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9-28 | 영국 그래픽의 신화, 앨런 플레처 타계

Editor’s Comment

전후 영국 그래픽 디자인 세대를 대표하는 한 사람이었던 앨런 플레처가 2006년 9월 21일 타계했습니다. “디자인이란 하는 것이 아니라 살아가는 방식”이라고 말했던 그는, 시인 칼 샌드버그가 했던 말이자 1995년 그가 포스터에 담았던 말을 입은 채 세상을 떠났다고 합니다. “내가 어디로 가는지는 모르지만, 내 길을 가고 있다.” 

앨런 플레처
courtesy Phaidon

9월 21일, 영국을 대표하는 그래픽 디자이너 앨런 플레처가 오랜 암투병 끝에 74세를 일기로 생을 마감했다. 디자인 비평가 스티븐 헬러는 <뉴욕타임즈>에 앨런 플레처의 전 생애에 걸친 디자인 활동상과 그의 철학을 담은 회고록을 실었다. 

1931년 케냐 나이로비에서 태어난 앨런 플레처는 5세에 런던으로 이주, 로열 칼리지 오브 아트를 졸업한 후 예일대학에서 폴 랜드와 조셉 알버스에게 수학했다. 1950년대 말 런던으로 돌아와 콜린 포브스, 밥 길과 함께 ‘플레처/포브스/길’을 설립하면서 <타임>, <라이프>, <보그> 매거진을 주요 클라이언트로 맞이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1972년, 두 명의 파트너를 더 영입하여 ‘펜타그램’사을 설립하면서 명실공히 국제적인 디자인회사로 거듭났다. 펜타그램은 70-80년대를 지나면서 미국으로 진출해 성공가도를 달렸으나, 1991년 플레처는 다시 노팅힐의 소규모 스튜디오로 복귀, 파이돈 출판사 등의 일을 하며 말년을 보냈다. 

앨런 플레처는 흔히 영국의 밀튼 글레이저로 불리곤 한다. 영국의 국제통신사 로이터, 빅토리아 앤 앨버트 뮤지엄과 함께 일해온 이유도 클 것이다. 또 플레처는 분명 바우하우스의 영향을 받았지만, 전후 영국 모더니즘의 틀을 깨고 자신만의 경쾌한 스타일을 만들며, 유럽의 모더니스트 전통과 새로운 팝 문화를 성공적으로 융합시켰다고 평가 받는다. 

시대를 초월하는 앨런 플레처 스타일은 펀치로 구멍을 뚫은 듯한 로이터의 로고와 런던 이층 버스에 광고로 사용된 피렐리 타이어의 홍보 포스터에서 찾아볼 수 있다. 특히 로이터 로고는 1968년 제작된 이후 1996년까지 변함없이 사용될 정도로 저력을 과시했다. 

피렐리 슬리퍼스 이층버스 광고, 플레처/포브스/길, 1962

앨런 플레처는 시각물을 바라보는 사람에게서 두 가지 효과를 끌어내는, 일명 ‘시각적 마인드게임’의 창시자로도 유명하다. 그의 이러한 생각은 여러 저작물에 반영되어 있는데, 특히 <The Art of Looking Sideways> (파이돈, 2001)는 수 백 명의 아티스트, 디자이너, 사상가의 말과 생각을 담은 방대한 역작으로 기록된다.

죽음을 맞이하던 순간 플레처는 자신의 포스터에 나온 한 글귀 – “내가 어디로 가는지는 모르지만 나는 나의 길을 가고 있다” 라고 적힌 티셔츠를 입고 있었다고 한다. 

굳건한 소명을 안고 자신의 길을 걸어 온 이 시대의 그래픽 디자이너 앨런 플레처의 두 번째 전기 <Picturing and Poeting>이 오는 11월 파이돈에서 출판될 예정이다. 

그의 죽음을 예견이라도 했던 것일까? 런던 디자인 뮤지엄에서 11월 11일부터 내년 2월 18일까지 열릴 앨런 플레처의 회고전에서는 최근 플레처가 기증한 아카이브가 공개된다. 

두 번째 전기 <Picturing and Poeting> (파이돈, 2006. 11 출판 예정)

[New York Times] www.nytimes.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12-17 | 〈I. D.〉매거진 폐간

디자인플럭스 1.0이 운영했던 메뉴 중에는 ‘매거진’이 있었습니다. 여기에서 첫 번째로 리뷰한 매거진이 바로 〈I. D.〉 2006년 3/4월호였지요. 그 뒤로 채 4년이 지나지 않아, 전통의 제품 디자인 전문지 〈I. D.〉의 폐간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F+W 미디어는 실물 잡지 발행 중단을 발표하며, ‘애뉴얼 디자인 리뷰’를 중심으로 〈I. D.〉를 온라인으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밝혔고, 실제로 2011년 6월 비핸스와 제휴하며 온라인 디자인 쇼케이스 형식의 사이트로 재출범했지만, 약 5년 만에 문을 닫으며 다시금 작별을 고했습니다.

2008-06-10 | 굿디자인이란 무엇인가

좋은 디자인이란 무엇인가. 수없이 던져진 질문이고 어떤 대답은 무척이나 유명합니다. 디터 람스의 디자인 10계명처럼요. 이번에는 디자인 평론가 앨리스 로스손의 대답입니다. 그녀는 좋은 디자인인가를 생각할 때 짚어볼 다섯 가지를 제시합니다. 그것이 무엇을 하는지, 모습은 어떠한지, 어디가 새로운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죄책감을 일으키는지 말이지요. 그리하여 도달하는 좋은 디자인의 결론은 무엇인지, 오늘의 뉴스에서 만나봅니다.

2010-05-20 | 바바라 크루거의 런던 지하철 노선도

2010년 5월 21일 이후 런던의 지하철역에서 포켓형 노선도를 집어들었다면, 표지에서 어딘가 이상한 점이 눈에 띄었을 것입니다. 노선도의 모습은 그대로인데, 역의 이름이 다릅니다. 가령 피카딜리 서커스 역은 ‘역설’, 웨스트민스터 역은 ‘이성’, 러셀 스퀘어 역은 ‘의심’, 템플 역은 ‘웃음’이 되었습니다. 바바라 크루거는 런던 도심의 지하철역에 어떤 상태, 개념, 감정의 단어를 붙였고, 그렇게 바뀐 노선도는 마음의 여정을 그린 마인드맵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

2010-12-08 | 빔 크라우벌 회고전

2011년 런던 디자인 뮤지엄에서 디자이너 빔 크라우벌의 회고전이 영국에서는 처음으로 열렸습니다. ‘빔 크라우벌 – 그래픽 오디세이’는 “미스터 그리드닉”이라 불리웠던 그의 60년 작업 세계를 망라하는 전시였습니다. 10년 전 오늘의 소식과 함께, 2019년 타계한 그를 기리며 암스테르담 시립미술관에서 연 추모 웹사이트도 다시 방문해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