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9-21 | 앵글포이즈 1227 ‘자이언트’ 모델

Editor’s Comment

세계 최초의 탁상용 조명 앵글포이즈가 탄생 70주년을 맞아 몸집을 키웠습니다. 어느 정도냐면 탁상 위를 벗어나 야외로 옮겨갈 정도로요. 2006년 100% 디자인 런던에서 ‘앵글포이즈 1227 자이언트’ 버전이 공개되었습니다. 가정용인 1227 모델의 세 배 크기로, 높이가 약 2.4m에 달하는 대형 모델이었습니다. 

오랫동안 대중의 사랑을 받아온 탁상용 조명의 대명사 ‘앵글포이즈(Anglepoise) 1227’ 모델이 탄생 70주년을 맞아 거대 버전으로 재탄생했다. 앵글포이즈UK 사는 오늘부터 시작된 100% 디자인 런던 행사에 ‘앵글포이즈 1227’의 자이언트 버전을 전시한다고 밝혔다.

1930년대 발명된 ‘앵글포이즈’ 시리즈는 세계 최초의 탁상용 조명으로, 영국이 낳은 위대한 디자인 중 하나로 손꼽히는 제품이다. 올해 초 영국 BBC 방송과 디자인 뮤지엄이 공동으로 조사한 ‘그레이트 브리티시 디자인 퀘스트’에서 22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자동차 엔지니어였던 조지 카워(George Carwadine)은 어느 방향으로나 쉽게 구부러지면서도 일단 고정되면 견고한 새로운 타입의 스프링을 개발했다. 이 스프링의 용도를 고민하다가 발명된 제품이 바로 앵글포이즈 램프이다. 사람의 관절 구조에서 영감을 얻은 램프로, 그 관절 부분에 카워딘의 스프링이 들어가 있다. 

이후 허버트 테리 앤드 선즈에서 이를 라이센스하면서 1934년 앵글포이즈의 첫 모델인 ‘1208’이 시판되었다. 이 제품이 인기를 끌자2년 뒤인 1936년에는 가정용 버전인 ‘1227’을 내놓았다. 이 모델의 장점은 보다 적은 전력으로(기존의 60와트 전구 대신 25와트 전구를 사용했다), 원하는 방향에 빛을 집중시키는 경제성에 있었다. 

앵글포이즈UK 사의 디렉터 사이먼 테리는 “150여년의 생산 역사는 물론이고 앵글포이즈와 함께한 70여년 가업의 전통을 되살려 최초의 혁신적 아이디어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때가 되었다.”라고 말한다. 자이언트 1227 모델에는 최신의 디자인/생산 기술과 오리지널 아이디어의 혁신성 사이에서 균형을 잃지 않으려는 앵글포이즈 사의 의지가 담겨있다. 

런던 100% 디자인에서 전시되는 자이언트 1227은 야외 버전이지만, 조만간 실내용 제품도 내놓을 방침이라고 한다. 탄생 70주년을 기념하는 자이언트 1227 앵글포이즈 램프는 실제 사이즈의 3배 크기로 그 높이가 약 8피트에 이른다. 수공 과정으로 제작되었으며 현재 미화 3천500달러의 가격에 판매 중이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7-07 | 아이디어 콘센트 & 플러그 디자인

2009년 RCA 졸업전시회에 등장한 플러그와 콘센트. 각각 다른 사람의 작업이 뜻밖의 한 쌍을 이루었으니, 최민규의 ‘접이식 플러그’와 조지 모어낵의 ‘울트라 리드’입니다. 최민규는 영국의 3핀 플러그를 접이식으로 한층 날렵하게 변모시켰고, 이를 십분 활용한 플러그형 멀티탭도 디자인하였습니다. 조지 모어낵은 각기 다른 형태의 플러그에 대응하는 콘센트를 하나하나 연결하여 연장하는 멀티형 콘센트를 선보였고요. 최민규의 ‘접이식 플러그’ 소식은 여기에서 끝나지 않았습니다. (...)

2008-05-26 | 베이징 제로에너지 미디어월

베이징 지쿠이 엔터테인먼트 센터의 파사드는 2,292개의 LED로 채워진 초대형 미디어월입니다. 그것은 건물을 위한 영리한 스킨인 동시에, 미디어 작품이 상영되는 거대한 스크린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이 스크린은 태양광을 동력으로 삼지요. ‘제로에너지’를 표방한 미디어월, ‘그린픽스’를 다시 만나봅니다.

2011-08-02 | 『폰트북』, 아이패드 속으로

폰트숍 인터내셔널의 “커다란 노란 책”이 아이패드 속으로 들어왔습니다. 마치 폰트 자체가 디지털화되었듯, 『폰트북』도 디지털 앱이 되었죠. 덕분에 110여 서체제작소의 62만여 폰트 정보를 3kg에 달하는 육중한 책을 뒤적이는 대신, 가볍게 또 간편하게 검색하고 비교해 볼 수 있었습니다. 앱 출시 이후 애석하게도 『폰트북』은 출간이 중단되었는데요. 어째서인지 지금은 『폰트북』 앱도 찾아볼 수가 없군요. 

2007-11-12 | 우연일까 표절일까

“광고 속 우연의 일치를 좇는 사냥꾼.” 블로거 조 라 퐁프의 자기 소개입니다. 그는 1999년부터 우연인지 표절인지 유사한 광고 사례들을 소개해왔는데요. ‘오리지널’과 ‘레스 오리지널’이라는 이름으로 비슷한 광고를 나란히 올리고, 독자들은 우연일까 표절일까를 투표합니다. 참고로 2007년 오늘의 뉴스 속 광고들의 경우, 독자들도 표절 쪽에 손을 들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