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9-06 | ‘평화와 화해의 전당’ 개관

Editor’s Comment

2006년 9월 1일,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 ‘평화와 화해의 전당’이 문을 열었습니다. 이 건물은 거대한 피라미드의 형태를 한 이 건물은 종교와 종파 간의 갈등을 해소하고 상호 이해를 도모하는 국제 센터로서 계획되었습니다. 그리고 설계는 영국의 포스터+파트너스가 맡았죠. 

courtesy Foster and Partners

포스터 앤 파트너스가 지난 2년간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진행해 온 ‘평화와 화해의 전당’이 9월 1일 개관했다. 3년에 한번씩 열리는 세계 정치지도자들과 종교계의 대회합과 때를 맞추어 오픈한 이 건축물은 높이 62미터에 이르는 피라미드 형태를 띠고 있다. 

이 건물은 무엇보다 종교간, 종파간의 갈등 해소를 목적으로 설립되어, 앞으로 종교 간 상호 이해를 위한 국제 센터로 이용될 계획이다. 

courtesy Foster and Partners

피라미드의 높이는 62미터, 바닥면적은 가로 세로 각각 62미터이며, 각종 회합과 국가, 종교 행사가 열리는 오페라하우스는 1천 5백 명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이 구조물의 절정은 무엇보다 브라이언 클라크가 만든 스테인드글라스이다. 그리고 건물 내부에는 하늘을 찌를 듯 천정이 높게 솟은 아트리움이 중앙에 자리하고 있다. 

courtesy Foster and Partners

대회의실은 네 개의 기울어진 기둥(평화의 손)이 떠받치고 있는 건물의 최상부 – 꼭대기 층에 위치한다. 리프트를 타고 기울어진 벽을 따라 올라가면 ‘아스타나의 행잉 가든’이라는 작은 정원과 리셉션 룸을 지나게 되고, 흔들리는 램프를 통과한 뒤 마지막 목적지인 대회의실에 도착하게 된다.

아트리움 바닥에 설치된 넓은 유리 렌즈는 외부로부터 빛을 받아들여 아래 층에 위치한 오페라하우스로 빛을 투사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최저층으로부터 꼭대기층까지 수직적인 건축적 연결고리가 형성된다고 디자이너는 설명한다.

오페라하우스는 짙은 붉은색 나무로 마감되어, 입구 쪽 로비에 사용된 검은색 석재와 위층에 사용된 옅은 회색 화강암과 드라마틱한 대조를 이룬다. 그리고 스테인드글라스를 통해 빛이 건물 내부로 쏟아져 들어와 다양한 컬러가 뒤섞인 다이내믹한 효과를 불러일으킨다.

courtesy Foster and Partners

포스터 앤 파트너스가 ‘평화와 화해의 전당’ 공모에 응모해 건축 디자인회사로 선정된 것은 지난 2004년 12월. 아스타나는 여름 기온이 영상 30도, 겨울철에는 영하 30도까지 내려가는 지역이다. 이 혹독한 기후 조건을 극복하기 위한 아이디어가 필요했고, 이에 포스터 앤 파트너스는 조립식 구조라는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기온이 영하 30도까지 내려가는 겨울에는 외지에서 부분 구조물을 만들고 여름철에 건물을 조립,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그 결과 공사기간을 대폭 줄이게 되어, 최초 브리핑에서부터 완공까지 걸린 기간이 불과 21개월이 채 되지 않는다.

http://www.fosterandpartners.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1-13 | 덴마크 교도소 설계 공모 당선작

종종 북유럽 국가의 교정 시설이 놀라움과 함께 회자되곤 합니다. 분명 수감을 위한 공간인데, 여느 주거 공간 못지 않아 보이기 때문이겠죠. 2011년 오늘의 소식은 덴마크의 교도소 설계 공모 당선작입니다. C. F. 묄레르 아키텍츠는 교도소 건축의 주요 유형 중 하나인 방사형 구조를 기반으로 하나의 자족적인 마을처럼 보이는 교도소 시설을 설계하였습니다. 

2009-05-27 | ‘214’ 의자 150 주년 

나무를 구부리는 곡목 기법으로 태어난 최초의 대량생산 의자. 미하엘 토네트가 만들어낸 ‘214’입니다. 19세기에 태어난 이 의자는 20세기를 지나 21세기까지 여전히 사랑받는 고전 중의 고전이 되었죠. 2009년은 ‘214’가 탄생 150주년을 맞은 해였습니다. 이를 기념해 토네트는 다리에 매듭을 더한 ‘214k’도 선보였지요.

눈에는 눈, 이에는 이, 칼에는?: 2021 영국 다이슨 어워드

응급 처치용 의료기기 ‘리액트(REACT)’를 디자인한 조셉 벤틀리(Joseph Bentley)가 ‘2021 영국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의 내셔널...

2007-02-22 | 벨크로의 힘

특정 제품의 이름인 고유 명사가 그런 물건 일반을 통칭하는 보통 명사가 되기도 합니다. 벨크로도 그런 경우죠. 생활 속 익숙한 물건이 된 벨크로는 또 생체모방 디자인의 대표적인 사례로 언급되기도 합니다. 2007년 런던 디자인 뮤지엄의 아트리움은 벨크로에 습격된 듯한 모습이었습니다. 스페인의 신진 디자이너 루이스 에슬라바는 이 저렴하고 익숙한 물건으로 조명과 벽장식을 선보이며 여러 모로 큰 인상을 남겼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