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9-13 | 브라질의 이색 공중전화 부스

Editor’s Comment

공중전화 부스 앞으로 차례를 기다리며 사람들이 줄지어 서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누군가에게는 추억의 풍경이고 누군가에게는 생경한 풍경이겠지요. 2006년 오늘 디자인플럭스는 브라질의 별난 공중전화 부스들을 소개했습니다. 앵무새, 과일을 닮은 원색의 부스부터 현대적인 파이버글래스 소재의 부스까지, 브라질의 사진 제작 회사 로스트 아트가 모은 이색 전화부스들을 만나봅니다.

공중전화 부스가 관광 자원이 될 수 있을까? 브라질의 몇몇 도시들의 예를 보면 그렇다고 대답할 수 있다. 브라질에서 보도 및 광고용 사진을 제작하는 회사 로스트 아트(Lost Art)에서 독특하다 못해 별나기까지 한 전화부스들을 카메라에 담았다. 동물, 새, 과일 등을 닮은 원색의 부스들이 남미의 뜨거운 태양과 제법 잘 어울린다. 

이 갤러리에서는 브라질의 공중전화 역사에 관해서도 짤막하게 언급하고 있는데, 20년대 도입된 공중전화의 존재가 대중화 된 것은 1970년대의 일이라 한다. 이는 상하이 태생의 건축가 추 밍 시우베이라(Chu Ming Silveria; 1914~1977) 덕분이라고. 브라질 전신전화국의 수석 엔지니어였던 그가 디자인한 전화부스가 널리 알려지면서 공중전화 역시 대중화되었다.

‘오렐롱이스(Orelhões)’라는 이름의 이 부스는 ‘거대한 귀’라는 뜻으로, 아마도 그 반구 형태의 디자인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 아닌가 한다. 그 외에도 최초로 파이버글래스를 사용한 부스 ‘CHU-1’ 역시 브라질의 전화부스 역사의 초기를 장식하는 대표적인 디자인이다. 

핸드폰에 밀려 이제는 더 이상 공중전화마다 길게 늘어선 사람들의 모습을 볼 수 없게 되었다. 누적되는 적자에도 불구하고 공공 서비스인 만큼 사업을 포기할 수 없는 한국통신의 고민도 깊어만 간다. 지난 4월 공중전화 서비스를 개선하는 아이디어를 공모하기도 했는데, 어쩌면 회색빛 스테인리스 골조의 부스 디자인을 바꾸는 것도 하나의 방편이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다. 물론, 그만큼의 투자를 감당할 수 있을지 여부는 미지수이기는 해도 말이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LA 한복판, 건축 공사 구조물

로스앤젤레스에 위치한 공예박물관, 크래프트 컨템포러리(Craft Contemporary)와 비영리 문화 단체, 머티리얼 앤 어플리케이션(Materials & Applications)이...

요리를 위한 주방: 밀라노 디자인 위크 2022

베를린과 비엔나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디자인 스튜디오 크마라.로진케(Chmara.Rosinke)가 2022년 6월 6일부터 12일까지 열린 ‘밀라노 디자인...

달 거주지 ‘루나르크’ 디자인

덴마크 건축 회사 ‘사가 스페이스 건축(SAGA Space Architects, 이하 사가)’는 우주 여행자가 우주에서 삶을...

2010-12-13 | 팬톤 선정 2011년의 색

지금으로부터 10년 전, 팬톤이 예견한 내년의 색은 ‘허니서클’이었습니다. 붉은 기가 도는 분홍의 활력이 일상의 어려움을 활기차게 마주할 수 있도록 해줄 것이라는 설명이었지요. 참고로 팬톤 선정 2022년의 색은 ‘베리 페리’입니다. 팬톤이 이번 '컬러 오브 더 이어'를 위해 새로 만든 색상으로, 이처럼 새로운 조색을 선택한 것은 23년 컬러 오브 더 이어 역사상 처음이라는군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