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9-19 | 앨 고어의 기후위기 관련 연설

Editor’s Comment

2006년 전 미국 부통령 앨 고어는 뉴욕대에서 한 연설에서 ‘2030 챌린지’를 언급했습니다. 2030년까지 모든 신축 건물에서 탄소중립을 이룰 것을 목표로 하자는 기획이었죠. 그때만 해도 목표는 2030년이었습니다. 16년이 지나는 동안 기후는 위기 상황에 가까워졌지만, 민관이 말하는 목표의 시한은 오히려 2050년으로 더 미뤄지고 말았습니다. 

9월 18일 뉴욕대학교(NYU)에서 있었던 ‘기후 변화 및 국가안보 관련 주요 정책’에 관한 연설에서 전 미 부통령 앨 고어는 지구 환경 보존에 있어서 디자인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했다. 

<연설문 일부 발췌>
“상가 건축이건 주거 건축이건 모든 건물은 자가용이나 트럭에 비해 더 큰 지구온난화의 원인이 되고 있다. 한편, 건축이나 디자인의 신기술은 에너지 활용과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한 놀라운 가능성들을 열어가고 있다…미국건축가협회(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ure)와 미국시장회의(National conference of Mayors)에서는 ‘2030 챌린지(2030 Challenge)’를 후원한다. ‘2030챌린지’에서는 전세계 건축 및 건설계를 향해, 모든 신축 건물 개발에 있어서 기존 화석연료 소비량을 절반으로 줄이는 디자인으로 당장 전환할 것, 그리고2030년까지 모든 신축 건물에서 화석연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탄소중립을 이룰 것을 촉구하고 있다. 오벌린 칼리지(Oberlin College)의 한 신축 건물은 건물이 소비하는 에너지의 30%를 자체 생산하고 있다. 이미 몇몇 국가에서는 신축 건물을 지을 때 무탄소에 기반할 것을 실제 요구하기도 한다” 

연설에서 언급된 ‘2030 챌린지’는 건물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문제점을 심각하게 여기고, 건축 디자인의 전환을 통해 2030년까지 지구의 온도를 1도 가량 낮추는 것을 목표로 시작되었다. 최우선 실천 과제는 위 연설문에 언급된 대로 신축 건물에서 화석연료의 사용량을 절반으로 줄이는 것이고, 다음으로 기존 건물 역시 리노베이션을 통해 같은 정도로 화석연료의 소비량을 낮출 것을 요구한다. 

이대로 실천된다고 가정했을 때, 화석연료 소비량을 2010년까지 60%, 2025년에는 90%까지 감소시킬 수 있고, 2030년에 이르면 탄소가스가 전혀 방출되지 않는 탄소중립을 이루게 된다. 

전 미 부통령이 환경문제 해결에 있어서 건축을 비롯한 디자인의 중요성을 직접 언급한 것은 디자인의 사회적 영향력에 상당한 힘을 실어주는 계기로 볼 수 있다.

http://www.nyu.edu/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6-15 | ‘세컨드 사이클’, 70년 전의 가구를 되살리다

70년 전 태어나 오랜 시간 동안 곳곳에서 제 역할을 해온 가구들이 다시 생산자의 품으로 돌아와 ‘두 번째 주기’를 기다립니다. 오늘의 소식은 2007년 아르텍과 톰 딕슨이 전개한 ‘세컨드 사이클’입니다. 아르텍은 1935년 이후 150만 개 넘게 판매된 알바 알토의 ‘스툴 60’을 비롯해 그가 디자인한 가구들을 학교, 공장, 조선소, 플리마켓 등지에서 찾아내, 다시 ‘신제품’으로서 선보였습니다. 의자가 주를 이루었던 처음과 달리 현재는 비단 아르텍의 가구만이 아닌 유무명의 디자인 소품, 조명, 그림까지, 더 많은 오래된 물건들이 ‘세컨드 사이클’에 합류하였습니다.

2011-08-30 | MIT 미디어 랩 아이덴티티

2010년대는 아이덴티티 디자인에 ‘변화’라는 테마가 더해진 시기였습니다. 여기 MIT 미디어 랩의 시각 아이덴티티의 경우도 그렇습니다. 그린 에일과 강이룬은 시스템으로서의 아이덴티티라는 개념으로, 일정한 요소가 무한히 변주되는 디자인을 선보였습니다. 그렇기에 매번 달라지면서도 하나의 기반을 공유하는 아이덴티티 디자인이 탄생했죠. 

2008-06-25 | 앱솔루트 레인보우

성 소수자의 인권을 기념하는 프라이드 먼스 6월을 맞아, 2008년 앱솔루트의 병도 무지개 깃발을 둘렀습니다. ‘앱솔루트 컬러스’는 무지개 깃발 탄생 30주년을 기념하여, 앱솔루트가 바로 그 깃발의 디자이너 길버트 베이커와 함께 협업하여 선보인 첫 번째 프라이드 보틀입니다. 1978년 베이커가 디자인한 오리지널 여섯 색상 무지개는 성소수자 인권 운동의 상징이 되어 세계 곳곳에서 휘날렸고, 보다 다양한 정체성을 포용하기 위한 변주도 수없이 이뤄져, 베이커 본인도 2017년에는 9가지 색상의 무지개 깃발을 디자인했지요. 성소수자 자긍심의 상징. 무지개 깃발은 참고로 2015년 뉴욕 MoMA의 디자인 소장품 목록에 올랐습니다.

‘소리의 질서’: 소리의 데이터 세계로 이끄는 문

예술가 겸 건축가 크리스토스 부티히티스(Christos Voutichtis)가 제너러티브 아트 ‘소리의 질서(Order of Sound)’를 선보였다. 이...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