되었거나 최초로 생산된 제품들 중, 지난 25년의 특징을 성공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최고의 작품들을 한 자리에 모았다. 

‘휘파람 주전자(Whistling Kettle), 알레시, 1983
디자이너: 리하르트 자퍼 
작품선정: 제임스 다이슨 
‘짐 네이처 텔레비전(Jim Nature Television), 1994
디자이너: 필립 스탁
작품선정: 콘스탄틴 그리치치 

1983년 생산된 알레시의 ‘휘파람 주전자(Whistling Kettle)’에서 2001년 등장한 조너선 아이브의 iPod에 이르기까지, 산업, 그래픽, 가구, 패션 등 디자인 각 분야를 대표할 만한 25개의 디자인이 선정되었다. 이번 전시작 선정에는 테렌스 콘란, 폴 스미스, 하이메 아욘, 디터 람스, 콘스탄틴 그리치치, 존 마에다 등, 명실상부한 지위의 디자이너 및 디자인계 인사들이 참여했으며, 이들은 각기 다른 분야 및 세대를 대표한다(그 중에서도 가장 ‘젊은’ 네덜란드의 디자이너 마르턴 바스는 디자인 뮤지엄이 개관한 당시 겨우 세 살이었다). 

‘에어 체어(Air Chair)’
디자이너: 재스퍼 모리슨 
작품선정: 디터 람스 
‘체어 원(Chair One)’, 2002
디자이너: 콘스탄틴 그리치치 
작품선정: 스테파노 지오반노니
‘프리플레이 스프링 모터 라디오(Freeplay spring motor radio), 1995 
발명자: 트레버 베일리스(Trevor Baylis), 디자이너: 앤디 데이비(Andy Davey)
작품선정: 질 힉스(Gill Hicks)
‘드라이 플랫웨어 커틀러리(Dry Flatware cutlery)’, 1982
디자이너 : 아킬레 카스틸리오니 
작품선정: 테렌스 콘란 

‘25/25 : 디자인의 25년을 기념하며’ 전은 지난 25년의 디자인 역사에 있어 주요한 순간들은 무엇이었는지, 탁월한 발전의 사례들을 개관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물론 우리 시대를 대표하는 디자이너와 디자인 비평가들의 생각을 들여다 볼 수 있다는 점에서도 흥미롭다. 이번 전시는 3월 29일부터 6월 22일까지 개최된다.

’25/25 – 디자인의 25년을 기념하며’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8-01-04 | 허구의 디자인에 주목하라

제품이 되기 위한 전 단계로서가 아니라, 어떤 이야기를 전면화한 가상 또는 허구의 디자인. 2008년, 코어77의 수석 에디터 앨런 초치노프는 생산가능성과 무관한 상상과 아이디어를 담은 디자인 혹은 사물의 개념에 집중하여 그 자체를 소비의 대상으로 담은 디자인을 모두 아울러 ‘프로토타이핑’이라 부르며, 그러한 허구의 디자인에 담긴 가능성을 이야기하였습니다. 

2007-11-12 | 우연일까 표절일까

“광고 속 우연의 일치를 좇는 사냥꾼.” 블로거 조 라 퐁프의 자기 소개입니다. 그는 1999년부터 우연인지 표절인지 유사한 광고 사례들을 소개해왔는데요. ‘오리지널’과 ‘레스 오리지널’이라는 이름으로 비슷한 광고를 나란히 올리고, 독자들은 우연일까 표절일까를 투표합니다. 참고로 2007년 오늘의 뉴스 속 광고들의 경우, 독자들도 표절 쪽에 손을 들었습니다. 

2011-10-28 | 미생물의 집

디자인 프로브는 필립스가 운영했던 미래 라이프스타일 연구 프로그램입니다. 이미 소개했던 2010년의 ‘메타모포시스’에 이어 2011년 필립스가 구상한 미래의 집은 미생물을 이용한 자급자족의 집입니다. ‘미생물의 집’이 그리는 아직 오지 않은 미래의 집에서 특히 눈에 띄는 것은 오래된 요소들입니다. 토기로 된 증발식 냉장고라던가 벌통 그리고 쪼그려 앉는 재래식 변기처럼요. 

2011-03-21 | 구겐하임 아부다비 보이콧

건축 소식은 보통 설계 단계나 완성 단계를 다루곤 합니다. 전자의 경우 누구의 설계인가에 방점을 두는 경우도 많습니다. ‘공모’가 필요한 규모의 설계라면 더욱 그렇죠. 그런데 어느 건물이 설계되어 완성되기까지, 그 사이에는 건설 과정이 존재합니다. 그런데 어떤 건물이 말 그대로 노동자의 피 땀 눈물, 심지어 목숨으로 세워진다면요? (...)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