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9-15 | BMW 아트카 월드 투어

Editor’s Comment

1975년 알렉산더 칼더의 페인팅을 BMW 3.0 CSL을 시작으로, BMW는 점점 더 많은 예술가와 손잡고 ‘아트카’ 컬렉션을 이루었습니다. 미술을 입은 이 자동차들은 르망 24시 레이스에 출전해 달리기도 하고, 미술관에 멈추어 작품처럼 전시되기도 합니다. 오늘의 소식은 2006년의 BMW 아트카 월드 투어입니다. 그 순회의 여정에는 한국도 포함되어 있었죠. 

BMW 3.0 CSL, 알렉산더 칼더, 1975

프랭크 스텔라, 앤디 워홀, 로이 리히텐슈타인, 켄 던 등 전설적인 아티스트들이 디자인한 BMW 아트카 컬렉션이 월드 투어에 나섰다. 9월 14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프르의 갤러리 페트로나스(Petronas)를 시작으로, 싱가포르와 필리핀을 거쳐 한국(아트선재센터)에서도 이 전설적인 자동차들을 만나볼 수 있게 되었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이번 BMW 아트 카 월드 투어는 2010년까지 러시아, 아프리카, 인도, 미국, 유럽 등지를 순회하는 대장정을 계획하고 있다. 

BMW에서는 1975년부터 전 세계 유명 예술가에게 시대를 풍미한 BMW의 대표 모델의 리디자인을 의뢰해왔다. 앞서 언급한 아티스트 이외에도 A.R. 펭크(A.R. Penck), 데이비드 호크니, 제니 홀저 등이 참여해 더욱 풍성한 아트카 컬렉션을 탄생시켰다. 

BMW의 아트카 프로젝트는 예술과 디자인, 그리고 기술이 융합된 현대 예술사의 발전상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아트 컬렉션은 그 동안 파리 루브르, 뉴욕 휘트니, 런던의 로열 아카데미, 베니스의 그라시 팔라초, 시드니 파워하우스, 뉴욕과 빌바오의 구겐하임 등 세계 유수 뮤지엄에서 전시를 가진 바 있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세계 최초 범용 로봇 범니 1.0: CES 2022

세계 최대 정보기술(IT)·가전 전시회 CES 2022 (1월 5일 – 8일)에 세계 최초 범용 인공지능...

2007-07-05 | 지속불가능한 장신구

모두가 지속가능성을 강조하는 와중에 흐레이트여 판 헬몬트는 정확히 그 반대를 디자인했습니다. 그의 ‘지속불가능’은 설탕으로 만든 장신구 시리즈입니다. 그토록 연약하고 지속불가능한 소재로 된 이 장신구들은 역설적으로 설탕보다 훨씬 튼튼한 소재들이 처하는 현실을 가리킵니다. 소재의 내구성과는 무관하게 결정되는 제품의 교체 주기라는 문제를 말이죠. 

2010-01-07 | OMA, 코펜하겐 기후변화회의의 실패를 말하다

1995년 처음 열린 국제연합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COP가 벌써 26차를 지났습니다. 지난 11월 글래스고에서 개최된 COP26은 그러나 기대 이하에 그쳤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석탄발전의 단계적 폐지라는 목표는 감축으로 완화되었고, 결국 탈석탄 성명에는 미국, 인도, 중국, 호주, 일본 등 석탄 의존도가 높은 국가들의 서명이 빠졌습니다. 문제는 초국가적인데 해결의 단위는 국가라는 점이 문제일까요? 2009년 COP15의 ‘실패’에 관해 OMA의 레이니어르 더 흐라프는 그렇다고 보았습니다. 

2010-12-08 | 빔 크라우벌 회고전

2011년 런던 디자인 뮤지엄에서 디자이너 빔 크라우벌의 회고전이 영국에서는 처음으로 열렸습니다. ‘빔 크라우벌 – 그래픽 오디세이’는 “미스터 그리드닉”이라 불리웠던 그의 60년 작업 세계를 망라하는 전시였습니다. 10년 전 오늘의 소식과 함께, 2019년 타계한 그를 기리며 암스테르담 시립미술관에서 연 추모 웹사이트도 다시 방문해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