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9-06 | ‘평화와 화해의 전당’ 개관

Editor’s Comment

2006년 9월 1일,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 ‘평화와 화해의 전당’이 문을 열었습니다. 이 건물은 거대한 피라미드의 형태를 한 이 건물은 종교와 종파 간의 갈등을 해소하고 상호 이해를 도모하는 국제 센터로서 계획되었습니다. 그리고 설계는 영국의 포스터+파트너스가 맡았죠. 

courtesy Foster and Partners

포스터 앤 파트너스가 지난 2년간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진행해 온 ‘평화와 화해의 전당’이 9월 1일 개관했다. 3년에 한번씩 열리는 세계 정치지도자들과 종교계의 대회합과 때를 맞추어 오픈한 이 건축물은 높이 62미터에 이르는 피라미드 형태를 띠고 있다. 

이 건물은 무엇보다 종교간, 종파간의 갈등 해소를 목적으로 설립되어, 앞으로 종교 간 상호 이해를 위한 국제 센터로 이용될 계획이다. 

courtesy Foster and Partners

피라미드의 높이는 62미터, 바닥면적은 가로 세로 각각 62미터이며, 각종 회합과 국가, 종교 행사가 열리는 오페라하우스는 1천 5백 명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이 구조물의 절정은 무엇보다 브라이언 클라크가 만든 스테인드글라스이다. 그리고 건물 내부에는 하늘을 찌를 듯 천정이 높게 솟은 아트리움이 중앙에 자리하고 있다. 

courtesy Foster and Partners

대회의실은 네 개의 기울어진 기둥(평화의 손)이 떠받치고 있는 건물의 최상부 – 꼭대기 층에 위치한다. 리프트를 타고 기울어진 벽을 따라 올라가면 ‘아스타나의 행잉 가든’이라는 작은 정원과 리셉션 룸을 지나게 되고, 흔들리는 램프를 통과한 뒤 마지막 목적지인 대회의실에 도착하게 된다.

아트리움 바닥에 설치된 넓은 유리 렌즈는 외부로부터 빛을 받아들여 아래 층에 위치한 오페라하우스로 빛을 투사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최저층으로부터 꼭대기층까지 수직적인 건축적 연결고리가 형성된다고 디자이너는 설명한다.

오페라하우스는 짙은 붉은색 나무로 마감되어, 입구 쪽 로비에 사용된 검은색 석재와 위층에 사용된 옅은 회색 화강암과 드라마틱한 대조를 이룬다. 그리고 스테인드글라스를 통해 빛이 건물 내부로 쏟아져 들어와 다양한 컬러가 뒤섞인 다이내믹한 효과를 불러일으킨다.

courtesy Foster and Partners

포스터 앤 파트너스가 ‘평화와 화해의 전당’ 공모에 응모해 건축 디자인회사로 선정된 것은 지난 2004년 12월. 아스타나는 여름 기온이 영상 30도, 겨울철에는 영하 30도까지 내려가는 지역이다. 이 혹독한 기후 조건을 극복하기 위한 아이디어가 필요했고, 이에 포스터 앤 파트너스는 조립식 구조라는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기온이 영하 30도까지 내려가는 겨울에는 외지에서 부분 구조물을 만들고 여름철에 건물을 조립,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그 결과 공사기간을 대폭 줄이게 되어, 최초 브리핑에서부터 완공까지 걸린 기간이 불과 21개월이 채 되지 않는다.

http://www.fosterandpartners.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1-06 | 익스페리멘털 젯셋의 새 웹사이트

익스페리멘털 젯셋의 첫 웹사이트 리뉴얼의 핵심은 ‘아카이빙’이라 하겠습니다. 그간의 작업 전체를 망라한다는 것은 실패작까지도 포함한다는 뜻이고, 익스페리멘털 젯셋은 이를 두고 “일종의 아카이브 몬스터”라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개별 작업은 ‘아카이브’ 메뉴의 텍스트형 목록과 ‘프리뷰’ 메뉴의 이미지형 목록 두 가지 방식으로 접근 가능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기조는 2022년 지금의 홈페이지에서도 그대로 이어지고 있지요. 

2011-11-18 | 테렌스 콘란 – 지금 우리의 생활 방식

2019년에는 더 콘란숍의 한국 매장 오픈 소식이, 2020년에는 테렌스 콘란 경의 타계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2021년 오늘 디자인플럭스는 시간을 되돌려, 지난 2011년 열린 ‘테렌스 콘란 – 지금 우리의 생활 방식’ 전시를 살펴봅니다. 오랜 후원자 테렌스 콘란을 위한 디자인 뮤지엄의 헌정 전시라고 할까요. 전시는 디자이너로서 또 사업가로서 전후 영국의 라이프스타일 형성에 기여했던 테렌스 콘란의 생애와 이력을 돌아봅니다.

2007-06-15 | ‘세컨드 사이클’, 70년 전의 가구를 되살리다

70년 전 태어나 오랜 시간 동안 곳곳에서 제 역할을 해온 가구들이 다시 생산자의 품으로 돌아와 ‘두 번째 주기’를 기다립니다. 오늘의 소식은 2007년 아르텍과 톰 딕슨이 전개한 ‘세컨드 사이클’입니다. 아르텍은 1935년 이후 150만 개 넘게 판매된 알바 알토의 ‘스툴 60’을 비롯해 그가 디자인한 가구들을 학교, 공장, 조선소, 플리마켓 등지에서 찾아내, 다시 ‘신제품’으로서 선보였습니다. 의자가 주를 이루었던 처음과 달리 현재는 비단 아르텍의 가구만이 아닌 유무명의 디자인 소품, 조명, 그림까지, 더 많은 오래된 물건들이 ‘세컨드 사이클’에 합류하였습니다.

디자인 노트 : 큐레이터의 역사 연구

“배넘(Reyner Banham)은 내 연구에 두 가지 영향을 미쳤다. 한 가지는 역사 연구의 다양성에 대한...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