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0-31 | 프론트의 마법 같은 ‘스케치’

Editor’s Comment

허공에 그린 스케치가 가구가 되어 나옵니다. 스웨덴의 디자이너 그룹 프론트의 ‘스케치’는 모션캡처, 급속 프로토타이핑 기술을 경유해 태어난 마법 같은 가구 시리즈입니다. 손의 움직임을 모션캡처로 기록하여 3D 디지털 파일로 만들고 이를 3D 프린터로 물질화시킨 결과물이었죠. 

허공에 원하는 디자인의 가구를 그리고 나면, 그와 똑 같은 모양의 가구가 실제로 만들어진다. 과연 그런 일이 가능할까? 해리 포터의 세계에서나 가능한 일은 아닐까? 

스웨덴의 디자이너 그룹 프론트(FRONT)가 이 마법과도 같은 상상을 현실로 만들었다. 공간에 직접 스케치한 디자인이 실제 오브제가 되는 ‘스케치 퍼니처’를 개발한 것이다. 이것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하나는 스케치하는 손의 움직임을 정보화하는 것, 두 번째는 이 정보를 토대로 실제 가구를 제작하는 것이다. 

프론트는 영화나 애니메이션에서 흔히 쓰이는 모션캡처 기술을 이용해 손의 움직임을 기록하여 3D 디지털 파일로 만들었다. 펜의 움직임과 강세를 실시간으로 컴퓨터에 기록, 이를 3D 이미지 파일로 변환한다. 이 정보는 RP(rapid prototype) 과정에 전달되는데, RP란 말 그대로 3D 모형을 빠른 시간 안에 생산해내는 기술이다. RP를 통해 3D 디지털 정보가 ‘물질화’하게 된다. 0.1mm 단위로 레이저 빔이 액체 플라스틱을 경화시켜 서서히 가구의 형상을 만들고, 그렇게 몇 시간 정도 지나면 마침내 가구 한 점이 완성된다. 

공간에 스케치하는 손의 움직임과 펜의 강세를 모션캡처로 잡아낸다. 
모션 캡처 정보를 3D 디지털 포맷으로 변환한다. 
RP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의자’ 

지난 9월부터 일본에 체류해온 프론트는 배리 프리드먼 Ltd.와 공동으로 스케처 퍼니처 기술을 탐색, 개발에 돌입한 끝에 마침내 성공을 거두었다. 그리고 바로 어제 개막한 도쿄디자인위크에서 그 과정과 결과물을 공개하게 되었다. 

2003년 결성된 프론트는 4명의 여성 디자이너들이 모여 만든 디자인 그룹으로, 디자인 외부의 사건을 디자인 오브제에 반영하는 과정을 통해 유일무이한 작품을 만들어내며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스케치 퍼니처’ 역시 ‘프론트다움’이 무엇인지 보여주는 멋진 사례로 기록될 것이다. 

http://www.frontdesign.se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1-28 | 디자인 발견

“디자인은 무엇이고 어떤 일을 할 수 있나.” 런던 디자인 뮤지엄이 2009년 ‘디스커버 디자인’이라는 이름의 교육 프로그램 페이지를 열었습니다. 어떤 사물이 왜 그러한 모습이고 무엇으로 어떻게 만들어졌으며 기능은 무엇이고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와 같은 기본적인 질문을 통해, 디자인에 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도와줍니다.

2010-05-31 | 팬톤 호텔

팬톤의 컬러칩은 팬톤의 주력 상품이기도 하지만, 자체로 팬톤을 상징하는 디자인 자산이기도 하죠. 컬러칩의 모양새는 팬톤과의 ‘협업’을 원하는 여러 브랜드의 제품에 널리 활용되고, 또 팬톤의 자체 라이프스타일 소품군의 기반이기도 합니다. 2010년 팬톤은 브뤼셀에 호텔을 열며, 소위 ‘팬톤 유니버스’를 소품에서 공간으로 확대했습니다. 다만 더 이상 팬톤 호텔을 방문할 수는 없으니, 팬톤이 떠나고 이미 다른 호텔이 운영 중입니다.

2008-09-16 | 제11회 베니스 비엔날레 국제건축전 수상자

2020년 팬데믹으로 많은 디자인 행사가 취소되거나 온라인으로 전환되거나 연기되었지요. 베니스 비엔날레 국제건축전은 미루는 쪽을 택했습니다. 그것도 두 번이나요. 그래서 본래 올해는 열리지 않았을 제17회 베니스 비엔날레 건축전이 이제 중반을 지나가고 있습니다. 건축전이 한창인 지금, 2008년도 베니스 비엔날레 건축전의 수상자들을 다시 만나봅니다.

2009-12-22 | 디지털 매거진 콘셉트, ‘맥+’

태블릿이라는 제품 카테고리가 시장에 안착하면서, 책이 그러했듯 잡지도 디지털 기기 속으로 진입했습니다. 이 시기, 보니에르와 버그는 디지털 매거진의 읽기 경험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바탕으로 한 가지 가능태를 ‘맥+’이라는 이름의 콘셉트를 통해 보여주었습니다. 종이를 벗어난 잡지를 위한 그들의 제안을 다시 만나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