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9-28 | 영국 그래픽의 신화, 앨런 플레처 타계

Editor’s Comment

전후 영국 그래픽 디자인 세대를 대표하는 한 사람이었던 앨런 플레처가 2006년 9월 21일 타계했습니다. “디자인이란 하는 것이 아니라 살아가는 방식”이라고 말했던 그는, 시인 칼 샌드버그가 했던 말이자 1995년 그가 포스터에 담았던 말을 입은 채 세상을 떠났다고 합니다. “내가 어디로 가는지는 모르지만, 내 길을 가고 있다.” 

앨런 플레처
courtesy Phaidon

9월 21일, 영국을 대표하는 그래픽 디자이너 앨런 플레처가 오랜 암투병 끝에 74세를 일기로 생을 마감했다. 디자인 비평가 스티븐 헬러는 <뉴욕타임즈>에 앨런 플레처의 전 생애에 걸친 디자인 활동상과 그의 철학을 담은 회고록을 실었다. 

1931년 케냐 나이로비에서 태어난 앨런 플레처는 5세에 런던으로 이주, 로열 칼리지 오브 아트를 졸업한 후 예일대학에서 폴 랜드와 조셉 알버스에게 수학했다. 1950년대 말 런던으로 돌아와 콜린 포브스, 밥 길과 함께 ‘플레처/포브스/길’을 설립하면서 <타임>, <라이프>, <보그> 매거진을 주요 클라이언트로 맞이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1972년, 두 명의 파트너를 더 영입하여 ‘펜타그램’사을 설립하면서 명실공히 국제적인 디자인회사로 거듭났다. 펜타그램은 70-80년대를 지나면서 미국으로 진출해 성공가도를 달렸으나, 1991년 플레처는 다시 노팅힐의 소규모 스튜디오로 복귀, 파이돈 출판사 등의 일을 하며 말년을 보냈다. 

앨런 플레처는 흔히 영국의 밀튼 글레이저로 불리곤 한다. 영국의 국제통신사 로이터, 빅토리아 앤 앨버트 뮤지엄과 함께 일해온 이유도 클 것이다. 또 플레처는 분명 바우하우스의 영향을 받았지만, 전후 영국 모더니즘의 틀을 깨고 자신만의 경쾌한 스타일을 만들며, 유럽의 모더니스트 전통과 새로운 팝 문화를 성공적으로 융합시켰다고 평가 받는다. 

시대를 초월하는 앨런 플레처 스타일은 펀치로 구멍을 뚫은 듯한 로이터의 로고와 런던 이층 버스에 광고로 사용된 피렐리 타이어의 홍보 포스터에서 찾아볼 수 있다. 특히 로이터 로고는 1968년 제작된 이후 1996년까지 변함없이 사용될 정도로 저력을 과시했다. 

피렐리 슬리퍼스 이층버스 광고, 플레처/포브스/길, 1962

앨런 플레처는 시각물을 바라보는 사람에게서 두 가지 효과를 끌어내는, 일명 ‘시각적 마인드게임’의 창시자로도 유명하다. 그의 이러한 생각은 여러 저작물에 반영되어 있는데, 특히 <The Art of Looking Sideways> (파이돈, 2001)는 수 백 명의 아티스트, 디자이너, 사상가의 말과 생각을 담은 방대한 역작으로 기록된다.

죽음을 맞이하던 순간 플레처는 자신의 포스터에 나온 한 글귀 – “내가 어디로 가는지는 모르지만 나는 나의 길을 가고 있다” 라고 적힌 티셔츠를 입고 있었다고 한다. 

굳건한 소명을 안고 자신의 길을 걸어 온 이 시대의 그래픽 디자이너 앨런 플레처의 두 번째 전기 <Picturing and Poeting>이 오는 11월 파이돈에서 출판될 예정이다. 

그의 죽음을 예견이라도 했던 것일까? 런던 디자인 뮤지엄에서 11월 11일부터 내년 2월 18일까지 열릴 앨런 플레처의 회고전에서는 최근 플레처가 기증한 아카이브가 공개된다. 

두 번째 전기 <Picturing and Poeting> (파이돈, 2006. 11 출판 예정)

[New York Times] www.nytimes.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4-12 | 인더스트리얼 퍼실리티 x 마티아치

다른 가구 회사들의 하청 작업을 해온 가구제작소가 자신의 이름을 걸고 제품 컬렉션을 선보이기 시작합니다. 2009년 스튜디오 닛잔 코헨과의 협업으로 태어난 첫 번째 컬렉션에 이어, 2010년 두 번째 마티아치 컬렉션의 디자인은 인더스트리얼 퍼실리티가 맡았습니다. 그렇게 마티아치 컬렉션은 해를 이어, 올해로 벌써 22번째 의자를 맞이했습니다.

2010-03-17 |〈가디언〉, 서비스 디자인 증보판 발행

2010년 3월 15일, 영국의 유력 일간지 〈가디언〉이 ‘서비스 디자인’을 주제로 증보판을 내놓았습니다. 제품 중심의 산업에서 소위 지식 산업으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서비스 디자인이 부상했고, 〈가디언〉의 이 기획은 기존 유형의 것에 적용해 왔던 굿 디자인 논의를 왜 또 어떻게 무형의 것에 적용할 것인지를 다루었습니다. 

2011-03-18 | 페루, 국가 브랜드 공개

2011년 3월 12일, 페루의 국가 브랜드가 뉴욕 월스트리트에서 첫선을 보였습니다. 브랜드는 peru라는 국가명에 페루에서 발원한 모든 문화에서 발견되는 나선의 모티프를 결합한 로고 그리고 그와 궤를 같이 하는 디자인의 공식 서체로 구성되었습니다. 

2007-05-11 | 제로 시티

오일 머니가 가능케 한 탄소 제로 폐기물 제로의 도시. 2007년 UAE가 발표한 ‘마스다르 시티’입니다. 아부다비 공항 5분 거리에 세워진 이 신도시는 태양열 발전과 같은 현대의 클린 에너지 기술과 중동의 오랜 쿨링 건축 기법인 윈드 타워가 공존하고, 내연기관 자동차 대신에 대중교통과 소형궤도차, 보행, 자전거 타기를 장려하는 도시로 계획되었습니다. 2007년 포스터+파트너스의 마스터플랜이 공개되고 2008년 착공에 들어간 마스다르 시티는 본래 2020년 완공을 계획하였으나, 2018년 기준으로 25%가 완성된 상태로 아직도 건설 중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