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0-13 | 부룰렉 형제의 부유하는 집

Editor’s Comment

공교롭게도 디자인플럭스의 오늘자 뉴스들을 훑어보면 부룰렉 형제의 이름이 두 번 등장합니다. 오늘은 둘 중 2006년의 ‘부유하는 집’을 골랐습니다. 부룰렉 형제가 디자인한 작은 선상 가옥 겸 스튜디오가 과거 르누아르의 그림에 영감을 주었던 세느강변 풍경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플로팅 하우스(La Maison Flottante)’

‘플로팅 하우스’는 국립현대예술출판센터(CNEAI)의 아티스트와 작가들을 위한 거주용 스튜디오이다. 2002년 일반인의 기부금을 모아 시작된 프로젝트로, 2006년 가을 드디어 결실을 맺었다. 세느 강을 부유하는 이 스튜디오 겸 하우스의 디자인은 부룰렉 형제가 맡았고, 건축가 장-마리 피노(Jean-Marie Finot)와 드니 다베르쟁(Denis Daversin)이 함께 참여하였다.

부룰렉 형제는 그리 넉넉하지 않은 예산에도 불구하고 심플한 라인의 구조를 통해 실용적이면서도 시적인 건물을 디자인했다. 23m x 5m 크기의 사각형 바지선 위에, 알루미늄과 나무로 만든 길다란 벽감 형태의 건물을 세웠다. 

실내 공간은 생활과 작업이 자연스럽게 융합될 수 있도록 디자인되었다. 바깥 테라스에는 커다란 화분이 놓여있는데 덩굴 식물이 식재되어 시간이 지나면 건물의 벽은 물론이고 지붕까지 우거지게 된다. 그렇게 되면 더욱 주변 강가의 경관과 친밀한 모습으로 탈바꿈하게 될 것이다. 

소위 ‘인상주의자들의 섬’이라 불리는 강변에 정박된 채로, 세느강을 흐르는 물결의 리듬에 따라 부드럽게 흔들리는 모습이 인상적인’플로팅 하우스’. 르누아르의 1881년 작, ‘뱃놀이하는 사람들의 점심식사(Dejeuner des Canotiers)’에 영감을 주었던 그림 같은 풍경 속에, 부룰렉 형제가 창조해낸 또 하나의 ‘풍경’이 자리하게 되었다. 

ⓒ designflux.co.k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4-09 | 휴대폰의 시대, 시계의 운명은?

2007년이라면 아이폰이 발표되어 시장에 등장한 해입니다. 4월 9일의 이 뉴스는 아직 휴대폰이 그렇게까지 ‘스마트’하지 못했던 때에도, 이미 제 기능을 휴대폰에게 내주었던 시계의 운명에 관한 기사입니다. 자기표현의 수단 혹은 휴대용 전자기기화. 두 가지가 양립 불가능한 관계의 선택지는 아닙니다만, 어쨌든 후자의 흐름이 현실이 되어 스마트시계라는 카테고리가 태어났습니다. 문제는 그것이 시계 시장 외부에서, 그것도 다름 아닌 휴대폰 시장으로부터 왔다는 것입니다. 전통적인 시계는 지금 다시 한 번 시계의 모습을 한 기기와 경쟁하는 중입니다.

고속도로 옆, 작은 집 마을

레흐럴 건축사무소(Lehrer architects)에서 진행중인 ‘작은집 마을(Tiny House Villages)’ 프로젝트 중 ‘휘트세트 웨스트 스몰 홈타운(Whitsett...

〈디자인 이슈〉(Design Issues) Autumn 2021: 디자인은 미학인가 수사학인가?

<디자인 이슈(Design Issues)> Autumn 2021, Volume 37, Issue 4 표지 ‘디자인의 설득?: 미학과 수사학 사이의 디자인론(Persuasion by...

2007-05-18 | 마르티 긱세의 푸드 디자인

마르티 긱세는 자신을 푸드 디자이너라 소개합니다. 음식은 디자인의 대상으로, 여기에서 음식 디자인은 조리법이나 미식의 개념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음식 역시 다른 사물과 마찬가지로 디자인된 무엇이며, 다만 먹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을 뿐이지요. 2007년 오늘 디자인플럭스에서는 마르티 긱세의 푸드 디자인을 전했습니다. 파이 차트의 현현으로서의 파이, 씨앗을 뿌리는 사탕 등의 작업을 소개했었죠.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