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0-31 | 프론트의 마법 같은 ‘스케치’

Editor’s Comment

허공에 그린 스케치가 가구가 되어 나옵니다. 스웨덴의 디자이너 그룹 프론트의 ‘스케치’는 모션캡처, 급속 프로토타이핑 기술을 경유해 태어난 마법 같은 가구 시리즈입니다. 손의 움직임을 모션캡처로 기록하여 3D 디지털 파일로 만들고 이를 3D 프린터로 물질화시킨 결과물이었죠. 

허공에 원하는 디자인의 가구를 그리고 나면, 그와 똑 같은 모양의 가구가 실제로 만들어진다. 과연 그런 일이 가능할까? 해리 포터의 세계에서나 가능한 일은 아닐까? 

스웨덴의 디자이너 그룹 프론트(FRONT)가 이 마법과도 같은 상상을 현실로 만들었다. 공간에 직접 스케치한 디자인이 실제 오브제가 되는 ‘스케치 퍼니처’를 개발한 것이다. 이것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하나는 스케치하는 손의 움직임을 정보화하는 것, 두 번째는 이 정보를 토대로 실제 가구를 제작하는 것이다. 

프론트는 영화나 애니메이션에서 흔히 쓰이는 모션캡처 기술을 이용해 손의 움직임을 기록하여 3D 디지털 파일로 만들었다. 펜의 움직임과 강세를 실시간으로 컴퓨터에 기록, 이를 3D 이미지 파일로 변환한다. 이 정보는 RP(rapid prototype) 과정에 전달되는데, RP란 말 그대로 3D 모형을 빠른 시간 안에 생산해내는 기술이다. RP를 통해 3D 디지털 정보가 ‘물질화’하게 된다. 0.1mm 단위로 레이저 빔이 액체 플라스틱을 경화시켜 서서히 가구의 형상을 만들고, 그렇게 몇 시간 정도 지나면 마침내 가구 한 점이 완성된다. 

공간에 스케치하는 손의 움직임과 펜의 강세를 모션캡처로 잡아낸다. 
모션 캡처 정보를 3D 디지털 포맷으로 변환한다. 
RP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의자’ 

지난 9월부터 일본에 체류해온 프론트는 배리 프리드먼 Ltd.와 공동으로 스케처 퍼니처 기술을 탐색, 개발에 돌입한 끝에 마침내 성공을 거두었다. 그리고 바로 어제 개막한 도쿄디자인위크에서 그 과정과 결과물을 공개하게 되었다. 

2003년 결성된 프론트는 4명의 여성 디자이너들이 모여 만든 디자인 그룹으로, 디자인 외부의 사건을 디자인 오브제에 반영하는 과정을 통해 유일무이한 작품을 만들어내며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스케치 퍼니처’ 역시 ‘프론트다움’이 무엇인지 보여주는 멋진 사례로 기록될 것이다. 

http://www.frontdesign.se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비트라 디자인 뮤지엄 ‘플라스틱: 세상을 다시 만들다’

비트라 디자인 뮤지엄에서 플라스틱의 역사와 미래를 탐구하는 전시 ‘플라스틱: 세상을 다시 만들다 (Plastics: Remaking...

2009-08-12 | 셋이지만 하나

2009년 런던 디자인 페스티벌에서 페럴렐 프로젝트는 유명한 개념미술 작품 ‘세 개의 의자’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셋이지만 하나’ 전시를 선보였습니다. 열 두 팀의 디자이너들이 만든 제품은 오브제 자체, 디자이너 겸 작가 팀 파슨의 글, 사진작가 엠마 비에슬란데르의 사진의 세 가지 매체로 제시됩니다. 디자인에 대한 인식에 매체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함입니다. 아쉽게도 현재는 패럴렐 프로젝트의 홈페이지가 남아 있지 않습니다. 당시 실제 전시 작품을 살펴볼 수 있도록 〈디진〉의 관련 기사 링크를 덧붙여 둡니다.

2009-08-18 | ‘인베이더’ 개인전

세계 곳곳에 외계 침공자가 숨어 있습니다. 프랑스의 아티스트 ‘인베이더’는 1970년대의 컴퓨터 게임 <스페이스 인베이더>의 침략자들을 도시 풍경 속에 숨겨 놓으며 이름을 알렸습니다. 당대의 도트 그래픽을 모자이크 타일로 재현하는 방식으로요. 2009년 열린 인베이더의 개인전이 오늘의 소식입니다. 모자이크 타일 외에도 루빅스 큐빅으로도 특유의 ‘저해상도’ 그래픽을 구현했지요. 

2011-09-08 | 폴 스미스의 〈팅커 테일러 솔저 스파이〉 포스터

영화 <팅커 테일러 솔저 스파이>의 영국 개봉을 앞두고, 특별한 포스터가 등장했습니다. 패션 디자이너 폴 스미스의 한정판 영화 포스터들이 그것입니다. 영화의 시공간적 배경이 된 1970년대의 런던을 살아온 사람으로서, 폴 스미스는 연출을 맡은 토마스 알프레드손 감독과 여러 이야기를 나누었다고 합니다. 그런 인연으로 네 장의 특별한 폴 스미스 디자인 포스터가 탄생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