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3-22 | 〈포브스〉 선정 산업디자인계 ‘취향생산자’ 10인

Editor’s Comment

“〈포브스〉지 선정”이라는 표현이 이번에는 정말입니다. 2007년 〈포브스〉는 산업디자인 분야에서 취향을 만들어내 선도하는 사람들 10인의 명단을 선정했는데요. 신진이라 할 만한 인물들과 이미 거물이라 할 인물들이 고루 섞인, 15년 전의 명단을 다시 만나봅니다. 

경제전문지 <포브스>가 산업디자인 분야의 ‘취향생산자(tastemaker)’ 리스트를 공개했다. 지난 한 해 가장 인상적인 작업을 보여준 동시에, 디자인 트렌드를 주조하고 선도해온 디자이너들은 과연 누구인가? 

위의 질문에 대답하기에 앞서 <포브스>는 최근 산업디자인 계에 불어닥친 변화의 조짐을 짚는다. 쿠퍼-휴잇 내셔널 뮤지엄의 디자인 큐레이터 엘렌 럽튼(Ellen Lupton)의 말을 빌면, “산업의 트렌드가 캔디 컬러를 입힌 화려함 대신 보다 실용적이고 단순화된 미학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즉 최근의 추세는 금욕과 절제, 그리고 단순함과 솔직함 같은 단어로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이다. 

랜스마이어 & 플로이드(Ransmeier & Floyd), ‘그래디언트(Gradient)’ – 접시 건조대

랜스마이어 & 플로이드의 ‘그래디언트(Gradient)’야말로 이러한 트렌드를 대표하는 제품일 것이다. 이 건조대는 수백 개의 자그마한 폴리프로필렌 기둥으로 가득 차 있다. 이들 기둥이 빚어내는 그라데이션은 매우 아름다우면서도 기능적이다. 

론 길라드, ‘보이드(Void)’ – 속이 비어 있어 책이나 잡지 등을 수납할 수 있다. 

실험적인 신진 디자이너들의 움직임에도 주목해야 한다. 토비아스 웡, 론 길라드, 제이슨 밀러와 같은 디자이너들은 미국의 디자인 신에 활기를 불어넣는 인물들로, 이들에 대한 관심은 매체는 물론 일반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높아져가고 있다. 이 젊은 디자이너들은 재기있는 핸드메이드 디자인으로 주요 상점에 진출했다. 심지어 론 길라드는 직접 온라인 스토어를 열었다. 이 곳에서 그는 39달러에서 6천달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가격대의 제품들을 판매하는데, ‘DIY’의 태도가 판매에까지 적용된 사례라 할 것이다. 

(좌측부터) 애플의 조너선 아이브, 닛산의 시로 나카무라

<포브스>가 선정한 산업디자인 계 주요 인물 10인의 리스트는 다음과 같다. 앞서 언급한 신진 세력이외에도, 진공청소기의 제왕 제임스 다이슨이나 애플의 조너선 아이브와 같은 ‘거물’들이 포함되어 있다.

토비아스 웡(Tobias Wong)
론 길라드(Ron Gilad)[1]
랜스마이어 & 플로이드(Ransmeier & Floyd)
조너선 아이브 (Jonathan Ive)
크리스 카벨(Chirs Kabel)
시로 나카무라 (Shiro Nakamura), 닛산 
폰투스 발그렌(Pontus Wahlgren), IDEO[2]
닐스 디프리언트(Niels Diffrient), 휴먼스케일 
제임스 다이슨(James Dyson), 다이슨 
제이슨 밀러(Jason Miller)

[Forbes] Tastemakers in Industrial Design(링크 갱신)

ⓒ designflux.co.kr


[1] 표기 수정: 론 질라드 -> 론 길라드

[2] 표기 수정: 폰투스 월그렌 -> 폰투스 발그렌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8-25 | 베이루트 전시 센터 아이덴티티 디자인

지금은 문을 닫은 베이루트 전시 센터는 레바논을 비롯해 중동 지역의 현대 미술을 소개하는 비영리 기관이었습니다. 센터의 아이덴티티는 두 개의 언어로 이뤄져 있었으니, 아랍어와 영어입니다.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맡은 메리 슈에이터는 두 가지 언어 각각의 타이포그래피 규칙을 모두 다듬어, 어느 한 언어의 문자가 다른 한 쪽에 억지로 순응하지 않도록 하였다고 설명합니다. 또 이 아이덴티티의 간판 버전은 센터의 건축 디자인과도 연결되는 세심함을 보여주었죠. 

사운드 & 작곡 플랫폼

일본의 사운드 디자이너 유리 스즈키(Yuri Suzuki)는 전 세계에서 녹음된 갖가지 소리를 활용하여 작곡을 하는...

2009-03-30 | 무가치한 화폐의 비극적 풍경 

저 악명 높은 짐바브웨 초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짐바브웨 달러는 화폐로서의 가치를 상실하다시피 했습니다. 그러한 와중에 종이가 사치 수입품으로 분류되어 막대한 관세가 부과되면서, 언론사들은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2009년 <짐바브웨 신문>의 ‘감사 벽보’ 광고는 돈으로서의 가치를 잃고 종이로서의 효용만 남은 짐바브웨 달러의 현실을 정확히 겨냥한, 씁쓸한 캠페인이었습니다. 

2010-07-19 | 율리아 하스팅의 북디자인 

파이돈 출판사의 책을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이름, 율리아 하스팅입니다. 그래픽 디자이너로서 활동하다 파이돈의 책들을 디자인하며 이 출판사와 인연을 맺은 그는, 2000년에는 파이돈에 신설된 디자인 부서의 아트 디렉터로 합류했고, 2007년부터는 출판사의 디자인 디렉터로서 여전히 파이돈에 몸담고 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