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0-31 | 프론트의 마법 같은 ‘스케치’

Editor’s Comment

허공에 그린 스케치가 가구가 되어 나옵니다. 스웨덴의 디자이너 그룹 프론트의 ‘스케치’는 모션캡처, 급속 프로토타이핑 기술을 경유해 태어난 마법 같은 가구 시리즈입니다. 손의 움직임을 모션캡처로 기록하여 3D 디지털 파일로 만들고 이를 3D 프린터로 물질화시킨 결과물이었죠. 

허공에 원하는 디자인의 가구를 그리고 나면, 그와 똑 같은 모양의 가구가 실제로 만들어진다. 과연 그런 일이 가능할까? 해리 포터의 세계에서나 가능한 일은 아닐까? 

스웨덴의 디자이너 그룹 프론트(FRONT)가 이 마법과도 같은 상상을 현실로 만들었다. 공간에 직접 스케치한 디자인이 실제 오브제가 되는 ‘스케치 퍼니처’를 개발한 것이다. 이것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하나는 스케치하는 손의 움직임을 정보화하는 것, 두 번째는 이 정보를 토대로 실제 가구를 제작하는 것이다. 

프론트는 영화나 애니메이션에서 흔히 쓰이는 모션캡처 기술을 이용해 손의 움직임을 기록하여 3D 디지털 파일로 만들었다. 펜의 움직임과 강세를 실시간으로 컴퓨터에 기록, 이를 3D 이미지 파일로 변환한다. 이 정보는 RP(rapid prototype) 과정에 전달되는데, RP란 말 그대로 3D 모형을 빠른 시간 안에 생산해내는 기술이다. RP를 통해 3D 디지털 정보가 ‘물질화’하게 된다. 0.1mm 단위로 레이저 빔이 액체 플라스틱을 경화시켜 서서히 가구의 형상을 만들고, 그렇게 몇 시간 정도 지나면 마침내 가구 한 점이 완성된다. 

공간에 스케치하는 손의 움직임과 펜의 강세를 모션캡처로 잡아낸다. 
모션 캡처 정보를 3D 디지털 포맷으로 변환한다. 
RP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의자’ 

지난 9월부터 일본에 체류해온 프론트는 배리 프리드먼 Ltd.와 공동으로 스케처 퍼니처 기술을 탐색, 개발에 돌입한 끝에 마침내 성공을 거두었다. 그리고 바로 어제 개막한 도쿄디자인위크에서 그 과정과 결과물을 공개하게 되었다. 

2003년 결성된 프론트는 4명의 여성 디자이너들이 모여 만든 디자인 그룹으로, 디자인 외부의 사건을 디자인 오브제에 반영하는 과정을 통해 유일무이한 작품을 만들어내며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스케치 퍼니처’ 역시 ‘프론트다움’이 무엇인지 보여주는 멋진 사례로 기록될 것이다. 

http://www.frontdesign.se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1-12 | 프로파간다 스타일로

『공산당 선언』의 마지막 구절이자 소비에트 공화국의 표어였던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를 21세기 미국의 백화점이 노골적으로 차용합니다. “만국의 소비자여 단결하라!” 그것도 소비에트의 시각적 선전 양식을 빌려서요. 프로파간다 스타일로 유명세를 얻은 셰퍼드 페어리가 디자인한 삭스 피프스 애비뉴의 뻔뻔한 광고를 다시 돌아봅니다.

2010-06-01 | 비즈니스 분야 창의인사 100인

2009년부터 매년 미국의 <패스트 컴퍼니> 매거진은 비즈니스계에서 가장 창의적인 인사 100명을 선정해 발표해왔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2019년까지라고 해야겠군요. 2020년부터는 기획에서 ‘100’이라는 숫자를 지웠고, 그리하여 2020년의 명단은 74인의 이름으로 채워졌습니다. 오늘의 뉴스는 2010년, 그러니까 두 번째 100인 명단입니다. 레이디 가가, 에디 큐, 엘리자베스 워런, 나카무라 시로, 라이언 머피…로 시작하는 명단 중간중간 익숙한 디자인, 건축 분야의 인물들이 눈에 띕니다.

2010-10-05 | 2010 일본 굿디자인 어워드

일본디자인진흥원은 1957년부터 우수 디자인을 평가, 시상하는 굿디자인 어워드 프로그램을 진행해왔습니다. 2010년에는 총 3,136개 디자인이 응모한 가운데, 베스트 디자인 15점을 비롯해 총 1,110개 디자인에 ‘굿디자인 마크’가 붙여졌습니다. 그해의 이례적인 수상이라면 아이돌 그룹 AKB48이 네트워크 부문 베스트에 선정되었다는 점일 텐데요. 아날로그적인 경험을 찾는 시대에 ‘가서 만날 수 있는 아이돌’이라는 콘셉트가 주효했다는 평입니다. 

2008-07-07 | 잔디 사진

헤더 애크로이드와 댄 하비는 자연을 매체로 삼은 작업으로 유명한 미술가 듀오입니다. 특히 잔디를 이용한 사진 작품들이 널리 알려져 있는데요. 청사진과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잔디의 감광성을 이용해 잔디판 위에 사진 이미지를 구현합니다. 2008년 두 사람은 윔블던 테니스 챔피언십의 광고 캠페인에 참여하여 잔디 사진들을 선보였습니다. 잔디 코트의 윔블던과 잔디 사진의 애크로이드 & 하비. 잔디는 그야말로 절묘한 매개체였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